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푼 문제에 대하여, 내 풀이와 다른 사람 풀이를 비교하고 정리해보려 한다.
정수 배열 numbers가 주어집니다. numbers에서 서로 다른 인덱스에 있는 두 개의 수를 뽑아 더해서 만들 수 있는 모든 수를 배열에 오름차순으로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numbers | result |
|---|---|
| [2,1,3,4,1] | [2,3,4,5,6,7] |
| [5,0,2,7] | [2,5,7,9,12] |
입출력 예 #1
[2,3,4,5,6,7] 을 return 해야 합니다.입출력 예 #2
[2,5,7,9,12] 를 return 해야 합니다.출처: 프로그래머스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numbers) {
vector<int> answer, v;
// 1 1 2 3 4
for(int i = 0; i < numbers.size()-1; i++) {
for(int j = i+1; j < numbers.size(); j++) {
v.push_back(numbers[i] + numbers[j]);
}
}
sort(v.begin(), v.end());
for(int i = 0; i < v.size(); i++) { // 중복된 수를 제외하고 push
if(i > 0 && v[i] == v[i-1])
continue;
else
answer.push_back(v[i]);
}
return answer;
}
각 모든 경우의 수를 더하고 정렬시킨 뒤, 중복된 수를 제외하고 answer에 push하는 반복문을 실행시킴.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set>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numbers) {
vector<int> answer;
set<int> st;
for(int i = 0;i<numbers.size();++i){
for(int j = i+1 ; j< numbers.size();++j){
st.insert(numbers[i] + numbers[j]);
}
}
answer.assign(st.begin(), st.end()); // vector에 set 할당
return answer;
}
set 자료형을 사용하여, 모든 경우의 수를 정렬 삽입한 후, answer에 할당.
기본적인 문제 해결 아이디어는 같았다. 다만, set container를 활용하여 연산 횟수를 더 줄이고 짧게 풀었다는게 인상적이었다. set에 대해 정리해보고, 다음 문제에서는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