TIL | <GitHub> 레파지토리/브랜치/파일 생성과 삭제

bubblegum·2023년 12월 24일
0

Today I learn(TIL)

목록 보기
3/84
post-thumbnail

본격적인 수업을 앞두고 걱정되는 마음에 팀프로젝트에 제대로 참여하기 위한 준비가 필요했다. 그래서 주말에 짬을 내어 GitHub를 사용해보기로 했다. 그런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데 있어 문제가 있었는데 컴퓨터의 이전 사용자가 로그아웃을 안해서 공유되는 바람에 업로드한 파일을 삭제해야 했는데 방법을 몰라 한참을 헤메어 시간을 많이 할애하였다. 내친 김에 내가 실수라도 했을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미리 찾아보기로 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시도해보았다.

오늘 해본 것!

  1. 원격저장소 생성 및 Visual Studio Code에 재등록하기
  2. 원격저장소 삭제하기
  3. 브랜치 생성하고 삭제하기
  4. 파일 업로드하고 삭제하기

1. 원격저장소 생성 및 재등록하기

원격저장소를 만드는 방법은 간단했지만 새로운 원격저장소를 VS Code와 연동하는데는 조금 복잡해보이는 순서가 있었다. 먼저 기존에 등록된 레파지토리를 해지하고 재등록이 필요했는데 해지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았다.

  1. 연결되어 있는 원격저장소 확인

    git remote -v
  2. 원격저장소와 연결 해제

    git remote remove origin
  3. 연결이 잘 해제 되었는지 다시 확인

    git remote -v
  4. 새로운 저장소와 깃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git주소>

새 저장소 push 할때 발생하는 error 메세지

  fatal: The current branch main has no upstream branch.
  To push the current branch and set the remote as upstream, use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in
  1. 깃에서 제시한 위 명령어 입력. 원격 저장소에 대한 기본 브렌치 설정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in

2. 원격저장소 삭제하기

삭제하는 방법은 구글링해서 '설정' 페이지 맨 하단에 있는 Danger Zone에서 찾았다. 삭제하기 전 삭제하고자 하는 레파지토리가 맞는 지 재차 확인이 필요할 것 같다.

3. 브랜치 삭제하기

  • 로컬브랜치의 목록을 불러오는 명령어

    	git branch
  • 원격브랜치의 목록만 불러오는 명령어

    	git branch -r (*r: remote의 약어)
  • 로컬, 원격브랜치 모든 목록을 불러오는 명령어

    	git branch -a (*a: all의 약어)
  • 로컬브랜치를 삭제하는 명령어

    	git branch -d <로컬브랜치명> (*d: delet의 약어)
  • 현 브랜치에서 다른 브랜치로 전환하는 명령어

    	git checkout <로컬브랜치명>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는 삭제할 수 없으므로 브랜치 전환이 필요하다.

  • 원격브랜치를 삭제하는 명령어

    	git push origin -d <원격브랜치명>
  • 마스터 브랜치에 병합된 로컬브랜치를 강제로 삭제하는 명령어

    	git branch -D <로컬브랜치명>
  • 원격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브랜치를 삭제하는 명령어

    	git push <원격저장소명> -d <원격브랜치명>

4. 원격 저장소 파일 삭제

  • 로컬저장소에서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

    	git rm <파일명>
  • 원격저장소에서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

    	git rm --cached <파일명>
  • 디렉토리(폴더)를 제거하는 명령어

    	git rm --cached -r <디렉토리명>

위의 명령어를 입력한 뒤에는 반드시 현재 시점을 저장해야 한다.

git commit -m "massage"
profile
황세민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