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ological Space (2)

김당찬·2022년 2월 22일
0

Real analysis

목록 보기
18/24

위상공간의 분리 Separation

위상공간 X의 부분집합 A,BXA,B \subset X 가 서로소라고 하자. 만일 A,BA,B 각각의 서로소인 근방이 존재한다면, 이를 근방에 의해 분리된다고 표현한다. 이 장에서는 네 가지의 주요 분리 성질을 바탕으로 위상공간을 분류하는 것을 다룬다.

티호노프Tychonoff 분리 성질

위상공간 XX의 두 점 u,vXu,v \in X에 대해 vv를 포함하지 않는 uu의 근방이 존재하며, uu를 포함하지 않는 vv의 근방 역시 존재한다.

위 성질을 티호노프 분리 성질이라고 하며, 이를 만족하는 위상공간을 티호노프 공간이라고 한다.

명제 6 위상공간 XX가 티호노프 공간일 필요충분조건은 XX의 단 한점으로 구성된 모든 집합이 닫혀있는 것이다.

증명. xXx\in X에 대해 집합 {xx}이 닫힘과 여집합 X\X\backslash{xx} 이 열림은 동치이다 (Topological Space (1) 참조). 이떄, X\X\backslash{xx} 가 열려있기 위해서는 각 점 yX\y\in X\backslash{xx} 에 대해 yy의 어떤 근방이 존재해 X\X\backslash{xx}에 포함되어야 하고, 이는 티호노프 분리 성질을 만족시킨다.

일반 분리 성질Normal Separation Property

티호노프 분리 성질을 만족하며, 두 개의 서로소인 닫힌 집합들은 서로소인 근방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위 성질을 만족하는 위상공간을 normal 하다고 한다.

명제 7 모든 거리공간은 normal하다.

증명. 거리공간이 (X,ρ)(X,\rho)로 주어지며 다음과 같이 XX의 부분집합 FFxXx\in X을 대응시키는 거리함수를 정의하자.
dist(x,F)=inf{ρ(x,x):xF}dist(x,F)=inf\{\rho(x,x'):x' \in F\}
일반분리성질을 확인하기 위해 두 개의 서로소인, XX의 닫힌 부분집합 F1,F2F_1,F_2를 잡자. 이때 두 XX의 부분집합
O1={xX:dist(x,F1)<dist(x,F2)}\mathcal{O_1}=\{x\in X: dist(x,F_1)<dist(x,F_2)\}
O2={xX:dist(x,F2)<dist(x,F1)}\mathcal{O_2}=\{x\in X: dist(x,F_2)<dist(x,F_1)\}
을 잡으면 F1O1F_1\subseteq\mathcal{O_1}, F2O2F_2\subseteq\mathcal{O_2} 이고 O1O2=\mathcal{O_1\cap O_2} = \emptyset 이다. (if xF1x\in F_1 then xO1x\in\mathcal{O_1}) 이는 서로소인 근방에 의해 F1,F2F_1,F_2 가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거리공간 X가 normal 함을 알 수 있다.

하우스도르프 분리 성질Hausdorff Separation Property

위상공간 XX에서 각각의 두 점은 서로소인 근방들로 분리될 수 있다.

정규 분리 성질Regular Separation Property

티호노프 분리 성질이 성립하며, 각각의 닫힌집합 FXF\subset XxFx\notin F는 서로소인 근방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명제 8 XX가 티호노프 위상공간이라고 하자. 이떄 X가 normal할 필요충분조건은 임의의 닫힌부분집합 FXF\subset X의 근방 U\mathcal{U}에 대해 열린집합(근방) O\mathcal{O}가 존재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것이다.

FOOUF\subseteq \mathcal{O} \subseteq \overline{\mathcal{O}} \subseteq \mathcal{U}

(\Rightarrow). X가 normal하다고 가정하자. U\mathcal{U}FF의 근방이므로 FFX\UX\backslash\mathcal{U}는 서로소인 닫힌 집합이다. 따라서 normal의 정의로부터 서로소인 열린집합 O,V\mathcal{O,V} 가 존재하여 FO,X\UVF\subseteq\mathcal{O},X\backslash\mathcal{U}\subseteq\mathcal{V} 가 성립한다. 따라서 OX\VU\overline{\mathcal{O}}\subseteq X\backslash\mathcal{V}\subseteq\mathcal{U} 임을 알 수 있다.
(\Leftarrow) 위 성질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A,BA,BXX의 서로소인 닫힌 부분집합이라고 하면, AX\BA\subseteq X\backslash B 이고 X\BX\backslash B는 열린집합이다. 따라서 AOOX\BA\subseteq\mathcal{O}\subseteq\overline{\mathcal{O}}\subseteq X\backslash B 인 열린집합 O\mathcal{O} 가 존재한다.

위상공간의 가산성과 분리가능성

가산성과 분리가능성을 논하기 이전에 먼저 위상공간에서 수열의 수렴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Def 위상공간 XX의 수열 {xnx_n}이 xXx\in X로 수렴한다는 것은 xx의 각 근방 U\mathcal{U} 에 대해 자연수 NN이 존재하여 nNn\geq N일 때 xnUx_n\in \mathcal{U}가 성립함을 말한다.

주의할 것은, 거리공간에서와는 다르게 위상공간에서의 수열은 두개 이상의 극한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공간 XX에 대한 Trivial Topology

T={,X}\mathcal{T}=\{\emptyset,X\}

를 생각하면 (X,T)(X,\mathcal{T})에서 정의된 모든 수열은 모든 점으로 수렴하는데, 모든 점에 대한 근방은 전체집합 XX로만 정의되기 때문이다. 반면, 하우스도르프 위상공간에서는 각 점들을 서로소인 근방들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수열들은 각각 오직 하나의 극한만을 갖는다.

가산성countability

Def 위상공간 XX의 각 점에 대한 기저가 가산일때, 이를 제1가산공간first countable topological space이라고 한다. 만약 XX의 토폴로지 T\mathcal{T}의 기저가 가산이면, 공간 XX제2가산공간second countable topological space이라고 한다.
정의로부터 제2가산공간이 제1가산공간임은 명확하다(토폴로지에 대한 기저는 모든 점에서의 기저를 포함하므로). 예시로 거리공간을 살펴보자. 모든 거리공간 XX는 제1가산공간임을 알 수 있는데, xXx\in X에 대해 열린근방들의 모임

{N(x,1/n)}n=1\{N(x,1/n)\}^\infty_{n=1}

을 생각하면 이는 점 xx에 대한 기저가 되고, 가산모임이다.
제1가산공간에 대해서는 다음 명제가 성립한다.
명제 9 제1가산공간 XX와 부분집합 EE를 생각하자. 점 xXx\in XEE의 폐포에 속할 필요충분조건은 xxEE에서의 수열의 극한값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를 이용하면 EE가 닫혀있는 것과 EE에서의 수열의 극한값이 EE에 속하는 것이 동치임을 알 수 있다.

분리가능성separability

분리가능성은 거리공간 등에서 살펴본 개념과 동일하게, 조밀성과 함꼐 정의된다.
Def 위상공간 XX의 모든 열린집합이 EXE\subset X의 점을 포함하면, EEXX에서 조밀하다고 한다. 이때 EE가 가산이면 XX분리가능하다고 정의한다.

폐포점의 정의를 생각해보면, xxEE의 폐포점일 경우 xx의 모든 근방이 EE의 점을 포함한다. 이는 위에서 정의한 조밀성과 동치이므로,

E=X\overline{E}=X

임을 알 수 있다.

Reference

  • Real Analysis 4th edition, Royden
profile
블로그 이사했습니다 https://ddangchani.github.io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