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다양한 곳에서 이용된다.실무에서는 Oracle DB 서버에 사용자들의 클라이언트가 여럿 묶인 모양새로 사용되고 있다.벨로그 작성을 위해서 링크를 가져왔는데, 필자는 oracle database 18c Expression을 쓰고 있다.

2024.05.08 복습용 테이블 생성 가장 간단하고 기초적인 테이블 생성이다. 표를 만들어서 그 안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sql developer를 열고, 이전에 만들어둔 실습용 계정에 접속한다. 나는 마지막으로 만들어둔 test 계정을 이용할 예정이다

2024.05.09 복습용 그룹함수는 테이블의 전체 데이터에서 통계적인 결과를 구하기 위해서 행 집합에 적용하여 하나의 결과를 생산한다.

2024.05.10 복습용 JOIN 분리된 테이블을 합쳐서 조회하는 문법이다. 테이블은 정규화라고 말하는 기법으로 분리시키는 경우가 잦다. 테이블 간의 중복된 데이터를 방지하며,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정규화는 1~5까지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추후 설명하겠다.

2024.05.11 복습용 Sub Query(서브쿼리) 단일행 서브 쿼리 내부 쿼리문의 결과로 얻어지는 행이 1개 단일행 비교 연산자 : >, >=, , != 다중행 서브 쿼리 내부 쿼리문의 결과로 얻어지는 행이 2개 이상 다중행 비교 연산자 : in, a

테이블 구조를 복사하면 데이터는 비워지고 껍데기만 똑같은 테이블이 생성된다. 테이블의 구조만 가져온 상태이기 때문에 기본키, 참조키는 없는 상태이다. 그렇기에 아래와 같이 테이블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들어가는 파트는 구현부터이다. 신입은 요구분석 파트에 들어가는 일이 적은데, 처음부터 잘못 짜여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렇기에 신입이 요구분석부터 참여했다면 좋은 경험이 된다고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