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 집합 generating set, 생성 span
벡터 공간 V, A={x1,⋯,xk}⊆V
- 벡터 공간 V에 포함되는 벡터들 A={x1,⋯,xk}의 선형 결합으로 벡터 공간 V의 모든 벡터들을 표현할 수 있다면 A는 벡터 공간 V의 생성 집합이다.
- 벡터의 집합 A={x1,⋯,xk}의 모든 가능한 선형 결합의 집합을 A의 span이라 한다.
- A spans 벡터 공간 V: V에 속한 모든 벡터들은 벡터 집합 A={x1,⋯,xk}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 경우 V=span[A] 또는 V=span[x1,⋯,xk]
🤔:
A가 벡터 공간 V의 생성 집합이면 A의 span = V?
기저 basis
벡터 부분 공간 V의 생성 집합 중 가장 벡터의 수가 적은 생성 집합을 V의 기저라고 한다. 기저는 선형 결합으로 V에 속한 모든 벡터를 표현할 수 있되 벡터의 수가 최소이므로 선형 독립이다. (V의 생성 집합에서 어떤 벡터를 나머지 벡터들로 표현할 수 있다면 그 벡터는 빼버려도 V를 생성할 수 있다.)
- V=(V,+,⋅),B⊆V,B=∅ 일 때, 다음은 동치
- B는 V의 기저다.
- B는 최소 생성 집합이다.
- B는 V에서 가장 큰 선형 독립인 벡터 집합이다.
🤔: 선형 독립인 벡터들은 벡터 공간에서 독립적인 방향이므로 하나라도 부족하다면 V를 표현할 수 없게된다.
- 모든 v∈V는 B의 유니크한 선형 결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선형 독립이라는 의미. 선형 종속인 경우 어떤 벡터를 다른 벡터들의 선형 결합으로 대체할 수 있으니 유니크한 선형 결합이 아니다.
모든 벡터 공간은 무수히 많은 기저를 갖는다. 다만 한 벡터공간의 모든 기저는 같은 수의 벡터를 갖는다.
- R2의 기저: {[10],[01]},{[11],[01]},{[1.50],[0.81.7]},⋯
유한차원의 벡터공간만 고려하면 벡터 공간 V의 차원은 V의 기저 벡터(기저에 속한 벡터)의 수와 같고 dim(V)로 표기. 벡터 부분공간 U⊆V의 경우, dim(U) ≤ dim(V)이고 등호는 U=V인 경우 성립.
벡터 공간의 차원은 벡터 공간에서 독립적인 방향의 수로 생각할 수 있다.
🤔: 독립적인 방향이 하나 사라지면 영영 그 방향으로는 진행할 수 없고 벡터 공간의 일부를 잃을 듯?
벡터 공간의 차원이 꼭 벡터의 원소 수와 같을 필요는 없다. 벡터 공간 V=span[[01]]인 경우 V의 벡터들은 2개의 원소를 갖지만 V는 직선의 형태로 1차원 벡터 공간이다.
생성 집합에서 기저 찾기
벡터 공간 U=span[x1,⋯,xm]⊆Rn의 기저를 찾으려면
- [x1,⋯,xm] 행렬을 사다리꼴로 변환하여 피벗열을 찾는다.
- 피벗열에 대응하는 벡터 xi들이 기저 벡터
랭크 rank
행렬에서 선형 독립인 열의 수는 선형 독립인 행의 수와 같고 이를 랭크rank라고 한다. A의 랭크는 rk(A)로 표기.
- rk(A)=rk(A⊤)
- 🤔: 선형 독립인 열의 수와 선형 독립인 행의 수가 같으므로.(column rank = row rank)
- A∈Rm×n의 열들은 dim(U)=rk(A)인 부분공간 U⊆Rm을 생성(span)한다. 부분공간 U를 image 또는 range라고 한다.
- 🤔: 랭크는 선형 독립인 열의 수이므로 이 수만큼의 기저로 공간 U 생성
- A∈Rm×n의 행들은 dim(U)=rk(A)인 부분공간 W⊆Rn을 생성. 기저는 A⊤의 피벗열에 대응하는 A의 행.
- 🤔: 열로 만들던 행으로 만들던 부분공간의 차원은 같고 속한 벡터의 원소 수만 각각 m,n
- ∀A∈Rn×n일 때, rk(A)=n ⟺ A는 invertible.
- 🤔: A의 열들의 선형 독립을 판단하려면 Ax=0의 해가 오직 x=0인 경우. A−1이 존재한다면 A−1Ax=0이고 결국 x=0으로 A의 열들은 선형 독립이고 rk(A)=n
- ∀A∈Rm×n,∀b∈Rm일 때, 연립 일차 방정식 Ax=b는 해를 갖는다. ⟺ rk(A) = rk(A∣b)
- 🤔: ⎣⎢⎢⎢⎡1000250036804790∣∣∣∣1111⎦⎥⎥⎥⎤, 0x1+0x2+0x3+0x4=1? 해가 없다.
- A∈Rm×n일 때, Ax=0의 해가 생성하는 벡터 부분 공간 U의 차원 dim(U) = n-rk(A). 그리고 이 부분공간 U를 kernel 또는 null space라고 한다.
- 🤔: Ax=0의 해는 피벗열이 아닌 열을 그 열의 좌측의 피벗열들로 표현하여 구할 수 있으므로 피벗열이 아닌 열의 수가 U의 기저의 수가 된다.
- 행렬 A∈Rm×n의 랭크의 최댓값은 min(m,n) 이를 full rank라 한다. full rank를 갖지 않는 행렬은 rank deficient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