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도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측정하는 방식을 나타내며, 크게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의 네 가지로 분류된다.
명목척도는 대상을 구분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이다. 명목척도는 대상을 구분하는 데만 사용될 수 있고, 크기나 순서를 나타낼 수 없다. 예를 들어, 성별(남자, 여자), 출신 지역(서울, 경기, 인천), 혈액형(A형, B형, O형, AB형) 등이 명목척도이다.
서열척도는 대상을 크기나 순서에 따라 나열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이다. 서열척도는 대상의 크기나 순서를 나타낼 수 있지만, 크기나 순서 간의 차이를 나타낼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운동선수의 순위, 음식의 맛 순위 등이 서열척도이다.
등간척도는 대상의 크기나 순서 간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척도이다. 등간척도는 대상의 크기나 순서 간의 차이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온도, 설문조사 결과 등이 등간척도이다.
비율척도는 등간척도에서 크기의 절대적 크기를 나타낼 수 있는 척도이다. 비율척도는 0을 기준으로 하고(절대0점), 0을 기준으로 한 크기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몸무게, 시간, 거리 등이 비율척도이다.
일반적으로 명목형 데이터와 서열 데이터는 범주형 데이터로 구분한다. 절대값이 없으며 평균, 분산, 표준편차 등 연산을 적용할 수 없는 변수다.
반면 일반적으로 등간형 데이터와 비율형 데이터는 수치형 데이터로 취급한다. 경우에 따라 등간형 데이터를 범주형 데이터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리커트 척도와 같이 수치형으로 취급되어 연산이 적용되기도 한다.
https://bothbest.amebaownd.com/
https://bambooflooring.shopinfo.jp/
https://bamboochopsticks.storeinfo.jp/
https://bothbest.seesaa.net/
https://bothbest.mystrikingly.com
https://zybuluo.com/bothbest/note/2624938
https://bothbest.amebaownd.com/posts/57445395
https://bamboochopsticks.storeinfo.jp/posts/57445422
https://bambooflooring.shopinfo.jp/posts/57445427
https://bothbest.seesaa.net/article/518162762.html
https://bambooflooring.notion.site/bothbest-26f41b6b363980b0865fd008cf78ea7a
https://connect.usama.dev/blogs/37095/How-to-Choose-Bamboo-Decking-That-Lasts-15-Years
https://bothbest.mystrikingly.com/blog/choosing-bamboo-flooring-that-withstands-kids-and-pets
https://bambooflooring.notion.site/From-Forest-to-Floor-A-Step-by-Step-Guide-to-Bamboo-Flooring-Manufacturing-27141b6b363980f6bc45ea303bea1f0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