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두 개 뽑아서 더하기

반영서·2023년 1월 18일
0

알고리즘

목록 보기
7/8
post-thumbnail

서론

오늘 푼 문제에 대하여, 내 풀이와 다른 사람 풀이를 비교하고 정리해보려 한다.

두 개 뽑아서 더하기

문제 설명

정수 배열 numbers가 주어집니다. numbers에서 서로 다른 인덱스에 있는 두 개의 수를 뽑아 더해서 만들 수 있는 모든 수를 배열에 오름차순으로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umbers의 길이는 2 이상 100 이하입니다.
    • numbers의 모든 수는 0 이상 100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

numbersresult
[2,1,3,4,1][2,3,4,5,6,7]
[5,0,2,7][2,5,7,9,12]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2 = 1 + 1 입니다. (1이 numbers에 두 개 있습니다.)
  • 3 = 2 + 1 입니다.
  • 4 = 1 + 3 입니다.
  • 5 = 1 + 4 = 2 + 3 입니다.
  • 6 = 2 + 4 입니다.
  • 7 = 3 + 4 입니다.
  • 따라서 [2,3,4,5,6,7] 을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 2 = 0 + 2 입니다.
  • 5 = 5 + 0 입니다.
  • 7 = 0 + 7 = 5 + 2 입니다.
  • 9 = 2 + 7 입니다.
  • 12 = 5 + 7 입니다.
  • 따라서 [2,5,7,9,12] 를 return 해야 합니다.

출처: 프로그래머스


문제 해결 아이디어

  • 각 수를 더한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한다.
  • 반환하는 vector는 정렬되어 있어야 하고, 중복된 값이 존재하면 안된다.


내 솔루션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numbers) {
    vector<int> answer, v;
    
    // 1 1 2 3 4
    for(int i = 0; i < numbers.size()-1; i++) {
        for(int j = i+1; j < numbers.size(); j++) {
            v.push_back(numbers[i] + numbers[j]);
        }
    }
    sort(v.begin(), v.end());
    for(int i = 0; i < v.size(); i++) {      // 중복된 수를 제외하고 push
        if(i > 0 && v[i] == v[i-1])
            continue;
        else
            answer.push_back(v[i]);
    }
    return answer;
}

풀이 설명

각 모든 경우의 수를 더하고 정렬시킨 뒤, 중복된 수를 제외하고 answer에 push하는 반복문을 실행시킴.


다른 사람 풀이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set>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numbers) {
    vector<int> answer;
    set<int> st;
    for(int i = 0;i<numbers.size();++i){
        for(int j = i+1 ; j< numbers.size();++j){
            st.insert(numbers[i] + numbers[j]);
        }
    }
    answer.assign(st.begin(), st.end());       // vector에 set 할당
    return answer;
}

풀이 설명

set 자료형을 사용하여, 모든 경우의 수를 정렬 삽입한 후, answer에 할당.



느낀점

기본적인 문제 해결 아이디어는 같았다. 다만, set container를 활용하여 연산 횟수를 더 줄이고 짧게 풀었다는게 인상적이었다. set에 대해 정리해보고, 다음 문제에서는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profile
커지고 싶은 신입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