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function)

최경락 (K_ROCK_)·2021년 11월 9일
0

체크포인트

  • 함수는 작은 기능의 단위
  • keyword, name, parameter, body
  • 선언과 호출의 이해
  • 함수 표현식이 변수에 담기는 과정
  • 결과값이 변수에 할당되어 담기는 과정
  • 호출과 리턴 활용
  • 함수자체와 호출에 대한 구분
  • 매개변수와 전달인자의 구분
  • 함수를 선언식, 표현식, 화살표 함수로 작성해보기.

함수

  • 함수란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시사항(코드)들이 모인 블럭이다.
  • 함수는 선언과 호출로 이루어지며, 선언은 컴퓨터에 함수를 저장하고, 호출은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 불러오는 것이 이야기한다.
    → 호출을 함수를 실행하기 위한 스위치와도 같다.

함수의 선언과 호출

  • 함수의 선언은 function 함수명(){} 으로 이루어지며, 함수의 호출은 함수명() 로 이루어진다.
function gun() {총알을 쏘기위한 매커니즘} 
// 함수 선언

gun()
// 함수 호출 (발싸!)  
  • 함수의 선언을 위해서는 keyword, name, parameter, body 가 각각 필요한데, function fn(){} 를 예시로 들었을 경우 아래와 같다.
function // keyword, 함수를 선언하기 위한 키워드
fn // name, 함수의 이름
() // parameter, 매개변수
{} // body, 함수의 실질적인 내용이 들어가는 곳

return

  • 함수는 반드시 그 값을 반환해야 하는데, 그러기위해 사용되는 것이 return문이다.
  • return 을 이용하지 않아 함수에게 값을 반환해주지 않는 경우, 함수는 undefined 를 반환하게 된다.
    (결국 함수 자체에는 값이 없기 때문)
  • 즉, return 이 존재하여야 우리가 작성한 함수의 출력이 정상적으로 함수에 전달 될 수 있다.

함수의 작성법

선언식

  • 가장 기본적인 작성방법으로, function 이라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함수를 선언하는 방법이다.
  • function 함수명 () {} 로 작성한다.

표현식

  • 함수를 이름으로 선언하는 것이 아니라, 변수를 지정하고 변수의 값을 함수로 지정하는 방법.
  • const 함수명 = function () {} 로 작성한다.

화살표 함수 작성법

  • 화살표 함수는 함수표현에 기반을 둔다.
  • 표현식과 동일하게 변수의 값에 함수를 지정한다.
  • const 함수명 = () => {} 로 작성한다.
  • 화살표 함수는 축약이 가능하며, 함수내부에서 리턴만 진행되는 경우 중괄호 {}를 생략 할 수 있다.
const fn = (a) => {return a + 10}

const fn = (a) => a + 10 // 중괄호 생략
  • 만약 화살표 함수내의 표현식이 2줄 이상일 경우 중괄호와 리턴문을 명시적으로 작성 해 주는 것이 좋다.
    (가독성 up!)

매개변수(parameter)와 전달인자(argument)

  • 매개변수는 함수의 선언단계에서 지정하며,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받는 역할을 한다.
  • 입력에 따라 바뀔수 있는 변수이지만,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고 매개변수 자리에 넣는 것만으로도 사용가능하다.
function fn(매개변수) {}

const fn = function (매개변수) {}

const fn = (매개변수) => {}
  • 전달인자는 함수의 호출단계에서 사용하며, 작성된 데이터를 내부로 전달 하는 역할을 한다.
fn(전달인자)

이렇게 전달인자로 입력된 데이터는 함수의 매개변수로 전달되고, 전달된 데이터는 함수내부의 사용처 전달되며, return 을 통해 처리된 값이 반환되게 된다.
→주문을 넣으면 요리가 나오는 것이 마치 배민과 나의 관계같구나.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