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bability Axioms (확률 공리)
chance experiment E(확률 실험)에 대하여, sample space S(표본공간) 내 사건 A의 발생 확률은 P(A)로 정의되고, 다음 3개의 공리를 만족해야 한다.
- P(A)는 non-negative number이다. 즉, P(A)≥0이다.
- S의 발생 확률은 1이다. P(S)=1
- 두 사건 A, B가 상호 배타적(mutually exclusive)이라면, 사건 A 또는 B가 발생할 확률P(A or B)은 두 사건 발생 확률의 합과 같다.
즉, P(A∪B)=P(A)+P(B)
Conditional Probabilities and Statistical Independence
Conditional Probability(조건부 확률)
사건 B가 발생한 조건 하에 사건 A가 발생할 확률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p(A∣B)=P(B)P(A∩B)
이와 유사하게, 사건 A가 발생한 조건 하에 사건 B가 발생할 확률은 다음과 같다.
p(B∣A)=P(A)P(A∩B)
사건 A와 B가 동시에 발생할 확률 P(A and B)은 다음과 같다.
P(A∩B)=P(B∣A)P(A)=P(A∣B)P(B)
Statistical Independence
P(A∩B)=P(A)P(B)
두 사건 A, B가 위 식을 만족하면, 두 사건은 통계적으로 독립적이라고 할 수 있다.
Total Probability and Bayes’ Theorem
Total Probability (전확률의 법칙)
사건 A1,A2,…,Am가 표본 공간 S를 구성하는 부분집합들이라고 하자. 이 사건들은 상호 배타적이며, 이 사건들을 모두 더하면 S가 된다. 그러면, 어떠한 사건 B의 발생 확률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P(B)=∑i=1mP(B∩Ai)=∑i=1mP(B∣Ai)P(Ai)
증명
모든 사건 Ai가 상호 배타적이므로, B∩Ai또한 상호 배타적이다. 따라서, 확률 공리 #3을 적용하면 우리는 다음과 같이 P(B)값을 정리할 수 있다.
P(B)=P(B∩A1)+P(B∩A2)+…+P(B∩Am)
P(B∩Ai)를 조건부 확률로 대체해서 써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P(B∩Ai)=P(B∣Ai)P(Ai)
→ P(B)=P(B∣A1)P(A1)+P(B∣A2)P(A2)+…+P(B∣Am)P(Am)
Bayes’ Theorem (베이즈 정리)
다음 표현식을 베이즈 정리라고 한다.
P(B∣A)=P(A)P(A∣B)P(B)
(*우리는 앞선 조건부 확률 식에서 P(A∩B)=P(A∣B)P(B)임을 알고 있다.)
상호 배타적인 사건 A1,A2,…,Am가 표본 공간 S를 구성하는 부분집합들이라고 하면, 베이즈 정리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
P(Ai∣B)=∑j=1mP(B∣AJ)P(AJ)P(B∣Ai)P(Ai) , (1≤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