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게는 행동의 정밀성과 지식의 비정밀성이라는 명백한 불일치가 존재
인간이 부정확한 지식만으로 정확한 행동을 할 수 있는 4가지 이유
== 행동은 내적, 외적 지식과 제약의 결합
우리는 과제를 완수하는데 충분한 지식을 기억할 필요가 있음
사람은 두 종류의 지식을 활용
서술적 지식 : 무엇에 대한 지식절차적 지식 : 어떻게에 대한 지식사람들은 기억해야할 것에 대해 단지 부분적인 묘사만 유지
초기 변별 규칙에서 더 광범위한 변별 규칙이 필요하도록 바뀌면 사람들은 혼동을 겪음. 그렇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좋아보이는 것이 때때로 실제 세계에 도입될 때 실패함.
예를 들어 같은 사이즈의 서로 다른 크기였던 동전이 금액과 상관없이 모두 같은 크기로 바뀐다면 사람들은 혼란을 겪음.
why ? 사람들의 초기 동전 변별 규칙이 동전 크기만으로 구분하도록 확립되었기 때문
기억 속에 담아둬야 할 것을 간단히 하는데 도움이 되는 강력한 제약을 활용
보안 요건 중 많은 것은 불필요하며, 불필요하게 복잡
why keeping? 실제로 필요하기 때문
하지만 인간 능력에 대한 적절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불필요하며 복잡해짐
너무 안전하게 하면 오히려 덜 안전해짐
사람들은 모든 사이트의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에, 암호를 물리적으로 저장해두기 때문 (노트에 적은 비밀번호가 노출된다면?)
가장 안전한 방법은 머릿속의 지식을 활용하는 것
현재 생각 중 가장 최근의 경험이나 재료를 보유
자동으로 저장되나 한계가 존재
단기 기억의 용량은 측정하기 어려움 - 재료의 친숙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
많은 것이 단기 기억에 보유된다고 생각해선 안됨.
단기 기억이 외부 방해 요소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막는 방법 중 하나는 다중 감각 양식을 사용하는 것
과거에 대한 기억
입력과 출력에 많은 시간 소요
정확한 내용이 기억되기 보단 재구성되고 해석된 조각들이 기억됨
== 왜곡과 변화의 대상
장기기억으로부터 경험과 지식을 잘 인출하기 위해선 처음에 그 내용이 어떻게 해석되었는지가 중요함. 장기기억의 어려움은 조직화. 조직화란 연관된 정보끼리 묶어 구조화하는 것. 이게 잘 이뤄지지 않는다면 기억하고 있다고 인지는 하지만 출력은 안되는 설단 현상이 발생.
배후의 의미나 구조를 갖고 있지 않는 것들에 의한 단순한 기억
기계적 암기가 필요
<문제점>
디자인에서의 함축 = 의미있는 구조 제공
가장 좋은 방법은 기억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
요구되는 정보를 세상 속에 넣기 (ex. 전통적인 GUI를 사용하는 이유)
의식적인 사고에는 시간과 정신적 자원이 소모
->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근사 모형을 사용
단기 기억에 대한 단순화된 모형은 과학적으로 틀렸을지라도 유용한 디자인 지침을 제공
효과적인 기억은 모든 가용 단서를 사용
조종사는 항공 관제사가 하는 일을 어떻게 기억하는가
1. 핵심 정보만 적는다.
2. 최소한의 기억만 요구한다.
3. 정보의 일부를 의미있는 구절로 기억한다.
미래 계획 기억 : 어떤 시점에서 어떤 활동을 할 것을 기억하는 과제
reminding의 전략
신호 : 무엇을 해야할지 기억 ex. 핸드폰 알림 소리메세지 : 정보 자체를 기억 ex. 핸드폰 알림 메모| 세상속의 지식 | 머릿속의 지식 |
|---|---|
| 해석 | 학습 |
| 접근이 용이 | 접근이 어려움 |
| 신호 | 메세지 |
교류적 기억 (transactive memory) : 여러 머리, 여러 기기에서의 기억
대응 : 세상속의 지식과 머릿속의 지식을 결합하는 위력
자연스러운 대응 : 컨트롤러와 조절되는 물체간의 관계성이 명확한 대응 (공간적인 단서 채택)
사용성은 구매 과정에서 자주 고려되지 않음.
-> 실제 상황에서 직접 사용해보아야 사용성을 알 수 있음.
자연스러운 대응은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음.
관습을 깨고 비유를 전환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사람들이 새 시스템에 적응할 때까지 일정 기간의 혼란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