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 관련 이론 정리

Minsu Kang·2025년 5월 16일
0

신호처리이론(Signal Detection Theory)에서 sensitivity d’과 criterion beta의 차이를 설명하고, optimal criterion은 어떻게 결정되는지 설명하라.

sensitivity d는 감도, 즉 구분능력입니다. 감각 체계의 순수한 탐지 능력을 수치화한 값입니다. 두 분포가 얼마나 잘 분리되어있는 지를 나타냅니다. 클수록 분포가 멀리 떨어져있다는 것입니다.
Creterion Beta는 판단 기준, 반응 경향입니다. 개인이 신호가 있다 판단하는 주관적 기준선입니다. 민감/보수적 반응인지 볼 수 있습니다.
Optimal Criterion은 감도가 고정 됏을 때 오류비용과 사전확률을 고려해서 가장 이득이 큰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입니다.
의료진단, 심리학 시럼에서 메커니즘 분석에 쓰인다고 알고 있습니다.

양립성(compatibility)을 설계 적용 예시를 들며 설명하라

양립성은 기존의 경험, 기대, 신체적 배경과 조화롭게 작동할 수 있는 특성입니다. 사용자의 학습이 빠르고 피로도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노인 친화적인 양립성, 또 한국인에게 필요한 양립성이 있습니다. 또 엘리베이터 버튼이 위로된 화살표를 누르면 아래로 가면 안되겠지요. 인지부하를 줄여야합니다.

인간의 시각 기능(visual function)들 중에서 일례를 들고 설계 적용 예를 제시하라.

사람은 F 패턴으로 보기에 GUI 설계를 그에 맞춰서 합니다. 예를들어 쇼핑몰의 경우~

인간의 청각 기능(auditory function)들 중에서 일례를 들고 설계 적용 예를 제시하라.

선택적 청취가 있음. 그래서 병원 내 호출 시스템은 단순 반복보다 명확한 음성, 위험할 경우 경고음을 내보내야함. 그래서 차량 빵 소리는 날카롭게.

버튼 layout을 인간공학적으로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라.

사용빈도(손쉽게 닿는 곳에) 작업 순서(흐름과 동일 순서로 배열) 논리적 군집화, 크기및 간격, 오작동 방지설계(이중확인) 등

인체측정 시 anatomical landmark의 역할은?

해부학적 기준점은 측정의 기준이 되는 뼈, 관절, 돌출부 등의 명확한 위치를 의미합니다.
표준화된 지점으로 귀 중앙과 엉덩이 사이의 거리를 앉은 키로 선택하는 등 표준화 가능

근전도를 제품 설계 및 평가 시 적용하는 방안은?

마우스의 형태를 근전도를 통해서 피로도 측정으로 형태를 바꿀 수 있습니다. 승모근이나 손목에 부담이 적게 패치를 부착 후 피로도가 제일 적은 모델의 프로토타입으로 가는 것이 좋음.

생리학적 신호들 중 인지부하 평가 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심박수 및 심박 변이도/ 뇌파/ 동공 반응이 있습니다.

profile
안녕하세요! 강민수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