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Network] Introduction 2

유혜지·2023년 10월 28일
0

ComputerNetwork

목록 보기
2/4

Performance: loss, delay and throughput

How do packet loss and delay occur?

output link의 capacity보다 더 큰 크기의 데이터가 들어오면, packet은 router의 buffer(queue)에 대기한다.

  • packets queu, wait for turn
  • arrival rate to link(temporarily) exceeds output link capacity: packet loss

  • 자기 차례가 와서 전송할 때 transmission delay 발생
  • packet이 buffer에 대기할 때 queuing dealy 발생
  • if no free buffer, packet loss 발생

라우터의 송/수신 순서
1) 데이터의 목적지 확인
2) circuit 할당
3) arrival rate가 output link의 capacity를 초과할 경우 데이터는 buffer에 대기

Packet delay: four sources

d_nodal = d_proc + d_trans + d_queue + d_prop

1) processing delay: d_proc

  • 에러가 났는지 확인
  • 어떤 출력 link로 보내야 할지 결정 (forwarding)
    2) transmission delay: d_trans
  • 전파 전달 지연 시간 = L/R = 패킷크기/링크속도
    3) propagation delay: d_prop
  • d_prop = d/s = 거리/전파속도
    4) queuing delay: d_queue
  • 예측 불가능한 delay
    → 갑자기 output link에 트래픽이 몰릴 수 있기 때문

    processing delay, transmission delay, propagation delay는 처음 소요됐던 시간이 두번째, 세번째에도 동일하게 적용됨 (↔ queuing delay와 반대됨)
    → delay 시간 동일

Packet queuing delay

  • R: link bandwidth (bps)
  • L: packet length (bits)
  • a: average packet arrival rate
    → La: 단위시간당 도착한 데이터의 양(bits/sec)

Packet Loss

  • queue(buffer) 또한 한정된 메모리를 가짐
  • 가득찬 buffer에 packet이 도달하면, 해딩 패킷이 버려짐
  • 버려진 packet을 처리하는 방법은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데, 패킷을 마지막으로 전송한 라우터가 재전송할 수도 있고, 패킷 출발지에서 재전송을 해주거나, 또는 아무 액션을 취하지 않을 수도 있다.

Throughput

throughput: receiver가 데이터를 단시간에 얼마나 많이 받고 있냐

  • instantaneous: 순간적인 throughput

  • average: throughput의 평균

  • bottleneck link
    end-end 사이에 여러 개의 link가 있을테지만, 결국 average throughput은 그 중 가장 느린 속도로 결정될 것이다.

  • 10 connections (fairly) share backbone bottleneck link R bits/sec
  • per-connection end-end throughput
    : min(R_s, R_c, R/10)
  • in practice
    : R_c or R_x is often bottleneck

    현실에서, 일반적으로 network core에 있는 link의 속도는 매우 빠르기 때문에 보통 bottleneck은 R_c 또는 R_s가 된다.

Why layering?

  • 복잡한 시스템을 개별화하고, 이들의 관계구조를 정의하기 위해 layering 사용
  • 수직적으로 모듈화되어 있는 구조를 layered reference model이라고 부름
  • 모듈화는 유지봇, 시스템 업데이트를 편리하게 해줌
  • 한 layer를 다른 layer와 완전히 독립적으로 변경 가능

Internet protocol stack

  • application: supporting network application
    • IMAP, SMTP, HTTP
  • transport: process-process data transfer
    • TCP/UDP
  • network: routing of datagrams from source to destination
    • IP, routing protocols
  • link: data transfer between neighboring network elements
    • Ethernet, 802.11(WiFi)
  • physical: bits "on the wire"

Encapsulation

  • 각각의 계층은 읽을 수 있는 특정한 데이터 단위가 있음
  • application layer에서 physical layer로 내려갈수록 message에 헤더가 하나씩 붙음
  • switch는 2계층 장비이다(Ethernet)
  • router는 3계층 장비(Internet router)
  • source의 network 계층의 peer는 router의 network 계층
  • source의 transport 계층의 peer는 destination의 transport 계층
  • source의 link 계층의 peer는 switch의 link 계층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