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익숙한 코딩 내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을 정확히 알고 있다고 착각할 때가 있는데 식별자가 그러했던 것 같다. (아마 이번에 강의를 들으며 이렇게 얼렁뚱땅 알고 있는 것들을 많이 알게될 것 같다.)여기서 식별자는 a가 된다.공백(띄어쓰기) 불가\_와 $ 외의 특수문자
변수와 상수, 이름에서부터 느낌이 오듯 변수:변하는 값상수:변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값을 갖는 값변수와 상수를 하나하나 알아보고 비교해보자키워드로는 let이 쓰인다.선 선언, 후 할당 가능변수에서 내가 가장 재밌었던 부분은 이렇게 띡 선언해놓고 나중에 할당해 주는 게
자료형의 종류에는 원시타입(Primitive type)과 객체 타입(Object type) 두 가지가 있다.Boolean : 조건문 등 주로 동작 판단의 기준으로 사용한다.(true/false 사용)null:
강제적 형 변환을 위해서는 자료형 함수를 이용해 명시적 형 변환을 수행한다>형변환의 예제 : String, Number, BooleanString은 문자열을 나타내고 Number는 숫자, Boolean은 참과
자바스크립트를 배우면서 가장 많이, 가장 당연하게 배워야 했던 게 함수가 아니었나 싶다.수포자였던 나에게 함수라는 단어는 왠지 어렵게만 느껴졌었고 더듬더듬 어찌저찌 이런저런 코드 따라쳐보며 얼렁뚱땅 안면을 트고 공부
반복문이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for문, while문맞습니다. 고 두개이지요. 이 아이들을 좀 더 낱낱이 살펴 보자구요.우선 반복문은 뭔가... 내게 참 헷갈리는 아이었다. 그러다가 어느날 갑작스레 해야만 했고
변수 혹은 상수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한다.scope는 Local scope(지역 스코프)와 Global scope(전역 스코프)로 구분된다. 단어에서 유추해볼 수 있듯 Global이 Local보다 넓은 범위를
객체에 저장된 값이 함수인 경우, 이를 메서드(method)라고 부른다.쉽게 말해 객체에 저장된 property들을 통해서 함수로 호출하는 것 그 자체를 메서드라 부른다.method에 대해 이야기 하기 전 객체에 함
하나 이상의 함수를 매개변수로 취하거나 함수를 결과로 반환하는 함수대표 배열 조작 메서드임의 정렬 : Array.sort(callback function)반복 작업 : Array.forEach()콜백함수 결과 배열
axios를 통해 API를 가져오는 과정을 거치던 중 반나절을 자리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한 에러가 있었다.426에러아니 그 흔한 401도 403도 404도 아닌 426이라니.. 우리 쏘 초면.HTTP 426 Upgrade Required 클라이언트 오류 응답 코드는 서
뉴스 api를 가져와 무한 스크롤을 구현하던 길에 429를 만나버렸다. 와우..미친듯이 요청을 보냈다는 것이다..나는 참고로 무한스크롤링 구현에서 문제가 생겨 (페이지의 개념으론 두 번째 페이지)로 넘기는 부분에서 마지막 페이지까지 데이터가 순식간에 불려져 와버렸기 때
캘린더를 만들다가 하루 종일(사실 그 이상) 나의 인내심을 테스트하는 순간이 찾아왔다.당월 캘린더를 총 35칸으로 만들어 이전달과 다음달의 날짜를 포함시키는 캘린더였고 클릭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게 미션이었다.사실 나는 addEventListener 앞에 붙는 범위를 조
Q. addEventListener의 함수에는 왜 ()가 붙지 않을까? addEventListener를 사용할 때 의문이 한가지 있었다. 보통 함수를 호출할 때 함수의 이름뒤에 ()가 붙는데, 왜 sayHi()가 아니라 그냥 함수의 이름만 넣어줄까? A. ()를
간단하게 예시를 적어보았다.리액트를 공부하며,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며 흔히 보아왔고 사용했던 코드 패턴들이다.✏️ 코드설명•리액트• onChange함수는 보통 input태그에 많이 사용했고, input에 담기는 value값에 변화가 일어날 때 마다 생기는 새로
가급적 일치비교 연산자를 사용하려 노력하지만 가끔은 적당한 동등비교를 사용해 무지성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가 있었다. 특히 코테볼 때..비교 연산자로 '=='를 사용암묵적 타입 변환을 통해 좌우 피연산자의 타입을 일치시켜 비교함Boolean type으로 반환이번에
어떠한 객체를 만들기 위해 객체의 모태가 되는 원형이다.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복사(clo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