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Opensearch] Opensearch 사용하기 - 1: 클러스터 구축하기

SUN·2024년 5월 14일
0

aws

목록 보기
2/3

aws에 opensearch라는 기능이 있다.
이거 관련해서 자료가 많이 없었어서 구축에 어려움을 겪었어서 공유하고자 한다.
처음에는 막막했는데 막상 쓰다보니까 굉장히 편리해서 도입을 고려해봐도 좋을듯하다.

오픈서치란?

elasticsearch + kibana를 이용해서 로그 모니터링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둔 제품이라고 보면 된다. 나는 로그 모니터링과 시각화를 위해서 사용했다.

오픈서치 클러스터 생성


amazon opensearch service -> 도메인 -> 도메인 생성으로 들어가준다.
설정은 각자 상황에 맞춰서 하면되는데 나같은 경우에는 표준 생성을 고르고 아래처럼 했다.


네트워크는 퍼블릭 액세스로 설정했고
세분화된 액세스 제어는 마스터 사용자 계정을 만드는 걸로 했다.

액세스 정책은 도메인 수준 액세스 정책으로 구성했다.

서버리스로 생성하는 방법도 있는데 용량이나 이런 거 관리를 알아서 해줘서 편하다.
나는 서버리스로 구성하진 않았지만 서버리스로 구성하는 것도 고려해보면 좋을 듯하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이 생성된 오픈서치 클러스터로 데이터를 적재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 지에 대해 포스팅하겠다.

profile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