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형

최경락 (K_ROCK_)·2021년 11월 9일
0
post-thumbnail

체크포인트

  • 원시자료형과 참조자료형
  • 타입 별 속성과 메소드
  • typeof
  • 엄밀한 비교(일치, 불일치 연산자)의 필요성

데이터 타입

  • JS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들은 각각 타입이 나뉘어져 있다.
  • 추가로 데이터 타입은 원시자료형과 참조자료형으로 나눌 수 있다.

원시자료형

문자열(string), 숫자(number), 불리언(boolean), undefined, null

  • 문자열 → 우리가 사용하는 문자를 뜻하며, 작은따옴표('') , 큰따옴표(""), 혹은 백틱, backtick(``) 으로 사용 할 수 있다.
    숫자 → 숫자...
  • 불리언true 혹은 false 로 이루어진 값을 뜻하며, 참과 거짓, 1과 0, 네와 아니오 를 의미한다.
  • undefined → 어떠한 변수에 값이 정의되지 않았음. 을 의미한다.
  • null → undefined 와는 다르게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비워둔 것을 명시적으로 알리는 데이터이다.

참조자료형

함수(function), 배열(array), 객체(object)

  • 함수 → 함수다.
  • 배열 → 위에서 작성된 원시자료형을 다수 포함 할 수 있는 타입으로, 가지고 있는 데이터에 순서를 지정하고 해당 위치의 데이터를 불러 올 수 있다.
  • 객체 → 배열과 같이 여러 타입을 포함 할 수 있으며,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이름(key) 으로 불러 올 수 있다.
  •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원시자료형하나의 값만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데 반하여, 참조자료형은 그 하나의 데이터를 가진 원시자료형'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 원시자료형이 아닌 것은 참조자료형이다. 라고 생각 할 수 있다.

typeof

  • JS 기본 명령어로, 데이터의 자료형을 파악 할 수 있는 명령어다.
// 원시자료형
typeof 'text'         // string
typeof 123            // number
typeof false          // boolean
typeof undefined      // undefined
typeof null           // object

//참조자료형
typeof function() {}  // function
typeof ['1',2,3]      // object
typeof {a : 1, b : 2} // object
  • 모든게 정확하게 표시되지는 않는다....

일치 / 불일치 연산자(엄밀한 비교)

  • JS 에는 자료형이 있으며, 표면적 값이 같더라도 둘의 자료형이 다르다면 그 둘은 같은 값이라고 볼 수 없다.
  • 예를 들면, '123'123 은 서로 123이라는 모양을 가지고는 있지만, 자료형이 다르므로 같은 값이 아니다.
  • 역시 'false'false, undefined'undefined' 도 모두 같은 값이 아니다.
  • 우리가 두 항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비교연산자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것이 일치연산자와 불일치연산자 이다.
  • 각각 === (일치), !== (불일치) 로 표현하며, 각 연산자는 데이터의 타입까지 고려하여 일치 여부를 혹은 불일치 여부를 불리언으로 반환한다.

+

  • 배열과 객체는 여러 원시자료형이 섞인(compound) 타입이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