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해석학] 13. L^p 에서의 약한 수렴

김당찬·2022년 2월 20일
0

Real analysis

목록 보기
13/24

L^p 공간에서의 측도의 약한 수렴

정의

L^p 공간에서의 함수열의 수렴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노음선형공간에서의 함수열의 수렴이 먼저 정의되어야 한다.

Def 노음선형공간 XX의 함수열 fnf_nff 로 약한 수렴한다는 것 (fnff_n \to f) 은 다음을 의미한다.

limnT(fn)=T(f)TX\lim_nT(f_n) = T(f)\quad \forall T \in X^\star

Def fnf_nff로 강한 수렴하는 것은 다음을 의미한다.

T(fn)T(f)=T(fnf)Tfnffor TX|T(f_n)-T(f)| = |T(f_n-f)| \leq \Vert T\Vert_\star \Vert f_n-f\Vert \\ \text{for } \forall T \in X^\star

위의 두 정의로부터, 만약 함수열 fnf_n 이 노음선형공간에서 강하게 수렴하면, 약하게도 수렴함을 앐 수 있다. 바로 이전에 살펴본 리즈 표현 정리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LpL^p 공간에서의 명제를 얻을 수 있다.

명제 6
Lp(E)L^p(E) 공간애서의 fnff_n \to f (약한 수렴)과 임의의 gLq(E)g \in L^q(E) 에 대해

limnEgfn=Egf\lim_n\int_E g\cdot f_n = \int_E g\cdot f

임은 동치이다.

리즈표현정리로부터 Lp(E)L^p(E) 의 임의의 선형 범함수 TT
T(fn)=EgfnT(f_n) = \int_E g\cdot f_n
꼴로 정의된다 (gLq(E)g \in L^q(E)). 따라서 양변에 극한을 취하면 좌변은 선형범함수의 성질로부터 T(f)=EgfT(f)=\int_E g\cdot f 가 되므로 동치관계가 성립한다.

THM 7 함수열 fnf_nffLp(E)L^p(E) 에서 약한수렴한다고 하자. 그러면 fnf_n 은 유계이고,

fpfnp\Vert f\Vert_p \leq \Vert f_n\Vert_p

가 성립한다.

pf. 부등식에 대한 증명
횔더의 부등식으로부터 다음을 알 수 있다.
Effnfqfnp=fnp\int_E f^\star\cdot f_n \leq \Vert f^\star\Vert_q\cdot\Vert f_n\Vert_p = \Vert f_n\Vert_p
이때 함수열 fnf_nff 로 약한수렴하고, fLq(E)f^* \in L^q(E) 이므로
fp=Eff=limnEffnlim inffnp\Vert f\Vert_p = \int_E f^\star\cdot f = \lim_n\int_Ef^\star\cdot f_n \leq \liminf\Vert f_n\Vert_p
유게성에 대한 증명은 귀류법을 이용해 증명하면 된다. (Reference 참고)

따름정리 Lp(E)L^p(E) 의 함수열 fnf_nff로 약한수렴하고, Lq(E)L^q(E) 의 함수열 gng_ngg로 강하게 수렴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limnEgnfn=Egf\lim_n\int_Eg_n\cdot f_n = \int_E g\cdot f

위 정리 7에 의해 약한수렴하는 함수열에 대해 노음이 유계이므로 fnpC\Vert f_n\Vert_p \leq C 인 양수 C가 존재한다. 이와 강한 수렴의 정의를 이용하면 성립하는 것을 쉽게 확인가능하다.

이전 포스트에서 살펴본 것 처럼 LpL^p 공간의 단순함수들로 이루어진 부분공간은 조밀하다. 또한, 단순함수는 유한 support 를 가지므로, 이를 통해 약한 수렴에 대한 다음의 두 정리를 이끌어낼 수 있다.

THM 10
Lp(E)L^p(E) 의 유계함수열 fnf_nfLp(E)f \in L^p(E) 으로 약한 수렴하는 것과, 모든 E의 가측부분집합 A에 대해

limnAfn=Af\lim_n\int_A f_n = \int_A f

은 동치이다.

THM 11
Lp[a,b]L^p[a,b] 의 유계함수열 fnf_nfLp[a,b]f \in L^p[a,b] 으로 약한 수렴하는 것과, 모든 x[a,b]x \in [a,b]에 대해

limnaxfn=axf\lim_n\int_a^x f_n = \int_a^x f

은 동치이다.

다음과 같은 예시를 살펴보자. 유계폐구간 I=[0,1]I=[0,1] 에서의 함수열 fn=nχ(0,1/n]f_n = n \cdot \chi_{(0,1/n]} 을 생각하자. 구간 I에서 f=0f=0 으로 두면, fnf_nL1[0,1]L^1[0,1] 에 속하고, ff 로 점별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정리 11을 이용해 약한 수렴여부를 판정해보자.

g=χ(0,1]L[0,1]g=\chi_{(0,1]} \in L^\infty[0,1] 을 잡으면

limn01gfn=limn01fn=1\lim_n\int_0^1g\cdot f_n = \lim_n\int_0^1 f_n =1

인 반면,

01gf=01f=0\int_0^1 g\cdot f = \int_0^1f=0

이므로 약한수렴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가능하다. 이처럼 L1L^1 공간에서는 점별수렴이 약한수렴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반면 p>1p>1 인경우 LpL^p 공간에서는 점별수렴이 주어지면 약한수렴 역시 보장된다.

THM 12 가측집합 E와 1<p<1<p<\infty 에 대해 fnf_nff로 점별수렴하는 유계함수열일 경우 약한수렴한다.

함수열 fnf_n 이 점별수렴하므로, fnp|f_n|^p 역시 점별수렴한다. Fatou's Lemma로부터 Efp<\int_E|f|^p<\infty 이므로 fLp(E)f \in L^p(E) 이다. 정리 11을 이용해 약한수렴을 보이기 위해 임의의 가측부분집합 AEA\subset E 에서의 적분 극한의 일치성을 보이자.
fnf_nLp(E)L^p(E) 에서의 유계함수열이므로 {fnf_n} 은 균등적분가능하다. (횔더 부등식으로부터 유도가능) 따라서, 비탈리 수렴정리로부터,

limnAfn=Af\lim_n\int_A f_n = \int_A f

가 성립한다.

라돈-리즈 성질 Radon-Riesz property

가측집합 EEp>1p>1에 대해 다음 두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과
limnffn=0\lim_n\Vert f-f_n\Vert = 0 은 동치이다.

  1. 함수열 fnf_nffLp(E)L^p(E) 에서 약한수렴한다.
  2. limnfnp=fp\lim_n\Vert f_n\Vert_p = \Vert f\Vert_p

Reference

  • Real Analysis 4th edition, Royden
profile
블로그 이사했습니다 https://ddangchani.github.io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