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 개수 확장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쿠버네티스 실제로 사용한 적이 없으므로 최대한 하나씩 공부중입니다. 참고해주세요가능하면 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https://kubernetes.io/)를 참고하여 진행하였습니다.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관리
Labels and Selectors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Service and Expose에 대한 선행지식 학습내용입니다.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 - Labels and Selectors (https://kubernetes.io/ko/docs
Service and Expose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 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 - Service and Expose (https://kubernetes.io/docs/tutorials/kubernetes-basics/expose/expose
우선, nodejs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해선, docker, nodejs가 설치되어있어야 한다.nodejs 공식홈페이지원래는 linux binarycode로 최신버전인 v18.18.0 버전으로 다운을 받아서 진행을 해보았지만, 이런 에러가 발생해서 알아보았다.참고
쿠버네티스에 대해 랩실 사람들에게 소개할 일이 생겼었습니다.하지만, 서버, 네트워크 쪽에 사람들은 관심이 크게 없었고 그에 대한 배경도 무후한 상태였습니다. 저도 자세하게는 몰랐기 때문에 ppt로 발표하면서 공부했던 내용을 기록하려고 합니다.여기 한 대의 컴퓨터가 존재
probe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쿠버네티스 실제로 사용한 적이 없으므로 최대한 하나씩 공부중입니다. 참고해주세요가능하면 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https://kubernetes.io/)를 참고하여 진행하였습니다.또한, 마스터 노드1, 워커노드
Pod Scheduling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 - Assigning Pods to Nodes(https://kubernetes.io/docs/concepts/scheduling-eviction/assign-pod-no
Pod Scheduling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Node Selector, Node Affinity, Pod Affinity, Taint & Toleration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 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 - Assigni
PodDisruptionBudget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 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 [Specifying a Disruption Budget for your Application] (https://kubernetes.io/docs/tasks/r
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 Safely Drain a Node를 참고하여 진행하였습니다.또한, 마스터 노드1, 워커노드 2로 실습 진행하였습니다.🤣🤩😊CKA 자격증 준비 및 쿠버네티스 공부 정리입니다.지난 포스팅에서는 PDB를 사용해서 자발적인 중단에서 고가용성 어
Container Volume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 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 - [Kubernetes Volumes]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storage/volumes/)를 참고하여 진행하였습니다.
StorageClass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 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 - [Kubernetes StorageClasses]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storage/storage-classes/)를 참고
NameSpace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 - Kubernetes Namespaces를 참고하여 진행하였습니다.또한, 마스터 노드1, 워커노드 2로 실습 진행하였습니다.🤣🤩😊CKA 자격증 준비 및 쿠버네티스 공부 정리입니다.용
RBAC Authorization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 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 - [Kubernetes RBAC] (https://kubernetes.io/docs/reference/access-authn-authz/rbac/#restric
Ingress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 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 - [Kubernetes Ingress]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ingress/#default-ingr
Harbor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 [harbor - github] (https://github.com/goharbor/harbor)를 참고하여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마스터 노드1, 워커노드 2로 실습 진행하였습니다. 🤣🤩😊pipeline 내용 공부 정리입니다. 서론 > IP 주소의 기본적인 설정 방법과 스위치의 역할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