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 1.네트워크 서비스 / 3.1.6 가상화 관리
요새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가상화 기술, Docker, 오랜 숙원 Kubernates 근데 왜 도커 서비스 종료한걸까?... 여튼..
가상화 서비스
가상화는?
한 컴퓨터의 물리적 시스템 자원인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을 여럿으로 나누거나, 다수의 컴퓨터들의 물리적 자원을 하나로 묶어서 제공하는 기술
가상화의 기능
- 공유(Sharing) : 물리적 자원을 자원마다 할당하거나 시분할 기법으로 공유
- 단일화(Aggregation) : 외견상 전체 용량을 증가시키고 관리를 단순화
- 에뮬레이션(Emulation) : 존재하지 않는 물리적 자원을 처음부터 존재했던 것처럼 가질 수 있다.
- 절연(Insulation) : 투명한 변경! 장애방지 효과!
가상화의 효과
- 높아진 자원 활용률
- 낮아진 관리 비용과 관리의 용이성
- 사용의 유연성
- 향상된 보안
- 높아진 가용성
- 증가된 확장성
- 상호운영성
- 향상된 프로비저닝
가상화 분류
- 서버 가상화
1) 하드웨어 레벨 가상화
![](https://velog.velcdn.com/images%2Fcateto%2Fpost%2Fbf1266b4-ed9f-49b9-a249-41006ba084f0%2Fimage.png)
- 전가상화 : 게스트 OS를 100% 완전 가상화 환경 위에서 제공
- 반가상화 : 일부 물리적 하드웨어 접근을 허용. 게스트 OS의 커널을 일부 수정해야 함
- 호스트 기반 가상화 :가상머신을 생성하는 구조. 호스트 OS의 하드웨어를 가상 하드웨어로 재구성.
2) 운영체제 레벨 가상화
- 컨테이너 방식 : docker , 링크 클릭!
- 하드웨어 에뮬레이터 방식
3) 하이레벨 언어 가상화
- 하드웨어에 독립적이고 이식성이 뛰어난 가상머신.. 자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