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크포인트
- 저장, 호출
- 선언과 할당에 대한 설명
- 표현문이 할당되어 담기는 과정
- 사용되는 용어
- 할당연산자
변수
- 변수를 사용한다. 라는 것은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뜻을 가진다.
- 여기서 변수의 이름은 데이터를 저장한 보관함의 이름이 되고, 변수의 이름을 이용하여 보관함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 올 수 있게된다.
변수의 사용
- 보관함을 확보 → 선언(declaration)
- 데이터 저장 → 할당(assigngment)
let a
a = 10
- 위의 내용은
let a = 10 와 동일하며, 이 처럼 선언과 할당을 동시에 해줄 수 있다.
- JS 에서
=(equal) 기호는 같다라는 뜻이 아니라, 대입(할당)한다는 뜻이다.
- 컴퓨터는 위에서 이름과 함께 할당된 데이터를 보관함에 가지고 있다가, 변수가 호출된 곳에서 보관함에 해당 이름을 가진 데이터를 찾아 변수의 위치에 대입한다.
- 즉, 변수는 이름이 붙은 데이터를 뜻하며 이 이름(변수명)을 통해 데이터를 다른 원하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게된다.
let a = 1;
a = a + 10
a = a + 15
a = a + 10
- 변수의 이름이 다시 사용되어 계산되는 경우 좌측의
변수 a 라는 저장소에 이전 결과값이 저장되고, 다음 계산에서 재사용되어 계산된다.
- 만약 데이터가 할당이 되지 않은 변수를 호출하게 된다면,
undefined 라는 '정의되지 않았다.' 라는 뜻을 가진 데이터를 반환한다.
+
- 한번 선언한 변수를 다시 사용하는 경우 변수선언 키워드를 다시 사용하지 않는다.
- 코드의 한줄을
표현식(expression) 이라고 한다.
- 변수의 작성은
카멜케이스로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