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공간 X의 부분집합 가 서로소라고 하자. 만일 각각의 서로소인 근방이 존재한다면, 이를 근방에 의해 분리된다고 표현한다. 이 장에서는 네 가지의 주요 분리 성질을 바탕으로 위상공간을 분류하는 것을 다룬다.
위상공간 의 두 점 에 대해 를 포함하지 않는 의 근방이 존재하며, 를 포함하지 않는 의 근방 역시 존재한다.
위 성질을 티호노프 분리 성질이라고 하며, 이를 만족하는 위상공간을 티호노프 공간이라고 한다.
명제 6 위상공간 가 티호노프 공간일 필요충분조건은 의 단 한점으로 구성된 모든 집합이 닫혀있는 것이다.
증명. 에 대해 집합 {}이 닫힘과 여집합 {} 이 열림은 동치이다 (Topological Space (1) 참조). 이떄, {} 가 열려있기 위해서는 각 점 {} 에 대해 의 어떤 근방이 존재해 {}에 포함되어야 하고, 이는 티호노프 분리 성질을 만족시킨다.
티호노프 분리 성질을 만족하며, 두 개의 서로소인 닫힌 집합들은 서로소인 근방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위 성질을 만족하는 위상공간을 normal 하다고 한다.
명제 7 모든 거리공간은 normal하다.
증명. 거리공간이 로 주어지며 다음과 같이 의 부분집합 와 을 대응시키는 거리함수를 정의하자.
일반분리성질을 확인하기 위해 두 개의 서로소인, 의 닫힌 부분집합 를 잡자. 이때 두 의 부분집합
을 잡으면 , 이고 이다. (if then ) 이는 서로소인 근방에 의해 가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거리공간 X가 normal 함을 알 수 있다.
위상공간 에서 각각의 두 점은 서로소인 근방들로 분리될 수 있다.
티호노프 분리 성질이 성립하며, 각각의 닫힌집합 와 는 서로소인 근방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명제 8 가 티호노프 위상공간이라고 하자. 이떄 X가 normal할 필요충분조건은 임의의 닫힌부분집합 의 근방 에 대해 열린집합(근방) 가 존재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것이다.
(). X가 normal하다고 가정하자. 가 의 근방이므로 와 는 서로소인 닫힌 집합이다. 따라서 normal의 정의로부터 서로소인 열린집합 가 존재하여 가 성립한다. 따라서 임을 알 수 있다.
() 위 성질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가 의 서로소인 닫힌 부분집합이라고 하면, 이고 는 열린집합이다. 따라서 인 열린집합 가 존재한다.
가산성과 분리가능성을 논하기 이전에 먼저 위상공간에서 수열의 수렴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Def 위상공간 의 수열 {}이 로 수렴한다는 것은 의 각 근방 에 대해 자연수 이 존재하여 일 때 가 성립함을 말한다.
주의할 것은, 거리공간에서와는 다르게 위상공간에서의 수열은 두개 이상의 극한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공간 에 대한 Trivial Topology
를 생각하면 에서 정의된 모든 수열은 모든 점으로 수렴하는데, 모든 점에 대한 근방은 전체집합 로만 정의되기 때문이다. 반면, 하우스도르프 위상공간에서는 각 점들을 서로소인 근방들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수열들은 각각 오직 하나의 극한만을 갖는다.
Def 위상공간 의 각 점에 대한 기저가 가산일때, 이를 제1가산공간first countable topological space이라고 한다. 만약 의 토폴로지 의 기저가 가산이면, 공간 를 제2가산공간second countable topological space이라고 한다.
정의로부터 제2가산공간이 제1가산공간임은 명확하다(토폴로지에 대한 기저는 모든 점에서의 기저를 포함하므로). 예시로 거리공간을 살펴보자. 모든 거리공간 는 제1가산공간임을 알 수 있는데, 에 대해 열린근방들의 모임
을 생각하면 이는 점 에 대한 기저가 되고, 가산모임이다.
제1가산공간에 대해서는 다음 명제가 성립한다.
명제 9 제1가산공간 와 부분집합 를 생각하자. 점 가 의 폐포에 속할 필요충분조건은 가 에서의 수열의 극한값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를 이용하면 가 닫혀있는 것과 에서의 수열의 극한값이 에 속하는 것이 동치임을 알 수 있다.
분리가능성은 거리공간 등에서 살펴본 개념과 동일하게, 조밀성과 함꼐 정의된다.
Def 위상공간 의 모든 열린집합이 의 점을 포함하면, 가 에서 조밀하다고 한다. 이때 가 가산이면 를 분리가능하다고 정의한다.
폐포점의 정의를 생각해보면, 가 의 폐포점일 경우 의 모든 근방이 의 점을 포함한다. 이는 위에서 정의한 조밀성과 동치이므로,
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