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930 TIL

이은택·2021년 9월 30일
0

TIL

목록 보기
89/141

나에게 해주고 싶은 말

차근차근 화이팅!

🧠생각

탄탄한 기반 vs 모래성

  • 굳이 알고리즘 기초단계에서 다른 사람들의 질의 응답을 보고 생각을 하며 시간을 투자할 가치가 있을까? 문제만 푸는데에만 시간을 쓸지 아니면 다른 사람들의 문제 풀이의 고민을 보고 생각 하는 것에 시간을 쓸지 고민이다. 답이 맞다면 모범 답안과 나의 답안을 비교하고 넘어가고 답이 틀릴 경우만 다른 사람들의 질의 응답을 보는 것이 효율적이려나? 다른 사람들의 고민을 보는 것에서 오는 이점은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읽는 능력이 커진다.(나에게 부족한 부분) 그리고 문제가 풀리지 않는 이유를 찾으며 훗날에 생길 에러를 대처하는 능력이 커진다.(대신에 질문자의 답을 읽고 답변 단사람의 답을 바로 보는 것이 아니라 나또한 문제의 원인을 생각해볼것) 진도에 있어서는 답을 맞추기만 하면 적어도 모범답안을 참고하고 바로바로 넘어가는 것이 효율 적일지는 몰라도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사소한 이유로 코딩을 하며 발생 하는 에러들을 대처하느라 쓰는 시간을 고려하면 사람들이 만드는 사소한 실수에 의한 에러를 한번 보고 생각해보는 과정이 훗날 코딩하면서 생길 에러들을 대처하거나 미리 방지하는 면으로 보았을때 도움이 될 것 같다. 단지 현재 보이지 않을 뿐이지. 대신 진도가 나가지 않으면 의지가 떨어지기 마련이니 진도도 고려해서 더이상 필요 없는 고민이라 판단되면 넘어가자.

원초아, 자아, 초자아

방향성 점검

  • 코딩하는 측면에서는 시간이 가는줄 모른다는게 체감이 되고 시간을 투자하면 아직까지는 실력이 성장할 거라는 것에 확신이 들지만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은 언어와 관련된 분야라 나에게 병목같은 현상을 일으킨다는 점을 보았을때 언어적 측면을 성장 시킬 필요성을 다시 한번 느낀다. 내가 보는 부족한 부분을 성장 시키는 것이 맞을까 아니면 남들과 같이 코딩하고 개발에 관련한 공부만 하는 것이 맞을까? 가끔씩 불안함에 같은 문제를 가지고 생각이 떠오르기는 하지만 여러경험을 떠올려 보면 역시나 언어측면에서 오는 문제들이 많다고 본다. 언어적 능력을 키운다는게 포괄적이라 어떻게 키우고 스스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해나가며 성취감을 키울지 애메모하지만 인생에 살아감에 있어서 이 부족한 언어능력이 평균 이상만 되어도 현재 가지고 있는 대다수의 고민들이 해결 될 것 같다는 막연한 생각이 든다. 지나고 보면 이러한 생각이 허위의식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해서 고민을 하게 되는 것 같지만 현재 생각으로는 어떤 일을 하던 책을 읽으며 인풋양과 인풋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우선순위에 있다는 생각이 든다. 1등에서 10등하는 것보다 100등에서 50등하는 것이 더 쉽다는 매커니즘을 볼때 나에게는 짚고 넘어가는것이 여러모로 유익하다는 생각이 든다. 생각이 틀리던 맞던 역시나 해봐야 알 것 같다.

👨‍💻개발공부

파이썬 기초 제어문 리뷰(문제 풀이 및 질의응답 참고)

🔻금일 목표

학습시간 7시간 35분

  • 독서 3시간 or 90 pg
    • '나는 어른이 되어서도 가끔 울었다' (에세이) -112 pg 2시간 5분
  • 독후감 2개 작성 or 1시간
    • '지킬 박사와 하이드' 독후감- 1시간 15분
    • '나는 어른이 되어서도 가끔 울었다' 독후감- 40분
  • 개발공부 2시간 or 토픽 2-3, 3-1,2
    • 파이썬 기초 리뷰(문제 풀이 및 질의응답 참고 - 제어문) 1시간 35분
    • 사이트 피드백 30분
  • 뉴스 5분 or 다큐 or 역사 찾아보기
    • 5분
  • 영어 관련 책 또는 구글뉴스 읽기 5분
    • 40분
  • 발음 연습 10분
    • 30분
  • 악필교정 15분
    • 15분

📋🖍시간사용 평가

① 목표를 달성하였는가?

예스!

② 계획대로 실천하였는가?

계획?표 뼈대와는 다른데 틀을 따라가려고함

③ 계획에 문제는 없었는가?

아직 어떤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어느정도 걸리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다고판단

④ 중요도가 높은 일에 시간을 적절히 사용하였는가?

그렇지 않을까?

⑤ 중요도가 낮은 일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았는가?

어느정도 게으름에 티비를 보며 시간을 뺏길때가 있는데 아에 보지 않는 다기 보다는 스스로 제어 할 수 있냐 없냐의 차이인것 같다. 빡빡하게 제어하기보다는 극단적으로 빠지지만 않으면 될 것 같다. 이것또한 자기 합리화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데 이 판단이 틀린지 안틀린지는 앞으로 경험해 봐야 알 것 같다.

⑥ 시간을 낭비하게 하는 요소는 무엇이었는가?

티비에서 나오는 프로그램을 보고 싶은 욕구

집중이 되지 않아 떠오르는 잡생각

졸림

⑦ 일의 능률이 오르는 시간은 언제였는가?

딱히 일의 능률이 오르는 시간데는 모르겠고 일의 능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시간대는 3-4시에 졸음이 몰려오는 시간 점심식사후 시간쯤에 제일 피곤한 시간대인 것 같음

⑧ 앞으로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가능하면 목표를 미리 끝내두고 보상시간을 취할 것

목표의 마지노선이 명확 하지 않은 것 같은데 더 구체적으로 목표를 세울 것

📊금일 하루 어떻게 보냈는지?

  • 산책, 티비, 낮잠, 목표완수

⏱ 시간 일지

  • 10:10
    • 학습(발음연습)
      • 30분
  • 10:40
    • 학습(영어관련 글)
      • 40분
      • 졸림
  • 11:25
    • 학습(글씨체 연습)
    • 15분
  • 11:40
    • 학습(IT 관련글 읽기)
      • 15분
  • 11:55
    • 학습(독후감 작성)
      • '지킬 박사와 하이드' - 1시간 15분
  • 오후 1:10
    • 점심
  • 3:15
    • 학습(독서)
      • 10분
  • 3:45
    • 여가
  • 4:00
    • 수면 1시간 20분
  • 5:20
    • 여가
  • 5:45
    • 학습(독서)
      • 1시간 35분
  • 7:20
    • 개인유지
  • 7:50
    • 학습(독서)
      • 20분
  • 8:10
    • 학습
  • 8:25
    • 학습(독후감 작성)
      • '나는 어른이 되어서도 가끔 울었다'
  • 9:05
    • 개인유지
  • 9:25
    • 학습(개발공부)
      • 파이썬 기초 리뷰(문제 풀이 및 질의응답 참고 - 제어문)
      • 사이트 피드백
  • 11:30
    • TIL 작성
  • 오전 12:05

🦴계획표 뼈대

  • 10:10
    • 학습시간 3시간
  • 1:00
    • 점심
  • 2:00
    • 학습시간 4시간
  • 6:00
    • 저녁
  • 7:00
    • 목표 달성시 여가시간 2시간
  • 9:00
    • 하루 마무리
  • 11:00
    • 취침
profile
도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