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KS Immersion Day 정리_(2)

이애옹·2023년 11월 29일
0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 Service

📌 Service object의 필요성

  • 파드가 내려갔다 올라가면 IP가 변경된다. => 앞에 로드밸런서를 붙임
    =>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것이 Service

  • 파드는 수명 주기가 짧은 일시적인 자원
    이러한 상황에서파드를 외부 네트워크로 노출하려면 수명 주기에 따라 변경되는 pod의 IP주소를 찾고 파드가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의 port 번호를 찾아 연결해야함

  • 요청을 파드에 라우팅하는 영구적은 IP 주소와 DNS 주소가 필요

📌 service object 종류

- clusterIP

- NodePort

- LoadBalancer

📝 EKS

📌 EKS의 주요 특징

  • 오픈 소스 k8s를 수정하지 않고 구동
  • 4개의 마이너 버전을 지원 -> 1년 정도는 해당 버전 사용 가능, 그 이후에는 주기적으로 버전 업데이트가 필요함 (보통 3개월에 1버전 업데이트이므로 약 1년)

📌 EKS 데이터 플레인

  • API 서버는 최소 2개 이상,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3개

  • AWS가 관리하는 AWS Managed VPC, 사용자가 관리하는 Customer VPC가 있는데 서로 다른 VPC간 통신을 위해서는 EKS owner ENI 사용해서 통신

📌 EKS cluster endpoint - public (defalut)

어디서든 api 서버에 접근 가능 (인증은 필요)
VPC간 통신도 외부를 통해서 접근 가능
(예를 들어 pod를 새로 생성하거나 삭제 하는 등의 .. 이런게 필요하면 외부로 api 서버 접근)

📌 EKS cluster endpoint - public + private

private host zone을 만들고 접근
같은 VPC간 통신은 내부 IP를 이용해서 접근

📌 EKS cluster endpoint - private

Baston 서버를 통해 통신

이럴 경우 내부로 나가는게 X
S3등의 서비스는 외부에 있기 때문에 Public으로만 접근해야하는데,
모든걸 private로 설정 해 버릴 경우 접근이 불가능 하다는 문제가 발생

해결방법

  • VPC Endpoint 이용 (내부로도 S3등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게 해줌)
  • NAT Gateway 이용 (이건 내부로 접근은 불가능하고 내보내는 것은 가능 -> 따라서 보안적 측면에서 좋음)

📌 EKS 데이터 플레인 옵션

- self-managed 노드그룹
-> 최근에는 거의 사용 X
- managed 노드그룹
-> EKS 최적
- AWS fargate
-> 서버리스

📌 AWS Fargate

파드 실행 전에 Fargate의 Profile을 미리 설정해둠
pod 실행 시 Webhook이 이 pod를 가로채서 Profile에 설정해 둔 옵션에 맞게 컨테이너 실행시켜줌

여기서 EKS 실행환경은 EC2+Fargate 혼용이 가능함

📝 EKS Networking

📌 Kubernetes 네트워킹

서로 다른 워커노드간 통신을 위해 Overlay 네트워킹 사용 (VXLAN or IPIP)

📌 EKS VPC CNI 네트워킹

pod에 VPC IP를 할당해줌
-> 따라서 Overlay가 아닌 일반 VPC 네트워킹으로 서로 다른 워커노드간 통신이 가능해짐

VPC CNI 플러그인 마다 할당 받을 수 있는 최대 파드 개수가 정해져있음

Max pods = ENI X (ENI당 지원하는 IPv4 개수 -1 ) + 2

IPv4 : /28
(32비트 중 28비트가 네트워크용 adress, 나머지 4비트가 host adress)
-> 1비트당 16개..
IPv6 : /80

📌 Persistent Volume 생명주기

PV ProvisioningDynamic PV Provisioning으로 구분

PV Provisioning : 미리 볼륨을 만들어서 씀
Dynamic PV Provisioning : 사용할때만 볼륨을 만들어 씀 (비용 낭비 문제 해결)

📝 보안

📌 AWS EKS 책임 공유 모델

AWS 책임 영역고객 책임 영역으로 구분

인스턴스에 대한 장애 등은 AWS에서 커버 X
-> 따라서 책임에 대한 분배가 필요

📌 쿠버네티스 RBAC

AWS IAM과 완전 독립
쿠버네티스 리소스 접근 시 인증되는 부분

Cluster role : 클러스터 전체 권한
Role : 특정 namespace에 대한 권한

또한, pod로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마다 권한을 따로 부여하는것도 가능
-> Service account를 만들어서 여기에 권한 부여하는 방식

binding : 정의한 역할을 특정 사용자에게 배분

📌 EKS : IAM Authentication

관리하는 서버에 IAM Authentication가 설치

토큰을 이용해서 권한 확인.......

vi ./kube/config 명령어 실행 시 토큰 정보 등 권한 관련 내용 확인 가능

📌 pod 별 IAM 할당 (IRSA)

워커노드에 권한을 부여하는것이 아닌 Pod별로 권한을 부여

OICD ldp 등록 -> IAM role 생성 -> IAM Policy 할당 -> K8S SA 생성 -> SA Annotation 추가

📝 EKS Scaling

서비스가 잘되면 pod 뿐만 아니라 워커노드에 대한 할당도 중요해짐

  • Cluster Auto-scaler : pod 배포할 워커노드 부족 시 워커노드 추가
  • Horizontal pod Auto-scaler : pod 자원 부족 시 pod 추가
  • 그외 하나 더..

📌 EKS 환경에서의 Auto Scaling

  • Metric Server의 지표 수집를 주기적으로 수집
  • HPA Controller가 계속 Mertric server를 체크하고 임계치를 넘을 경우 ReplicaSet 증가 -> 새로운 Pod 추가

이때 워커노드에 자리가 없는데 pod가 또 추가 될 경우 이건 Pending pod로 빠짐
-> Cluster auto scaler가 주기적으로 해당 상태도 체크해줌
-> auto scaling group 생성

📝 CI/CD

📌 gitOps란?

인프라가 코드로 정의되고 git 리포지토리에서 버전이 관리되며 동일한 Pull request 프로세스에 따라 프로비저닝 되는 접근 방식
-> git을 통한 모든 형상관리가 가능

버전관리, 브랜치관리 등 모든 관리를 git을 통해 관리

쿠버네티스를 위한 gitOps 도구 -> argoCD

profile
안녕하세요
post-custom-banner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11월 29일

iptables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