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핸드쉐이크(handshake) 단계 (HandshakeInterceptor)목적 : WebSocket 연결을 최초로 맺는 과정. 일반적인 HTTP/HTTPS 프로토콜을 사용.헤더 : Authorization, Cookie 등 표준 HTTP 헤더인터셉터 : 주된
HTTP 요청의 경우, 필터 체인 안에서 Spring Security가 자동으로 인증정보를 SecurityContextHolder에 넣어주지만,WebSocket 에서는 인증 정보가 자동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메세지 처리시마다 수동으로 인증정보를 넣어 줘야 한다.각각
What 서버에서 클라이언트가 보낸 메시지를 처리하다가 예외(Exception)가 발생하면, StompSubProtocolErrorHandler가 이 예외를 가로챕니다. 이때 핸들러의 주된 임무는 "클라이언트님, 당신이 보낸 메시지 처리 중에 이런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stompjs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웹 상에서 websocket stomp 전송에 문제가 없었는데 안드로이드에서 websocket 연결 후 stomp CONNECT frame 에 대해 요청한 것으로 보이는 데 서버상에서는 아무런 요청이 오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stom
Expo 프로젝트에서 android/build.gradle 파일의 buildscript { ext { ... } } 블록은 Android 빌드에 필요한 전역 변수(extra properties)를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Expo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변수들을 자동으로
가장 확실하게 프로젝트의 Expo SDK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프로젝트의 package.json 파일을 확인하는 것입니다.package.json 파일 열기: 프로젝트 루트 디렉토리에 있는 package.json 파일을 텍스트 편집기나 IDE로 엽니다.dependenc
Expo에서 React Native 프로젝트를 개발할 때 버전 호환성 문제는 정말 흔하게 발생하는 어려움입니다. 특히 expo CLI, react-native, expo-sdk, gradle, 그리고 Android Gradle Plugin (AGP) 간의 복잡한 관계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면, 설치된 모든 시뮬레이터 기기와 iOS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만약 목록에 있다면, 해당 기기의 이름(예: "iPhone 15 (iOS 18.2)") 또는 UDID를 확인하세요.만약 없다면, Xcode > Settings > Com
역할: npm은 Node.js로 만들어진 다양한 라이브러리(패키지)들을 다운로드, 설치, 업데이트, 삭제하고, 프로젝트에서 이러한 패키지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치 스마트폰의 앱 스토어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필요한 기능을 가진 앱(패키지)을 검색해서 설
이 오류는 기존에 설치된 앱과 새로 설치하려는 앱의 서명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1\. 이전에 다른 키로 서명된 앱이 이미 에뮬레이터/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2\. 개발 과정에서 서명 키가 변경된 경우해결
signingReport 명령어는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의 빌드 변형(build variant)별 서명(signing) 정보를 출력하는 Gradle Task입니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각 빌드 변형에 설정된 키 스토어(keystore), 키 앨리어스(key alias),
Expo의 prebuild와 eas build는 앱을 빌드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핵심적인 차이점을 설명해 드릴게요.네이티브 코드 생성 및 설정: expo prebuild는 로컬 개발 환경에서 실행되는 Expo CLI 명령어입니다.
Expo에서의 "development build"는 개발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별한 앱 빌드 형태입니다. 흔히 Expo Go 앱과 비교해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네이티브 코드 사용 제약: Expo Go는 미리 빌드된 앱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내에서 네이티브
Expo Go에서는 네이티브 모듈인 @react-native-kakao/user를 직접 사용할 수 없습니다. Expo Go는 미리 빌드된 네이티브 모듈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카카오 로그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1.Development bu
.env.development와 env.d.ts는 완전히 다른 목적을 가진 파일입니다:실제 환경 변수 값을 저장하는 파일입니다런타임에 process.env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실제 값들을 정의합니다예시TypeScript의 타입 정의 파일입니다환경 변수들의 타입을 선
일반적인 웹 환경에서는 페이지 새로고침이 발생하면 JavaScript 컨텍스트가 완전히 초기화됩니다. 따라서 이전 상태를 유지하려면 파라미터, 세션, 폼 데이터 등의 별도 메커니즘을 통해 서버나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하고 다시 불러와야 합니다. 반면 React는 SPA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기본적인 안전보건관리체제를 규정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의 총책임자가 사업주라는 것을 명확히 규정 • 사업주 ‣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각종 의무를 이행하고 효율적으로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보건관리체제를 구성해야 함 사업장의 자율적 안전보건관리를 위
@SendToUser는 WebSocket에서 특정 사용자에게만 응답을 보내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이건 예를 들어 요청을 보낸 사용자에게만 응답을 보내는 1:1 메시징에서 자주 사용됩니다.WebSocketMessageBrokerConfigurer 설정에서 아래 부분이 있
도커 설치도커 허브 가입. https://hub.docker.com도커 레파지토리 : https://hub.docker.com/repository/docker/openerzone/np-backend이미지 내려받기 (tag:0.1.1)컨테이너 실행(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