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한 것들
- 디자인 카타
- CH2. 개인 프로젝트 디벨롭
- 강의 수강
- 가을 운동회
<UX 기획 및 리서치 4-1>
- UX 기획 첫 단추 - 문제 정의 및 가설 수립
1) 문제 정의 - 유저 경험 관점 & 비지니스 관점으로 분석
2) 가설 수립 - 문제에 대한 가정을 명확하게 정의, 검증 가능한 형태로 제시
가설 설정 -> 가설 검증(검증 방법 선정, 모니터링 지표_성공 지표와 모니터링 지표 설정)
3) 원 페이저 작성 - 모든 과정들이 한 눈에 보이도록 초안 작성 시작
<UX 기획 및 리서치 4-2>
- UX기획 구체화 - 유저 사용 맥락 반영
1) User scenario 유저 시나리오 (관점 - 경험 - 인사이트) / 스토리텔링 & 감성적 이해
2) Customer Journey Map 고객 여정 지도 (페르소나가 경험하며 느끼는 단계와 그에 따른 느낌, 감정선)
3) User Story 유저 스토리 (실제 개발 구현 가능한 작은 단위로 기술, 구성원간 합의 도출)
as a(user) / i want(goal) / so that(banefit)
- Gherkin Syntax 걸킨 문법 - 유저의 행동에 중점을 맞추어 개발하는 행동 주도 개발 환경에서 널리 활용됨, 테스트 케이스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
Given(주어진 상황) / When(조건 및 행동) / And(추가 행동) / Then (결과)
<UX 기획 및 리서치 4-3>
- UX 기획 구체화 - 논리적인 흐름 설계
1) 유저 플로우 User flow
유저의 행동 및 화면 간의 이동, 경로에 초점을 맞추어 시각화하는 단계
해피 패스에 매몰되지 않고 다양한 경로 고려 가능
해피 패스 Happy path
유저가 서비스에서 목적지까지 아무런 문제를 겪지 않고 도달했을 때의 경로
2) 와이어프레임 Wireframe
화면의 레이아웃과 플로우를 다양한 선과 도형으로 설계하는 과정
3) 정보 구조도 IA Information Architecture
프로덕트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구조를 도식화하는 것(정보 위계 정리)
구성 요소
1. organization 조직 및 구성 시스템
2. Labeling 라벨링 시스템
3. Navigation 네비게이션 시스템
4. Searching 검색 시스템
<UX 기획 및 리서치 4-4>
UX 기획 문서화
1) 화면 설계서
와이어프레임 + 기능 상세 정의를 합친 문서 / 각 요소들 설명 / 버전 히스토리 관리
2) QA 문서
테크니컬 QA-의도대로 기능이 잘 동작하는지.보통 테스트 케이스 작성
디자인 QA-의도대로 디자인이 잘 구현되었는지. AS IS / TO BE 명확하게.
내일 할 것들
- 튜터님과 오전 10시 개인 프로젝트 피드백 반영 디벨롭시안 토대로 2차 면담
- 4주차 숙제 제출, 5주차 강의 수강 및 숙제 제출
- constraints 개념 보충 리서치
느낀 점
- 이 감기는 도대체 언제쯤...ㅎㅎ나을 수 있나...?
- constraints와 auto layout, components는 기초적인 기능인데 아직도 아리가리 한 것 같다. 조금 더 공부하자!
- 가을 운동회 빙고 2등!!ㅎㅎㅎ햄버거 세트 경품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