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Server에서 dmchoi 계정 로그인 후 root 계정으로 변경. sudo su - rootmulti-user target을 graphical.target으로 변경한다.init 0 누르고 종료 후 재실행vi test(파일이름 설정) 로 테스트 편집기 접속 후입력
권한을 빌려온다ctrl + x -> yes -> enter -> reboot2번째에 : 루트로 접속하는 것을 막는 것그리고 Ctrl + X -> Y -> Enter -> 다시 reboot2번째 줄 주석처리 후 저장 후 나가기터미널 열었을 때 기본 계정이 root로 됨.
: 특정 파일의 위치를 검색하는 명령어find /etc -name .confetc디렉터리에서 찾겠다, 확장명이 .conf 로 끝나는 이름을 찾겠다,(\*.conf : 뒤에는 무조건 conf로 끝나야 하고 앞은 상관 없다는 뜻)find /home -user finduse
파일 압축 root에 있는 tmp 디렉터리 기존 파일을 다 지우고 /etc/passwd 파일을 복사해온다. 이름을 newpw로 변경
RUID(Real User IDentification) 로그인 당시 ID, 파일을 실행한 사용자 EUID(Effective User IDentification)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동안 부여되는 ID, SetUID가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소유자의 ID로 변한다. 다른
: HDD에 파일들을 어디에 어떻게 저장하고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하는 자료 시스템 구조리눅스에서는 대표적으로 EXT 파일 시스템 사용: 하드 디스크의 용량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df 입력해보면 이러한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
HDD를 만들기 전의 스냅샷으로 돌아간다.2GB, 3GB HDD를 각 하나씩 생성한 후 들어간다.파티션 설정, 파일 시스템 설정하자fdisk /dev/sdc8e로 8e로 만들어진게 생겼다fdisk /dev/sdc도 해준다apt -y install lvm2 하고2\.
현재 리눅스를 사용하고 있는 타입이 gnu이다, 이러한 것들이 내 환경변수이다.: 환경변수 확인 printenv | sort 하면 ABC순으로 정렬하여 보여준다.LL이라는 내가 만든 환경변수가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LL은 내가 그것을 사용하는 것.환경변수 안에
PID : 1636 . 1은 현재 백그라운드에서 1번으로 동작하고 있다는 뜻\+는 현재 얘 작업이 실행 중이란 것을 나타낸다nano에서 아무거나 입력 후 컨트롤 z 눌렀을 때 fg를 누르면 다시 nano로 돌아간다fg : 백그라운드의 작업을 포그라운드로 전환하는 명령
우리에게는 윈도나 맥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리눅스도 이들과 비슷한 운영체제이다.즉, 컴퓨터라는 하드웨어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돌리기 위한 기본 소프트웨어이다.하지만 리눅스는 일반적인 데스크톱뿐 아니라 임베디드, 서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셸이 작동하여 프롬프트($)가 표시되었다.그래픽 기반과 텍스트 기반. 두 가지 로그인 방식.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CLI)GUI란 화면상에 보이는 아이콘, 창, 메뉴 등을 마우스나 터치패드로 클릭하여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는 인터페이
date, echo 명령어를 실행해보고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도 입력해본다.리눅스 내부에서 명령어가 실행되는 과정을 살펴보자.앞서 date, echo 명령어를 실행할 때 내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키보드로 입력한 문자열을 받아들인다.해당 명령어를 찾는다.발견한
잘못된 문자가 입력되었다. 방향키로 움직여도 되겠지만 리눅스 사용시 방향키 사용을 최소화하는 습관을 들여보자.Ctrl + b : 커서를 한 문자 뒤로 이동(backward의 약자)Ctrl + f : 커서를 한 문자 앞으로 이동(forward의 약자)Ctrl + a
윈도나 맥 뿐만 아니라 리눅스도 마찬가지로 정보(데이터), 문서, 이미지, 영상, 프로그램 등이 파일로 보존이 된다. 또한 리눅스에서는 사용자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조차도 파일로 다룬다.하드 디스크, 키보드, 프린터 같은 입출력 장치를 전부 파일로
mkdir 명령어 : 디렉터리 생성
파일을 찾는 명령어로는 find와 locate가 있다. find : 디렉터리 트리에서 파일 찾기
리눅스를 다루다 보면 텍스트 파일을 자주 편집하게 된다.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파일을 편집하거나 스크립트 코드를 수정하는 일이 흔하기 때문이다. 파일은 내용에 따라 텍스트 파일과 바이너리 파일로 나뉜다.텍스트 파일은 이름 그대로 텍스트(문자열)가 적혀진 파일을 말한다.
배시의 설정 방법을 배우고 본인에 맞는 셸 환경을 만들어본다.리눅스에는 명령어에 별칭을 붙일 수 있다.alias 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와 옵션을 별칭으로 설정할 수 있다.명령어가 별칭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 type 명령어를 사용해 여부 확인이 가능하다.설정한 별
리눅스는 머신 한 대에 여러 사용자가 동시 로그인하여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졌다. 그렇기에 감추고 싶은 내 파일을 다른 사용자가 함부로 읽거나, 혹은 다른 사용자의 파일을 실수로 덮어쓰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리눅스에는 접근 권한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리눅스는 프로그램을 여러 개 동시에 돌릴 수 있는 멀티태스킹 기능을 지원한다. 파일을 복사하는 도중 텍스트 파일을 편집할 수도 있다. 셸에서 프로그램 여러 개를 실행하고 정지하는 방법, 멀티태스킹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프로세스란 지금까지 여러 명령어를 사
리눅스는 각 명령어가 가능한 한 작고 간단한 동작만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한 명령어에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기보다는 적은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알기 쉽고 사용하기에도 쉽기 때문이다. 명령어들을 조합하는 두 가지 방법인 리다이렉션과 파이프라인을 알아보자. 표준 입력,
이 장에서는 리눅스의 텍스트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명령어들에 대해 알아본다. wc : 바이트 수, 단어 수, 행 수 세기 순서대로 행 수, 단어 수, 바이트 수, 파일 이름을 의미한다. 그리고 각각을 -l, -w, -c 옵션으로 출력할 수 있다. 행 수를 출력하는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많은 텍스트 파일을 다루게 된다. 이렇게 수많은 텍스트 파일을 다룰 때 중요한 기능이 특정 문자열 패턴을 검색하는 기능이다.문자열을 검색하는 명령어이다.grep \[옵션] <검색 패턴> <파일 이름>grep은 <파일 이름>에서 &
네트워크로 파일을 전송하거나 한동안 사용하지 않을 파일을 어딘가 저장해둘 때 파일을 압축하면 파일 크기가 줄어서 작업 효율도 좋아지고 컴퓨터 자원도 절약이 가능하다.gzip, bzip2, xz 명령어는 파일 하나를 압축하는 명령어이다.압축 풀기는 gunzip, bunz
명령어는 입력을 받아서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한다. 리눅스를 비롯한 유닉스 계열 OS에는 이런 입출력을 통일된 방식으로 다루는 표준 입력, 표준 출력, 표준 에러 출력 이렇게 세 종류의 입출력이 있다. 많은 리눅스 명령어가 표준 입력으로 입력을 받고 표준 출력으로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