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폼 엘리먼트는 폼 자체가 내부상태를 가짐.그래서 react의 다른 dom 엘리먼트와는 다르게 동작함.제어 컴포넌트라 불리는 기술을 이용함.HTML에서 <input>, <textarea>, <select>와 같은 폼 엘리먼트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함수의 부수 효과를 제거하여, 순수함수를 만들어 모듈화의 수준을 높이는 프로그래밍 기법.부수효과란? 외부상태를 변경하여 함수로 들어온 인자의 상태를 직접 변경하는것 , 즉 아래와 같다.클로저를 생각해 보면된다. 함수안에서만 작동하는것 그러기 때문에 react의 Prop
어떤것이 컴포넌트가 될수있을까 ? 새로운 함수와 객체를 만들때 처럼 하면된다. 하나의 컴포넌트는 하나의 일만한다. 하나의 컴포넌트가 커지게되면 작은 하위컴포넌트로 분리되어야한다. 다른앱의 정적 버전을 재사용하는 컴포넌트를 만들고,props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달해줌
ReactDOMReact는 소문자로 시작하는 컴포넌트 태그를 DOM 태그로 처리합니다. 즉,ReactDOM.render() 는 컴포넌트 태그를 DOM태그로 처리한뒤, 화면에 보이게 생성해줌.\*<함수명 {props.name} />https://ko.rea
Props가 immutable 한것은 굉장히 중요하다..! 내부의 내용은 변할수가 없다..! 사실 홍식엔지니어님 실험으로 할수잇을법 한데.. 변화를 시키면, 리액트의 원칙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오류가 일어난다.. 즉 지정한 것을 전체페이지에서 인식을 할 수있
JSX 문법을 다루는 문항이었다. 오답이 제일 많은 문항은 'D' 번이었는데, 이것은 우리가 알고 넘어가야한다. 엔지니어님이 설명해주시기론 우리가 앞으로 배열을 가지고 filter와 map 을 하는 과정중에 유동적으로 바꿀수있는 문법의 근간이 바로 '배열'이기 때문
멘탈관리가 잘안된다.. 오늘은 부쩍 이상히 그런날이다.소크라티브에 했던것들을 남기려고한다. React는 선언형 프로그래밍이라 한다. (Declarative)적혀있는 구조와 기능들을 직관적으로 파악할수 있다.얼마든 선언형으로 쓰지않고 하는방법은있다.a코드b코드사실 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