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공간은 집합의 일종으로, 위상(토폴로지, topology)이 부여된 공간을 의미한다. 앞서 살펴본 거리공간 역시 위상공간의 일종인데, 거리공간에서의 거리의 개념이 위상을 정의하기 때문이다. 이 장에서 다루고자 하는 위상공간은, 거리공간보다 더 일반적인 개념이며 이를 바탕으로 가산성, 사상의 연속성과 같은 내용을 다룰 것이다.
우선, 공집합이 아닌 집합 X의 부분집합들의 모임 를 X의 토플로지라고 한다 (모든 부분집합의 모임은 아님! ). 이때 토폴로지가 주어진 집합 X를 위상공간이라고 하며 이를 라고 표기한다. 위상공간을 정의하는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근방을 이용한 정의, 열린집합을 이용한 정의, 닫힌집합을 이용한 정의가 있다. 각 정의들은 모두 동치이며, 일반적으로는 열린집합을 이용한 정의가 널리 사용된다.
위상공간은 순서쌍 이며, 는 집합이고 는 의 부분집합들의 모임 이며, 다음 공리를 만족한다.
- 전체집합 X와 공집합 이 열린집합이며 에 속한다.
- 임의의 유한개의 의 원소들의 교집합은 의 원소이다.
- 임의의 (유한 혹은 무한개의) 의 원소들의 합집합은 의 원소이다.
이때 의 원소들을 열린집합이라하며, 모임 를 에서의 토폴로지라고 한다. 닫힌집합을 이용한 정의는 열린집합을 이용한 정의에 드모르간의 정리를 적용한다.
X의 어떤 점 에 대해 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을 의 근방neighborhood이라고 한다. 더 자세하게는, X의 한 원소 에 대해 의 부분집합들의 모임 을 대응시키는 함수 를 근방 토폴로지neighborhood topology 라고 하며 집합 의 원소를 의 근방이라고 정의한다. 이때 근방 토폴로지 은 다음 네 가지 공리를 만족해야한다 (Felix Hausdorff).
- 이 의 부분집합이고 의 근방을 포함한다면 도 의 근방이다.
- 의 두 근방의 교집합도 의 근방이다.
- 의 근방 은 다른 의 근방 을 포함하는데, 이때 은 의 각 원소들의 근방이다.
이때 토폴로지 이 주어진 집합 , 즉 순서쌍 을 위상공간이라고 한다. 다음 명제는 앞서 살펴본 두 정의간의 동치관계를 의미한다.
명제 1 위상공간 X의 부분집합 가 열려있는 것과 X의 각 점 에 대해 에 속한 의 근방이 존재한다는 것과 동치이다.
- Metric Topology
거리공간 에 대해 부분집합 를, 임의의 에 대해 열린 근방 이 존재한다는 것으로 정의하자. 그러면 열린집합 간의 합집합 역시 열린집합이므로, 거리공간에서 열린집합들의 모임은 X에 대한 토폴로지이다.- Discrete Topology
공집합이 아닌 X에 대해 를 X의 모든 집합들의 모임이라 정의하자. 이를 discrete topology라 하며, 모든 집합은 그 집합에 속한 점의 근방이다.
위상공간 와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에 대해 토폴로지 를 상속inherit하는 것을 생각해보자. 에 대해 상속된 의 토폴로지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를 의 원소라고 할 때, 집합 의 모임들
이때 위상공간 를 위상공간 의 부분공간(부분위상공간) 이라고 정의한다.
토폴로지에 대한 기저
위상공간 와 의 한 점 를 생각하자. 다음을 만족하는 의 근방들의 모임 를 에서의 토폴로지에 대한 기저라고 정의한다.
점 의 임의의 근방 가 주어질 때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
만약 열린집합들의 모임 가 X의 모든 점에서의 기저들을 포함한다면 를 토폴로지 의 기저라고 정의한다. 즉, X의 임의의 점에을 포함하는 X의 부분집합을 생각하면 이에 대한 부분집합이 의 원소임을 의미한다.
이떄, 의 부분집합 가 의 기저가 되기 위해서는 모든 (공집합이 아닌) 열린집합이 의 부분집합의 합집합으로 표현되어야 한다.(집합족의 원소집합들의 합집합을 의미) 이를 역으로 생각하면, 토폴로지에 대한 어떤 기저가 주어진다면 해당 토폴로지를 정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명제 2
(공집합이 아닌) 집합 에 대해 가 의 부분집합들의 모임이라고 하자. 이떄 가 의 토폴로지의 기저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다.
- 가 를 덮는다. ( )
- 에 대해 이면 인 이다.
각각의 기저는 유일한 토폴로지를 결정하지만 하나의 토폴로지는 여러 기저를 가질 수 있다. 수직선 의 유클릐드 토폴로지를 생각해보면, 열린구간들의 모임은 이의 기저가 되며, 동시에 양 끝점이 유리수인 구간들(열림/닫힘)의 모임 역시 기저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분기저subbsse
위상공간 에 대해 의 부분모임 가 를 덮는다고 하자. 이때 의 유한 부분모임들의 교집합들이 의 기저이면 를 토폴로지 의 부분기저라고 한다.
유계닫힌구간 에 로부터의 토폴로지를 상속하여 이를 위상공간으로 하자. 그렇다면 인 에 대해 나 형태로 구성된 모임은 부분기저가 된다. (두 반열린구간의 교집합을 열린구간이 되게끔 잡으면, 열린구간들의 모임은 토폴로지이기 때문이다.)
위상공간 의 부분집합 에 대해 점 의 모든 근방이 의 점을 포함한다면 를 의 폐포점point of closure이라고 한다. 또한, 의 폐포점들의 모임을 의 페포라고 하며, 라고 표기한다.
거리공간에서 다루는 폐포와 같은 개념이지만, 위상공간에서는 근방의 개념을 의 거리개념으로 정의되지 않으므로(대신 근방 토폴로지 공리에 의해 정의됨) 정의 방식에 차이가 있다. 또한, 정의에 의해, 원래 에 포함된 점은 의 폐포점임이 자명하다. 따라서 가 성립한다. 만약 가 성립하면 를 닫혀있다고 정의한다.
명제 4 위상공간 의 부분집합 가 열려있는 것과 의 여집합이 닫혀있는 것은 동치이다.
증명. 가 열림이라 가정하자. 점 가 의 폐포의 원소라고 하면, 임은 자명하다. 따라서 역시 성립한다. 이때 이므로 는 닫혀있다. 역도 비슷한 방식으로 증명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