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는 단순히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도메인 정보와 다양한 설정을 관리하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음.
이를 위해 DNS는 "존(Zone)" 과 "리소스 레코드(Resource Record)" 라는 두 가지 중요한 개념을 사용함
✅ 존(Zone): 특정 도메인 및 하위 도메인을 관리하는 단위
✅ 리소스 레코드(Resource Record): 특정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항목
DNS에서 존(Zone) 은 도메인 및 하위 도메인을 관리하는 독립적인 네임스페이스임
즉, 특정 네임서버가 관리하는 도메인의 범위를 의미하며, 도메인 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함
포워드 존(Forward Zone)
example.com
→ 192.0.2.1
역방향 존(Reverse Zone)
192.0.2.1
→ example.com
주 존(Primary Zone) vs 보조 존(Secondary Zone)
📌 예제: 포워드 존 설정
$TTL 86400
@ IN SOA ns1.example.com. admin.example.com. (
2024021701 ; Serial
3600 ; Refresh
1800 ; Retry
604800 ; Expire
86400 ) ; Minimum TTL
IN NS ns1.example.com.
IN NS ns2.example.com.
IN A 192.0.2.1
www IN A 192.0.2.2
TTL
: 캐시 유지 시간 SOA
: 도메인 관리 정보 NS
: 네임서버 정보 A
: IP 주소 매핑 DNS는 각 도메인과 관련된 정보를 "리소스 레코드(Resource Record)" 형태로 저장함
각 레코드는 특정 도메인과 해당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연결하는 역할
레코드 타입 | 설명 |
---|---|
A | 도메인 → IPv4 주소 매핑 |
AAAA | 도메인 → IPv6 주소 매핑 |
CNAME | 도메인 → 다른 도메인(별칭)으로 매핑 |
MX | 이메일 서버 지정 |
NS | 해당 존을 관리하는 네임 서버 지정 |
TXT | SPF, DKIM 등의 텍스트 정보 저장 |
PTR | IP → 도메인 이름 변환 (역방향 조회) |
SOA | 존의 기본 정보(SOA: Start of Authority) |
📌 예제: 리소스 레코드 설정
@ IN A 192.0.2.1
www IN A 192.0.2.2
mail IN MX 10 mail.example.com.
@ IN TXT "v=spf1 mx -all"
A
: example.com
→ 192.0.2.1
MX
: 메일 서버를 mail.example.com
으로 지정 TXT
: SPF(Sender Policy Framework) 설정 모든 리소스 레코드에는 TTL(Time To Live) 값이 있음
TTL은 해당 DNS 정보가 캐시에 얼마나 오래 유지될지를 결정하는 값
📌 예제: TTL 설정
$TTL 3600 ; 1시간 동안 캐시 유지
📌 예제: example.com
의 DNS 구조
$TTL 86400
@ IN SOA ns1.example.com. admin.example.com. (
2024021701 ; Serial
3600 ; Refresh
1800 ; Retry
604800 ; Expire
86400 ) ; Minimum TTL
IN NS ns1.example.com.
IN NS ns2.example.com.
IN A 192.0.2.1
www IN A 192.0.2.2
mail IN MX 10 mail.example.com.
IN TXT "v=spf1 mx -all"
example.com
에 대한 네임서버(NS) 설정 www.example.com
을 192.0.2.2
로 매핑 DNS의 "존 설정" 과 "리소스 레코드 설정" 은 도메인 관리에서 필수적인 요소
존(Zone)
리소스 레코드(Resource Record)
TTL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