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지향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레임워크간단하게 말하자면 좋은 객체지향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도록 환경을 제공해주는 기술이다Spring Framework의 핵심 개념으로 IoC/DI, AOP, PSA이 있고 스프링 MVC와 같은 웹기술을 제공한다.이 외에도 DB접근 기술과
Spring은 MVC패턴을 준수한다웹 개발 모델MVC2 모델의 Controller( Servlet ) - View ( JSP ) - Model와 유사한데, 몇가지 핵심적인 개념이 추가된다Spring Web MVC의 핵심은 DispatcherServlet, ViewRes
Spring에서 Bean등록은 주로 @Bean 또는 @Component를 이용한다주로 Spring Boot를 이용하여 웹개발을 진행하게되면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와 같은 애노테이션을 이용하여 Bean을 등록하게 되는데 이 애노테이
Spring 환경에선 보통 @RequestParam, @RequestBody, @ModelAttribute 을 이용하여 요청받은 데이터를 model 객체에 매핑 시킨다. 하지만 Spring 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으로 매핑이 되지않을때는 따로 formatter나
handler의 Argument와 Return에 올 수 있는 타입들을 알아보자공식문서(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docs/current/reference/html/web.htmlform이나 param으로 넘어온 데이
필터와 인터셉터 모두 특정시점의 동작 전후에 처리할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Spring의 AOP와 함께 세 가지가 자주 비교된다외부에서 요청이 들어왔을 때, 해당 요청은 Filter - Interceptor - AOP의 순서대로 거치게되며 응답시에는 반대의 순서를 겪
애노테이션을 공부하다보니 갑자기 과거의 기억이 스쳤다Spring에서 의존성 주입을 받다보면 점점 길어져서 불편했던 기억이다롬복을 이용한 의존성주입은 간편하지만 의존성이 많아질수록 차지하는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주입받는 Repository만 해도 12개다프로젝트 당
웹 개발공부를 하거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의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Controller는 외부 요청을 받아들이고 내부 로직진행을 위해 Service를 호출하며,Service는 실제 비즈니스 로직이 동작
Project Lombok은 중복되고 반복되는 코드 작성의 불편함을 줄여주기 위한 Java 라이브러리다.클래스 생성 시마다 반복해서 작성해야하는 생성자, ToString, HashCode, Equals, Getter/Setter와 같은 코드들을 애노테이션을 이용해 간편
프록시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동적프록시 기술로 CGLib을 접할 수 있었다.CGLib은 클래스기반으로 바이트코드를 조작하여 동작하며, Dynamic Proxy에서와 같이 InvocationHandler 를 이용하는 방식( 리플렉션 사용 ), 그리고 MethodInterc
이번에는 Spring에서 WebSocket을 이용해 실시간 채팅을 만드는 예시를 작성해보려한다.포스팅의 목적이 WebSocket을 활용한 간단한 예시이기 때문에 단순한 구조로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