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외판원 순회(TSP) 알고리즘

kkado·2022년 6월 9일
12

알고리즘

목록 보기
7/8
post-thumbnail

외판원 순회 문제 (Traveling Salesman Problem)는 조합 최적화 문제의 일종이다.

알고리즘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여러 지역을 돌면서 물건을 판매해야 하는 판매원이, 모든 지역을 돌고 다시 출발점으로 돌아와야 한다고 할 때, 가장 최적의 경로를 찾는 문제

얼핏 보기에도 까다로워 보인다. 단순히 기준점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점으로만 이동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그 점으로 이동했을 때 다음 상황까지 함께 고려해 주면서 점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이다.

브루트 포스로 해결

한가지 정말정말 무식한 방법이 있긴 하다. n개의 점들을 도는 순서를 순열을 통해 구해놓고, 그 경로를 따라 가면서 거리를 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알다시피, n개 점들의 순열의 경우의 수는 n!개이다... n이 20만 되어도 2,432,902,008,176,640,000가지, 한국말로 '243경' 개의 경우의 수를 따져 주어야 한다. '해결'법이라고 하기도 좀...


동적 계획법으로 해결

그럼 조금 더 머리를 쓰자.

1~n번 도시가 있고, 이 중 몇 개의 도시를 거친 후에 지금 판매원이 i번 도시에 있다.
그럼, 이 중에서 거쳐오지 않았던 도시들 중에서 다음 도시를 정해야 한다.

우리는 다음 도시로 이동했다고 '가정' 하는 방식을 사용할 것이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n 개수를 줄여서, 5개 도시를 돌아야 하고, 이 중 1, 2번 도시를 돌았다고 하자. 3, 4, 5번 도시가 남았다. 이 때 우리는 3가지 경우의 수를 생각할 수 있다.

  • 3번 도시를 방문 + 나머지 4, 5번 도시를 최적으로 해결
  • 4번 도시를 방문 + 나머지 3, 5번 도시를 최적으로 해결
  • 5번 도시를 방문 + 나머지 3, 4번 도시를 최적으로 해결

이 중에서 최솟값을 가지는 친구가 우리가 찾는 그 도시가 된다.

방금 구한 게 뭐지? 현재 상태에서 남은 점들을 최적 경로로 돌았을 때의 총 거리 이다. 즉 나머지 3, 4, 5번 도시를 최적으로 해결 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강조 표시한 부분이 반복되는 것이 보이는가? 이제 조금 점화식이 보일 것도 같다.

즉, 아직 방문하지 않은 점들 중 하나를 방문했다고 '가정' 하고, 그 점을 제외한 나머지 점들을 마저 돌았을 때의 거리를 구해 본다. 이 거리와, 현재 점과 가정한 그 점 사이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점!
그 점이 우리가 찾는 최적 경로의 다음 점이다.


이제, 2차원 리스트 dp를 만들자.

dp[i][visited]을 정의하기를,

현재 방문 상황은 visited 이고, 현재 위치는 i라고 할 때, 남은 점들을 최소 거리로 돌았을 때의 남은 이동 거리

로 정의하자.

이 때 우리는 인덱스로 접근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두 번째 visited 인자로 숫자를 사용할 것이고, 각각의 비트를 각각의 도시에 매핑해서 0과 1로 방문 여부를 표시할 것이다.

즉, 5개의 도시 중 visit00110 이라면 2, 3번 도시를 방문한 것이고
00001 이라면 1번 도시만 방문한 것이고
11111 이라면 모두 방문한 것이다.

그러면 00000부터 11111 (2^n-1) 까지, 총 2^n칸이 필요할 것이고 이것이 각각 현재 위치 i마다 다 필요하므로 dp 리스트는 n by n^2의 크기가 될 것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했던 다음 도시로 이동했다고 '가정' 하는 것은 해당 도시 번호만큼 비트 시프트를 한 값을 | (or) 연산 해서 1로 만들어주는 것으로써 가능하다.

이제 점화식을 세워 보면,

dp[i][visited] = min(dp[i][visited], 
					dp[j][visited | (1 << j) + graph[i][j])

가 될 것이다.

파이썬 구현 코드

n = int(f.readline())
INF = 999999

pos = [list(map(int, f.readline().split())) for _ in range(n)] # 점 좌표
graph = [[0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n)] # graph[i][j] = graph[j][i] = 점 i와 점 j 사이의 거리
dp = [[INF] * (1 << n) for _ in range(n)]
# dp[i][j] : i = 내 위치, j : 아직 방문하지 않은, 방문해야 할 노드 정보
# 들어가는 값은 남은 점들을 최적 경로로 돌았을 때의 총 거리

def getDist(Ax, Ay, Bx, By) : # 유클리드 거리 반환
    return round(math.sqrt((Ax - Bx) ** 2 + (Ay - By) ** 2), 3)

def dfs(start, visited) :
    # start : 현재 내 위치
    # visited : 방문 여부 정보를 담고 있음. 해당 비트가 0이면 방문하지 않은 것, 1이면 방문한 것
    if visited == (1 << n) - 1 : # 모든 정점 방문
        dp[start][visited] = graph[start][0]
        return graph[start][0]
    
    if dp[start][visited] != INF :
        return dp[start][visited]
    
    for i in range(1, n) :
        if visited & (1 << i) : # 0번 점은 시작점이니까 패스하고 1부터 본다. 방문한 점이라면 pass
            continue
        # 그 다음 점까지의 거리 + 그 다음 점에 방문하고 나서 남은 점들을 최적 경로로 돌았을 때의 거리
        # 의 합이 가장 작은 점이 현재 visited 상태 최적 경로 상의 다음 점이 될 것이다.
        dp[start][visited] = min(dp[start][visited], dfs(i, visited | (1 << i)) + graph[start][i]) 
    
    return dp[start][visited]

출발점을 0으로 고정했다.
다시 출발점으로 돌아와야 하기 때문에 visited가 꽉 차있을 때 dp 값, 즉 남은 최적 경로는 그 마지막 경로의 점에서 출발점까지의 거리이다.

이러고 dfs(0, 1)을 호출해 주면, 전체 순환 경로의 최소 거리가 나온다.
출발점을 바꾸자면 dfs(s, 1 << s)가 되겠다.

번외 : 경로 구하기

총 거리 말고, 어떻게 돌아야 최소가 나오는지 경로 정보를 알고 싶으면 다음처럼 구현할 수 있다.

def printPath(k, visited) :
    # visited 상태에서, 남은 점들을 최적으로 돌 때, 다음으로 방문하는 점을 찾는다.
    path.append(k)
    
    if visited == (1 << n) - 1 :
        return
    
    nextvalue = [INF, 0]
    for i in range(n) :
        if visited & (1 << i) :
            continue
        # dp[i][visited] 현재 visited에서의 최적이 들어있고, 우리가 찾는건 다음의 최적 점이다.
        # 현재의 visited에 하나씩 비트 붙여가면서 값을 구했을 때, 그 값들 중 최솟값이 다음 최적 점이다. 
        if (graph[k][i] + dp[i][visited | (1 << i)]) < nextvalue[0] :
            nextvalue[0] = graph[k][i] + dp[i][visited | (1 << i)]
            nextvalue[1] = i
    
    # for loop 종료 시, nextvalue[0]에는 남은 점들을 최적으로 돌았을 때의 최소 거리가
    # nextvalue[1]에는 다음 점이 들어 있다
    
    printPath(nextvalue[1], visited | (1 << nextvalue[1])) # 반복.

현재 점이 k이고, 다음 방문하는 점은 위에서 설명했듯 그 점까지의 거리 + 그 점에서의 dp 값이 최소가 되는 점이다.

이것을 초기값 INF인 최솟값 변수를 갱신하면서 인덱스를 찾아 준 후,

그 인덱스를 OR 연산해서 채워넣고 다시 동일 함수를 호출하면 된다.

시간 복잡도는?

TSP(visited, currentVertex) =
if(visited == U) then dist(currentVertex, 0)
else then min(TSP(visited∪{k}, k) + dist(currentVertex, k),k ∈ U-visited)

visited의 경우의 수는 2^n, 현재 위치한 currentVertex가 n개가 있으므로, 부분 문제는 n*2^n 개이다. 그리고 각각의 부분 문제 안에서 n 만에 풀기 때문에 전체 시간 복잡도는 O(n^2*2^n)이다.

profile
베이비 게임 개발자

3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11월 14일

안녕하세요
덕분에 유익한 정보 얻어갑니다~
혹시 참고한 자료가 있으실까요?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24년 1월 13일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다만 글 중에 점화식으로 작성하신 부분에서 아래 부분이

dp[i][visited] = min(dp[i][visited], dp[i][visited | (1 << j) + graph[i][j])

다음과 같이 수정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dp[i][visited] = min(dp[i][visited], dp[j][visited | (1 << j) + graph[i][j])
1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