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GAN으로 GAN 입문

choonsikmom·2022년 2월 23일
0

pytorch

목록 보기
5/14

✳ GAN

  1. 두 종류의 신경망 준비 : 화상을 생성하는 신경망 생성기(Generator, G)와 생성된 가짜 화상인지 훈련 데이터로 준비한 화상인지 분류하는 신경망 식별기(Discriminator, D)
  2. G는 D를 속이기 위해 훈련 데이터에 가까운 화상을 생성하도록 학습하고, D는 G에 속지 않고 진위를 가려내도록 학습
  3.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G가 현실에 존재할 만한 화상을 생성

MNIST 필기체 숫자 생성하기


✳ Generator Mechanism

Ganerator(G) 의 역할

  • 생성할 화상은 64x64 크기, 채널은 흑백 1채널로 0~255단계의 256단계 값으로 함.
    화상은 64x64 = 4,096 픽셀을 가지며, 각 256단계이므로 256의 4,096승 화상 패턴이 존재하게 됨. 사람이 봤을 때 숫자로 보이는 패턴을 생성하는 것이 G의 역할
  • 다양한 패턴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G 신경망의 입력 데이터는 다양한 패턴을 생성할 난수를 입력함. 난수 값에 따라 G가 숫자 화상을 출력
  • G에 필기체 숫자의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지도 데이터가 필요함. 사람이 봤을 때 숫자로 보이는 화상ㅇ르 지도 데이터로 G에 제공.
    즉, 256의 4,096승 패턴의 화상 중 사람이 봤을 때 필기체 숫자인 일부 지도 데이터의 화상을 단서로, 사람이 봣을 때 필기체 숫자로 보이는 패턴의 규칙을 G가 기억하게 됨. G는 규칙(학습한 신경망의 결합 파라미터)과 입력 난수에서 화상을 생성

◽ Generator 구현


전치 합성곱 ConvTranspose2d를 사용한 G 구현

  • G는 ConvTranspose2d, 배치 정규화, ReLU 를 1세트로 한 레이어를 4회 반복하여 특징량 크기를 서서히 늘림.
  • 각 레이어에서 최초 레이어만큼 채널 수를 많이 잡은 전치 합성곱으로 조금씩 채널 수를 줄임. 네 개의 레이어를 통과한 뒤,
    마지막으로 ConvTranspose2d의 출력 채널 수를 1 (흑백 화상의 채널 수 1에 해당)로 함. 활성화 함수는 Tanh로 하여 -1부터 1까지 출력하는
    출력 레이어를 생성. 변수 z는 입력 난수를 나타냄.
  • 입력 난수 차원은 z_dim=20으로 함
import random
import math
import time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from PIL import Image

import torch
import torch.utils.data as data
import torch.nn as nn
import torch.nn.functional as F
import torch.optim as optim

from torchvision import transforms

class Generator(nn.Module) :
    def __init__(self, z_dim=20, image_size=64) :
        super(Generator, self).__init__()
        
        self.layer1 = nn.Sequential(nn.ConvTranspose2d(z_dim, image_size * 8,
                                    kernel_size=4, stride=1),
                        nn.BatchNorm2d(image_size * 8),
                        nn.ReLU(inplace=True))
        
        self.layer2 = nn.Sequential(nn.ConvTranspose2d(image_size * 8, image_size *4,
                                    kernel_size=4, stride=2, padding=1),
                    nn.BatchNorm2d(image_size * 4),
                                    
                                   nn.ReLU(inplace=True))
        self.layer3 = nn.Sequential(nn.ConvTranspose2d(image_size *4, image_size*2,
                                    kernel_size=4, stride=2, padding=1),
                    nn.BatchNorm2d(image_size *2),
                    nn.ReLU(inplace=True))
        
        self.layer4 = nn.Sequential(nn.ConvTranspose2d(image_size * 2, image_size,
                                    kernel_size=4, stride=2, padding=1),
                        nn.BatchNorm2d(image_size),
                        nn.ReLU(inplace=True))
        self.last = nn.Sequential(nn.ConvTranspose2d(image_size, 1, kernel_size=4,
                                    stride=2, padding=1),
                nn.Tanh())
        
        # 주의 ! 흑백 화상이므로 출력 채널은 하나임.
        
    def forward(self, z) :
        out = self.layer1(z)
        out = self.layer2(out)
        out = self.layer3(out)        
        out = self.layer4(out)
        out = self.last(out)
        
        return out
# 구현한 G로 화상을 생성하기

# 동작 확인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matplotlib inline

G = Generator(z_dim=20, image_size=64)

# 난수 입력
input_z = torch.randn(1, 20)

# 텐서 크기 (1, 20, 1, 1)로 변형
input_z = input_z.view(input_z.size(0), input_z.size(1), 1, 1)

# 가짜 화상 출력
fake_images= G(input_z)

img_transformed = fake_images[0][0].detach().numpy()
plt.imshow(img_transformed, 'gray')
plt.show()

✳ Discriminator Mechanism

  • G와 마찬가지로 4개의 layerlast의 총 다섯개 레이어로 구성

◽ Discriminator 구현


class Discriminator(nn.Module) :
    def __init__(self, z_dim=20, image_size=64) :
        super(Discriminator, self).__init__()
        
        self.layer1 = nn.Sequential(nn.Conv2d(1, image_size, kernel_size=4,
                                             stride=2, padding=1),
                                    nn.LeakyReLU(0.1, inplace=True))
        # 주의 ! 흑백 화상이므로 입력 채널은 하나 뿐이다.

        self.layer2 = nn.Sequential(nn.Conv2d(image_size, image_size*2, kernel_size=4,
                                             stride=2, padding=1),
                                   nn.LeakyReLU(0.1, inplace=True))

        self.layer3 = nn.Sequential(nn.Conv2d(image_size*2, image_size*4, kernel_size=4,
                                             stride=2, padding=1),
                                   nn.LeakyReLU(0.1, inplace=True))

        self.layer4 = nn.Sequential(nn.Conv2d(image_size*4, image_size*8, kernel_size=4,
                                             stride=2, padding=1),
                                   nn.LeakyReLU(0.1, inplace=True))

        self.last = nn.Conv2d(image_size*8, 1, kernel_size=4, stride=1)

    def forward(self, x) :
        out = self.layer1(x)
        out = self.layer2(out)
        out = self.layer3(out)
        out = self.layer4(out)
        out = self.last(out)
        
        return out
# G에서 가짜 화상을 생성한 후 D에 입력하여 판단 
# (G에서 생성된 가짜 화상이면 라벨 0, 지도 데이터면 라벨 1)
# 동작 확인
D = Discriminator(z_dim=20, image_size=64)

# 가짜 화상 생성
input_z = torch.randn(1, 20)
input_z = input_z.view(input_z.size(0), input_z.size(1), 1, 1)
fake_images = G(input_z)

# 가짜 화상을 D에 입력
d_out = D(fake_images)

# 출력 d_out에 시그모이드를 곱하여 0에서 1로 변환
print(nn.Sigmoid()(d_out))

DCGAN의 손실함수, 학습, 생성


✳ GAN의 손실함수

D의 손실함수

  • D는 G의 화상을 정확히 판정하기 위하여 상단의 식을 최소화 하려 함. 반대로 G는 식을 최대화 하려고 함
  • torch.nn.BCEWithLogitsLoss()로 구현

G의 손실함수

  • criterion(d_out_fake.view(-1), label_real)로 구현

◽ 데이터 로더 작성

def make_datapath_list() :
    '''학습 및 검증 화상 데이터와 어노테이션 데이터의 파일 경로 리스트 작성'''
    
    train_img_list = list() # 화상 파일 경로 저장
    
    for img_idx in range(200) :
        img_path = './pytorch_advanced/gan_generation/data/img_78/img_7_' + str(img_idx) + '.jpg'
        train_img_list.append(img_path)
        
        img_path = './pytorch_advanced/gan_generation/data/img_78/img_8_' + str(img_idx) + '.jpg'
        train_img_list.append(img_path)
        
    return train_img_list
class ImageTransform() :
    '''화상 전처리 클래스'''
    
    def __init__(self, mean, std) :
        self.data_transform = transforms.Compose([
            transforms.ToTensor(),
            transforms.Normalize(mean, std)])
    def __call__(self, img) :
        return self.data_transform(img)
class GAN_Img_Dataset(data.Dataset) :
    '''화상의 데이터셋 클래스, 파이토치의 데이터셋 클래스를 상속'''
    
    def __init__(self, file_list, transform) :
        self.file_list = file_list
        self.transform = transform
        
    def __len__(self) :
        '''화상 매수 반환'''
        return len(self.file_list)
    
    def __getitem__(self, index) :
        '''전처리 화상의 텐서 형식 데이터 취득'''
        
        img_path = self.file_list[index]
        img = Image.open(img_path) # [높이][폭]
        
        # 화상 전처리
        img_transformed = self.transform(img)
        
        return img_transformed
# 데이터 로더 작성과 동작 확인

# 파일 리스트 작성
train_img_list = make_datapath_list()

# 데이터셋 작성
mean = (0.5, )
std = (0.5, )

train_dataset = GAN_Img_Dataset(file_list=train_img_list,
                               transform=ImageTransform(mean, std))

# 데이터 로더 작성
batch_size=  64

train_dataloader = torch.utils.data.DataLoader(train_dataset,
                                              batch_size=batch_size,
                                              shuffle=True)
# 동작 확인
batch_iterator = iter(train_dataloader) # 반복자로 변환
images = next(batch_iterator) # 첫 번째 요소를 꺼냄
print(images.size()) # torch.Size([64, 1, 64, 64])

◽ DCGAN 학습

# 네트워크 초기화
# --> 전치합성곱과 합성곱 층의 가중치는 평균 0, 표준편차 0.02의 정규 분포로,
# 배치 정규화의 가중치는 평균 1, 표준편차 0.02의 정규 분포를 따르도록 초기화
# 각 바이어스 항은 초기는 0으로 함.
def weights_init(m) : 
    classname = m.__class__.__name__
    if classname.find('Conv') != -1 :
        # Conv2d와 ConvTranspose2d 초기화
        nn.init.normal_(m.weight.data, 0.0, 0.02)
        nn.init.constant_(m.bias.data, 0)
    
    elif classname.find('BatchNorm') != -1 :
        # BatchNorm2d 초기화
        nn.init.normal_(m.weight.data, 1.0, 0.02)
        nn.init.constant_(m.bias.data, 0)
        
# 초기화 실시
G.apply(weights_init)
D.apply(weights_init)

print('네트워크 초기화 완료!')
# 모델을 학습시키는 함수 작성
def train_model(G, D, dataloader, num_epochs) :
    
    # GPU를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
    device= torch.device('cuda:0' if torch.cuda.is_available() else 'cpu')
    print('사용 장치 :', device)
    
    # 최적화 기법 설정
    g_lr, d_lr = 0.0001, 0.0004
    beta1, beta2 = 0.0, 0.9
    g_optimizer = torch.optim.Adam(G.parameters(), g_lr, [beta1, beta2])
    d_optimizer = torch.optim.Adam(D.parameters(), d_lr, [beta1, beta2])
    
    # 오차 함수 정의
    criterion = nn.BCEWithLogitsLoss(reduction='mean')
    
    # 파라미터를 하드 코딩
    z_dim = 20
    mini_batch_size = 64
    
    # 네트워크를 GPU로
    G.to(device)
    D.to(device)
    
    G.train() # 모델을 훈련 모드로
    D.train() # 모델을 훈련 모드로
    
    # 네트워크가 어느정도 고정되면 고속화
    torch.backends.cudnn.benchmark = True
    
    # 화상 매수
    num_train_imgs = len(dataloader.dataset)
    batch_size = dataloader.batch_size
    
    # 반복 카운터 설정
    iteration = 1
    logs = []
    
    # 에폭 루프
    for epoch in range(num_epochs) :
        # 개시 시간 저장
        t_epoch_start = time.time()
        epoch_g_loss = 0.0 # 에폭의 손실 합
        epoch_d_loss = 0.0 # 에폭의 손실 합
        
        print('-' * 20) 
        print(f'Epoch {epoch}/{num_epochs}')
        print('-' * 20) 
        print(' (train) ')
        
        # 데이터 로더에서 미니 배치씩 꺼내는 루프
        for images in dataloader :
            
            # -----------------------
            # 1. Discriminator 학습
            # -----------------------
            # 미니 배치 크기가 1이면 배치 정규화해서 오류가 발생하므로 피함
#             if images.size()[0] == 1 :
#                 continue
                
            # GPU를 사용할 수 있다면 GPU로 데이터를 보냄
            images = images.to(device)
            
            # 정답 라벨과 가짜 라벨 작성
            # 에폭의 마지막 반복은 미니배치 수가 줄어듦
            mini_batch_size = images.size()[0]
            label_real = torch.full((mini_batch_size,), 1).to(device)
            label_fake = torch.full((mini_batch_size, ), 0).to(device)
            
            # 진짜 화상 판정
            d_out_real = D(images)
            
            # 가짜 화상을 생성하여 판정
            input_z = torch.randn(mini_batch_size, z_dim).to(device)
            input_z = input_z.view(input_z.size(0), input_z.size(1), 1, 1)
            fake_images = G(input_z)
            d_out_fake = D(fake_images)
            
            # 오차 계산
            d_loss_real = criterion(d_out_real.view(-1), label_real)
            d_loss_fake = criterion(d_out_fake.view(-1), label_fake)
            d_loss = d_loss_real + d_loss_fake
            
            # 역전파 
            g_optimizer.zero_grad()
            d_optimizer.zero_grad()
            
            d_loss.backward()
            d_optimizer.step()
            
            # -----------------------
            # 2. Generator 학습
            # -----------------------
            # 가짜 화상을 생성하여 판정
            input_z = torch.rand(mini_batch_size, z_dim).to(device)
            input_z = input_z.view(input_z.size(0), input_z.size(1), 1, 1)
            fake_images = G(input_z)
            d_out_fake = D(fake_images)
            
            # 오차 계산
            g_loss = criterion(d_out_fake.view(-1), label_real)
            
            # 역전파
            g_optimizer.zero_grad()
            d_optimizer.zero_grad()
            g_loss.backward()
            g_optimizer.step()
            
            # --------------------
            # 3. 기록
            # --------------------
            epoch_d_loss += d_loss.item()
            epoch_g_loss += g_loss.item()
            iteration += 1
            
        # 에폭의 phase별 손실과 정답률
        t_epoch_finish = time.time()
        print('-' * 20) 
        print(f'Epcoh {epoch} || Epoch_D_Loss : {epoch_d_loss / batch_size :.4f} || \
                Epoch_G_Loss : {epoch_g_loss/batch_size:.4f}')
        print(f'Timer : {t_epoch_finish - t_epoch_start:.4f} sec')
        t_epoch_start = time.time()
            
    return G, D
# 학습 및 검증 실행
num_epochs = 200
G_update, D_update = train_model(G, D, dataloader=train_dataloader,
                                num_epochs=num_epochs)
# 생성 화상과 훈련데이터 시각화
# 이 셀은 괜찮은 느낌의 화상이 생성될 때까지 재실행한다

device = torch.device('cuda:0' if torch.cuda.is_available() else 'cpu')

# 입력 난수 생성
batch_size = 8
z_dim = 20
fixed_z = torch.randn(batch_size, z_dim)
fixed_z = fixed_z.view(fixed_z.size(0), fixed_z.size(1), 1, 1)

# 화상 생성
G_update.eval()
fake_images = G_update(fixed_z.to(device))

# 훈련 데이터
batch_iterator = iter(train_dataloader) # 반복자로 변환
images = next(batch_iterator) # 첫 번째 요소를 꺼냄

fig = plt.figure(figsize=(15, 6))
for i in range(0, 5) :
    # 상단에 훈련 데이터 표시
    plt.subplot(2, 5, i+1)
    plt.imshow(images[i][0].cpu().detach().numpy(), 'gray')
    
    # 하단에 생성 데이터 표시
    plt.subplot(2, 5, 5+i+1)
    plt.imshow(fake_images[i][0].cpu().detach().numpy(), 'gray')

숫자의 지도 7,8만 200개씩 생성했을 때, 시간을 계속 늘리면 G는 7의 화상만 생성하게 됨
--> 숫자 7이 8에 비해 단순하며 식별기 D를 속이는 화상 생성이 쉽기 때문
: 이처럼 지도 데이터 일부만 생성하는 형상 모드 붕괴라고 함.

profile
춘식이랑 함께하는 개발일지.. 그런데 이제 먼작귀를 곁들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