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besgue Measure (르벡 측도)
3. Outer / Inner Approximation of Lebesgue measurable sets
Excision Property
앞으로 다른 명제들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excision property를 종종 사용하게 된다. 이때 excise한다는 것을 전체 집합에서 측도가 0인 부분을 도려낸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우선, 유한 외측도(finite outer measure)를 갖는 가측 집합 A가 A⊆B를 만족한다면
m∗(B−A)=m∗(B)−m∗(A)
(단, B−A=B∩Ac 로 정의한다 : 차집합 )
이 성립한다. 이로부터 다음의 Outer/Inner approximation 역시 가능함을 알 수 있다.
Approximation
THM 11 실수집합 ∀E⊂R 에 대해서 다음은 E가 가측인 것과 동치이다.
(Outer Apx) 임의의 ϵ>0 에 대해 E⊆O 인 열린 집합 O가 존재한다.
m∗(O−E)<ϵ
(Inner Apx) 임의의 ϵ>0 에 대해 F⊆E 인 닫힌 집합 F가 존재한다.
m∗(E−F)<ϵ
위는 임의의 가측집합 E에 대해 측도가 0인 집합을 절단excise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THM 12
정리 11과 같은 조건에서, 서로소인 열린구간열{Ik}의 합집합인 O=⋃k=1∞Ik 가 존재하여,
m∗(E−O)+m∗(O−E)<ϵ을 만족한다.
4. 가산가법성, 연속성 및 Borel-Cantelli Lemma
Def 르벡 측도Lebesegue Measure : 외측도의 가측 집합으로의 제한restriction
즉, 가측 집합 E에 대해 르벡 측도 m(E)는 m∗(E)과 같다.
Prop 13 르벡 측도는 가산가법성을 갖는다.
가산개의 서로소인 가측집합열 {Ek}에 대해, ⋃∞Ek는 가측집합이며, m(⋃∞Ek)=∑∞m(Ek) 이 성립한다.
THM 15
(르벡 측도의 연속성continuity)
증가(감소)하는 가측집합열 {Ak}({Bk})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m(⋃k=1∞Ak)=limk→∞Ak
m(⋂k=1∞Bk)=limk→∞Bk
(여기서 집합열의 증가/감소는 각 집합열의 집합들이 연속적으로 포함관계이며 이때 집합의 크기가 점점 커짐/작아짐을 의미한다.)
Def
명제들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a.e의 개념이 등장한다. 어떤 명제가 가측집합 E의 a.e. on E 에 대해 성립한다는 것은, 특성이 성립하지 않는 E의 부분집합의 측도가 0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집합 E와 함수 f:E→R 에 대해
E0={x∈E∣f(x)=0}
로 두고 m(E0)=0 을 만족한다고 하자. 그러면 이때 우리는 a.e on E 에서 f=0이라고 말한다. almost all의 개념도 이와 유사하게, 성립하지 않는 원소들의 집합의 측도가 0임을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Borel-Canteli Lemma
가산가측집합열 {Ek}에 대해 ∑∞m(Ek)<∞ 가 만족되면 거의 모든(almost all) x∈R 이 최대 유한 개의 각 Ek에 속할 수 있음.
(i.e. 무한 개의 Ek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의 측도 =0)
6. Cantor Set
Def
칸토어 집합(Cantor Set, C)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C=⋂k=1∞Ck
- 이때 Ck는 감소하는 폐집합열이고,
- 각 k에 대해 Ck는 서로 소이고 길이가 1/3k인 2k개 폐구간의 합집합으로 정의된다.
(EX) C0=[0,1], C1=[0,31]∪[32,1]
이때, 칸토어 집합에 대해 다음 성질이 성립한다.
Prop 19
칸토어 집합은 닫혀있고, 불가산이며, 측도 0인 집합이다.
pf.
1) 폐구간의 합집합은 폐구간이므로 칸토어 집합 역시 폐집합이다.
2) Finite Subadditivity(유한가법성)에 의해 m(Ck)=(2/3)k 이므로 m(C)=0 이다.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