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4 - 기저, 랭크

다시 공부 중...·2021년 11월 12일
0

생성 집합 generating set, 생성 span

벡터 공간 VV, A={x1,,xk}V\mathcal{A}=\{\boldsymbol{x}_1, \cdots, \boldsymbol{x}_k\} \subseteq\mathcal{V}

  • 벡터 공간 VV에 포함되는 벡터들 A={x1,,xk}\mathcal{A}=\{\boldsymbol{x}_1, \cdots, \boldsymbol{x}_k\}의 선형 결합으로 벡터 공간 VV의 모든 벡터들을 표현할 수 있다면 A\mathcal{A}는 벡터 공간 VV의 생성 집합이다.
  • 벡터의 집합 A={x1,,xk}\mathcal{A}=\{\boldsymbol{x}_1, \cdots, \boldsymbol{x}_k\}의 모든 가능한 선형 결합의 집합을 A\mathcal{A}의 span이라 한다.
  • A\mathcal{A} spans 벡터 공간 VV: VV에 속한 모든 벡터들은 벡터 집합 A={x1,,xk}\mathcal{A}=\{\boldsymbol{x}_1, \cdots, \boldsymbol{x}_k\}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 경우 V=span[A]V=span[\mathcal{A}] 또는 V=span[x1,,xk]V=span[\boldsymbol{x}_1, \cdots, \boldsymbol{x}_k]

🤔:
A\mathcal{A}가 벡터 공간 VV의 생성 집합이면 A\mathcal{A}의 span = VV?


기저 basis

벡터 부분 공간 VV의 생성 집합 중 가장 벡터의 수가 적은 생성 집합을 VV의 기저라고 한다. 기저는 선형 결합으로 VV에 속한 모든 벡터를 표현할 수 있되 벡터의 수가 최소이므로 선형 독립이다. (VV의 생성 집합에서 어떤 벡터를 나머지 벡터들로 표현할 수 있다면 그 벡터는 빼버려도 VV를 생성할 수 있다.)

  • V=(V,+,),BV,BV=(\mathcal{V}, +, \cdot), \mathcal{B}\subseteq\mathcal{V}, \mathcal{B}\neq\empty 일 때, 다음은 동치
    • B\mathcal{B}VV의 기저다.
    • B\mathcal{B}는 최소 생성 집합이다.
    • B\mathcal{B}VV에서 가장 큰 선형 독립인 벡터 집합이다.
      🤔: 선형 독립인 벡터들은 벡터 공간에서 독립적인 방향이므로 하나라도 부족하다면 VV를 표현할 수 없게된다.
    • 모든 vVv \in VB\mathcal{B}의 유니크한 선형 결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선형 독립이라는 의미. 선형 종속인 경우 어떤 벡터를 다른 벡터들의 선형 결합으로 대체할 수 있으니 유니크한 선형 결합이 아니다.

모든 벡터 공간은 무수히 많은 기저를 갖는다. 다만 한 벡터공간의 모든 기저는 같은 수의 벡터를 갖는다.

  • R2\mathbb{R}^2의 기저: {[10],[01]},{[11],[01]},{[1.50],[0.81.7]},\left\{ \begin{bmatrix}1\\0\end{bmatrix}, \begin{bmatrix}0\\1\end{bmatrix}\right\}, \left\{\begin{bmatrix}1\\1\end{bmatrix}, \begin{bmatrix}0\\1\end{bmatrix}\right\}, \left\{\begin{bmatrix}1.5\\0\end{bmatrix}, \begin{bmatrix}0.8\\1.7\end{bmatrix}\right\}, \cdots

유한차원의 벡터공간만 고려하면 벡터 공간 VV의 차원은 VV의 기저 벡터(기저에 속한 벡터)의 수와 같고 dim(VV)로 표기. 벡터 부분공간 UVU\subseteq V의 경우, dim(UU) \le dim(VV)이고 등호는 U=VU=V인 경우 성립.

벡터 공간의 차원은 벡터 공간에서 독립적인 방향의 수로 생각할 수 있다.
🤔: 독립적인 방향이 하나 사라지면 영영 그 방향으로는 진행할 수 없고 벡터 공간의 일부를 잃을 듯?

벡터 공간의 차원이 꼭 벡터의 원소 수와 같을 필요는 없다. 벡터 공간 V=span[[01]]V=span[\begin{bmatrix}0\\1\end{bmatrix}]인 경우 VV의 벡터들은 2개의 원소를 갖지만 VV는 직선의 형태로 1차원 벡터 공간이다.

생성 집합에서 기저 찾기
벡터 공간 U=span[x1,,xm]RnU = span[\boldsymbol{x}_1, \cdots, \boldsymbol{x}_m] \subseteq\mathbb{R}^n의 기저를 찾으려면

  1. [x1,,xm]\left[\boldsymbol{x}_1, \cdots, \boldsymbol{x}_m\right] 행렬을 사다리꼴로 변환하여 피벗열을 찾는다.
  2. 피벗열에 대응하는 벡터 xi\boldsymbol{x}_i들이 기저 벡터

랭크 rank

행렬에서 선형 독립인 열의 수는 선형 독립인 행의 수와 같고 이를 랭크rank라고 한다. A\boldsymbol{A}의 랭크는 rk(A\boldsymbol{A})로 표기.

  • rk(A\boldsymbol{A})=rk(A\boldsymbol{A}^\top)
    • 🤔: 선형 독립인 열의 수와 선형 독립인 행의 수가 같으므로.(column rank = row rank)
  • ARm×n\boldsymbol{A}\in\mathbb{R}^{m\times n}의 열들은 dim(UU)=rk(A\boldsymbol{A})인 부분공간 URmU\subseteq\mathbb{R}^m을 생성(span)한다. 부분공간 UU를 image 또는 range라고 한다.
    • 🤔: 랭크는 선형 독립인 열의 수이므로 이 수만큼의 기저로 공간 UU 생성
  • ARm×n\boldsymbol{A}\in\mathbb{R}^{m\times n}의 행들은 dim(UU)=rk(A\boldsymbol{A})인 부분공간 WRnW\subseteq\mathbb{R}^n을 생성. 기저는 A\boldsymbol{A}^\top의 피벗열에 대응하는 A\boldsymbol{A}의 행.
    • 🤔: 열로 만들던 행으로 만들던 부분공간의 차원은 같고 속한 벡터의 원소 수만 각각 m,nm, n
  • ARn×n\forall \boldsymbol{A}\in\mathbb{R}^{n\times n}일 때, rk(A\boldsymbol{A})=nn     \iff A\boldsymbol{A}는 invertible.
    • 🤔: A\boldsymbol{A}의 열들의 선형 독립을 판단하려면 Ax=0\boldsymbol{Ax}=\boldsymbol{0}의 해가 오직 x=0\boldsymbol{x}=\boldsymbol{0}인 경우. A1\boldsymbol{A}^{-1}이 존재한다면 A1Ax=0\boldsymbol{A}^{-1}\boldsymbol{Ax}=\boldsymbol{0}이고 결국 x=0\boldsymbol{x}=\boldsymbol{0}으로 A\boldsymbol{A}의 열들은 선형 독립이고 rk(A\boldsymbol{A})=nn
  • ARm×n,bRm\forall\boldsymbol{A}\in\mathbb{R}^{m\times n}, \forall\boldsymbol{b}\in\mathbb{R}^m일 때, 연립 일차 방정식 Ax=b\boldsymbol{Ax}=\boldsymbol{b}는 해를 갖는다.     \iff rk(A\boldsymbol{A}) = rk(Ab\boldsymbol{A|b})
    • 🤔: [12341056710089100001]\begin{bmatrix}1&2&3&4&|&1\\0&5&6&7&|&1\\0&0&8&9&|&1\\0&0&0&0&|&1\end{bmatrix}, 0x1+0x2+0x3+0x4=10x_1+0x_2+0x_3+0x_4=1? 해가 없다.
  • ARm×n\boldsymbol{A}\in\mathbb{R}^{m\times n}일 때, Ax=0\boldsymbol{Ax}=\boldsymbol{0}의 해가 생성하는 벡터 부분 공간 UU의 차원 dim(UU) = nn-rk(A\boldsymbol{A}). 그리고 이 부분공간 UU를 kernel 또는 null space라고 한다.
    • 🤔: Ax=0\boldsymbol{Ax}=\boldsymbol{0}의 해는 피벗열이 아닌 열을 그 열의 좌측의 피벗열들로 표현하여 구할 수 있으므로 피벗열이 아닌 열의 수가 UU의 기저의 수가 된다.
  • 행렬 ARm×n\boldsymbol{A}\in\mathbb{R}^{m\times n}의 랭크의 최댓값은 min(m,nm,n) 이를 full rank라 한다. full rank를 갖지 않는 행렬은 rank deficient 상태.
profile
인공지능, 개발 공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