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2. Transport Layer

신명철·2022년 6월 21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15/17
post-custom-banner

Transport services & protocols

  • app process 간의 logical communication을 제공
  • delay 보장이나, minimum badnwidth 같은건 보장하지 못함

transport vs network layer

  • network layer: host 간의 logical communication
  • transport layer: process 간의 logical communication
    • network layer를 보완하는 역할(e.g 흐름제어, 오류제어, ...)

TCP

  • reliable, in-order delivery
    • connection setup
    • flow control: receiver 사정에 따라 조절
    • congestion control: network 사정에 따라 조절

UDP

  • unreliable, unordered delivery
  • network 계층에 process 간 delivery 역할만 추가함

multiplexing/demultiplexing

  • multiplexing: 송신 측의 transport layer에서 app layer에서 내려온 메세지에 transport header 값을 더하는 과정
  • demultiplexing: 수신 측의 transport layer에서 network layer에서 올라온 datagram의 transport heeader를 extract해서 올바른 socket으로 넣어주는 과정
    • network layer에서 올라오는 datagram 에는 수신/송신자 IP주소가 담겨 있음
    • TCP/UDP segment에는 송신/수신자 port 번호가 담겨 있음
    • 이러한 정보들을 socket에 연결하는데 사용함

connectionless demultiplexing

  • 하나의 socket을 여러개의 process가 공동으로 이용함 => 목적지에서 dest port 번호로 socket을 구분할 수 있음
  • 그렇기 때문에, 서로를 식별하기 위해 UDP와 같은 connectionless 통신에는 보낸 host의 IP주소와 port번호가 반드시 명시되어야 함

connection-oriented demultiplexing

  • contact한 app에 대해서 각각 별도의 socket을 생성함
    • 목적지에서 socket을 구분하기 위해서 dest port 번호와 dest IP, source IP, source port 번호가 필요함

UDP

  • connectionless
    • no handshaking
    • 각각의 UDP segment가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됨 => 송신자가 누구인지를 서로 구분하지 않음
  • 손실되거나 순서가 바껴서 도착할 수 있음
  • minimum throughput 을 제공함
  • 오히려 reliable transfer를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음
    • app layer에서 reliability를 위한 function과 error가 발생한 경우 app layer에서 recovery할 수 있는 function을 추가하고 반복적인 transportation으로 overhead를 줄임
  • e.g) streaming multimedia, DNS, SNMP, ...

UDP checksum

  • sender 측에서 UDP segment를 연속적인 두 개의 16bit로 보고, 이 두 개의 16bit integers를 더한 후 NOT 연산을 통해 checksum을 만들고 checksum field에 이를 넣어줌
  • receiver 측에서도 전달받은 UDP segment를 통해 checksum을 만들어보고 checksum field의 값과 다르다면 에러가 발생했다는 것으로 인지
  • 다만, 모든 에러를 잡을 수 있는 것은 아님. 예를 들어 두 개의 16bit integers의 4번째 bit가 0->1, 1->0 으로 바꼈다면 에러가 발생했지만, 결과적으로 checksum이 같을 수 있음

TCP

  • point to point
  • reliable
  • in-order byte stream delivery
    • 유저의 message를 buffer에 받고 이 message들을 연속적으로 이어진 byte들의 집합으로 보고 message boundary가 아니라 maximum segment size를 기준으로 잘라서 내보냄
  • pipelined
    • throughput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달과 응답을 한번씩 주고 받는게 아니라, window를 설정해서 주고 받음
  • full duplex data
    • server도 client에게 data를 보낼 수 있음
  • connection-oriented
  • flow controlled
  • congestion controlled

TCP sender events

  • reliable transfer를 위해 segment number & checksum을 segment header에 싣는다
    • segment number는 byte-stream의 첫 data 번호를 말함
  • 만약 timer가 동작하고 있지 않다면 timer를 작동시킴
    • timeout이 발생했으면 segment를 재전송하고 timer를 재시작
    • timer는 내보냈지만 ack을 아직 못받은 segment를 기준으로 돌아감, 받지 못한게 없으면 timer stop

재전송 시나리오

  • premature timeout: receiver는 accumulative ACK을 사용하므로 ACK이 도착하기전에 timeout이 발생해도 마지막으로 받은 segment를 기준으로 ACK을 전송한다

3-way handshake


1. client가 syn 메세지를 보냄(client가 사용하고 싶은 initial segment number를 보냄(Seq=x))
2. server는 syn 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 ack 메세지(ACKnum=x+1)를 보내고, server 측에서도 syn 메세지를 보냄(server에서 사용할 initial segment number(Seq=y)를 보냄)
3. client는 server가 보낸 syn 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 ack 메세지를 보냄. 이 때 이 메세지에는 client가 server로 보내는 첫 번째 데이터가 들어있을 수도 있음

4-way handshake

  • server와 clinet는 자신의 connection을 종료해야 함
  1. client가 server에게 FIN bit=1 인 segment를 전송함
  2. server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메세지를 보냄
  3. server는 client에게 FIN bit=1 인 segment를 전송함
  4. client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메세지를 보냄. 이때 아직 네트워크에서 떠돌아다니는 데이터들이 들어올 시간을 두고 기다렸다가 연결을 종료하게 됨

TCP 빠른 재전송

  • 일반적으로 time-out period는 길기 때문에 이를 줄이고자 사용하는 방법
  • 3개의 dup ACK이 들어오면 재전송을 하는 방식
    • 불필요한 재전송을 피하기 위해서 3번을 기다리는 것
  • 만약 그림대로 마지막 segment에 ACK packet을 보낸다면 segment number는 180이 된다.

TCP 흐름 제어 (송신자 능력에 맞게)

  • sender가 보내는 segment는 TCP socket receiver buffer에 저장되는데, buffer가 넘치면 segment가 손실되는 현상이 발생함 => flow control은 이를 예방하기 위한 기법
  • receiver는 free buffer space 값인 rwnd을 sender에게 보내는 segment TCP header에 적어서 보내고, sender는 이 rwnd값을 넘지 않기 위해 보내는 양을 조절함

TCP 혼잡 제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 network가 감당할 수 없을만큼 많은 data를 보내는 경우 delay가 길어지거나 packet이 손실될 수 있음 => 이를 예방하고자 사용하는 기법
    • retransmission이 많이 발생하는 만큼 효율성이 줄어듬

AIMD(Additive Increase Multiplicative Decrease)

  • additivie increase: 송신자가 1RTT마다 1MSS(Maximum Segment Size)만큼 cwnd를 증가시킴
  • multiplicative decrease: 손실이 발생하면 cwnd를 절반으로 줄임

Slow Start

  • 초기에는 cwnd가 1임
  • connection이 연결되고 손실이 발생하기 전까지 매 RTT마다 cwnd를 2배씩 증가시킴 => ACK이 들어올때마다 cwnd를 1씩 증가시킴
  • 시작은 적지만 매우 빠르게 증가함 => cwnd가 충분히 커지면 조심해야 함

혼잡 회피

  • Slow Startcwnd가 충분히 커진다면 그때부터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서 증가값을 줄여야 함 => 그 기준을 ssthresh, 즉 임계치라고 함
    • ssthresh는 처음엔 OS가 설정한 값으로 세팅되었다가, 손실이 발생하면 손실이 발생했을 때의 cwnd의 절반으로 재설정됨
  • cwndssthresh를 넘어가면 그때부터 매 RTT마다 cwnd를 1씩 증가시킴
    • cwnd<ssthresh : slow start phase
    • cwnd >= ssthresh : congestion avoidance phase

TCP Tahoe

  • timeout이 발생하거나 3 dup ack가 발생하면 cwnd를 1로 줄임

TCP RENO

  • timeout3 dup ack의 판단 기준을 서로 구분함
    • 3 dup ack: 덜 심각한 network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cwnd 를 절반으로 줄임 => 이 때는 ssthresh도 절반으로 줄여지기 때문에 cwndssthresh랑 같아지는 결과가 생김 => cwnd를 RTT마다 1씩 증가시킴
    • timeout: cwnd를 1로 줄임 => cwnd가 1이기 때문에 slow start, 즉 RTT마다 2배씩 증가

출처: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046412

profile
내 머릿속 지우개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