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매칭, 검색 알고리즘

Bard·2022년 4월 24일
4

Hard Algorithms

목록 보기
4/5
post-thumbnail

Rabin-Karp Algorithm

라빈 카프 알고리즘은 문자열 매칭 알고리즘이다.

기본적으로 롤링 해시(Rolling Hash)를 사용한다.

롤링 해시란?

H[i]=pM1S[i]+pM2S[i+1]++pS[i+M2]+S[i+M1]H[i] = p^{M-1}S[i] + p^{M-2}S[i+1] + \cdots + pS[i+M-2] + S[i+M-1]

꼴로 만들어지는 해시를 말한다.

예를 들어 "TEXT" 라는 문자열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럼 이 문자열의 해시값은 다음과 같다. ( p=2p = 2 )

T23+E22+S2+T=(848)+(694)+(832)+(841)=1198T * 2^3 + E * 2^2 + S * 2 + T = (84 * 8) + (69 * 4) + (83 * 2) + (84 * 1) = 1198

그럼 이제 실제 알고리즘의 동작과정을 살펴보자.

문자열 "ABCDABCDAB" 에서 "BCD" 를 찾는 문제가 있다고 해보자.

Brute-force 방법과 동작 과정은 거의 유사하다.

Pattern과 Text의 첫 3개 문자열을 비교한다.

이 때, 직접 하나씩 비교하는 것이 아닌 Text에서의 첫 3개 문자열인 "ABC"에 대한 해시값과 패턴"BCD" 의 해시값을 비교한다.

당연히 다르므로 다음 index로 넘어간다.

이 때는 매칭에 성공하게 된다. 이런식으로 모든 문자열 조각과 패턴을 비교한다.

자 그러면 이런 의문이 들 수가 있다.

아니 어차피 이렇게 하면 Brute-force랑 속도가 같은 거 아니야?

어차피 해시값 구하는 데 그 길이만큼 연산이 필요하잖아?

하지만, 앞서 말했듯 이 알고리즘에서는 롤링 해시를 사용한다.

H[0]=A4+B2+C1H[0] = A*4 + B*2 + C*1 의 값을 알고 있다면, O(1)O(1)만에 다음 해시 값 H[1]=B4+C2+D1H[1] = B*4 + C*2 + D*1 를 구할 수 있다.

다음 식으로 보면 이해가 좀 더 빠를 것이다.

H[1]=(H[0]A4)2+DH[1] = (H[0] - A*4) * 2 + D

이는 상수시간에 동작하는 연산이다. 즉 "ABC"에 대한 매칭을 수행하고, 다음 문자열인 "BCD"에 대한 매칭을 수행할 때 상수시간이 동작한다는 의미이다.

이 경우 시간 복잡도는 O(N)O(N)이 된다. (NN은 문자열의 길이)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코드를 보며 극복해보자.

C++ 구현 코드

vector<int> RabinKarp (string &T, string &P) {
    vector<int> results;
    int p_length = P.size();
    int t_length = T.size();
    
    lint p_hash = 0, t_hash = 0, head = 1; // head는 가장 첫 원소에 대한 해시값을 뺄 때 사용한다.
    for(auto &x: P) {					   // 즉, p^(p_length-1)이 된다.
        p_hash = ((p_hash * p) + x) % MOD;
    } // 패턴의 해시값을 먼저 구한다.
    for(int i=0; i<p_length; i++) {
        t_hash = ((t_hash * p) + T[i]) % MOD;
        if(i) head = head * p % MOD;
    } // 가장 첫 해시값 즉, H[0]을 구한다.
    
    for(int i = 0; i <= t_length-p_length; i++) {
        if(p_hash == t_hash) 
            results.emplace_back(i+1);
        
        t_hash -= T[i] * head % MOD;
        t_hash = (t_hash * p + T[i+p_length]) % MOD;
        
        if(t_hash < 0) t_hash += MOD;
    }
    
    return results;
}

KMP(Knuth-Morris-Prett) Algorithm

라빈 카프가 해시값을 통해 하나씩 건너가면서 보는 시간을 단축했다면, KMP는 하나씩 건너가지 않는다.

KMP에서 도입한 개념은 실패 함수 (failure function)이다.

이 실패함수는,

'문자 매칭에 실패했을 때, 얼만큼 건너뛰어야 하는가?'를 알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말로는,

'문자 매칭에 실패하기 직전 상황에서, 접두사 / 접미사가 일치한 최대 길이'라고 풀이된다.

"ABCDABCDABEE" 에서 "ABCDABE" 를 찾는 경우를 살펴보도록 하자.

자 여기서 이제 C와 E가 다르므로 다시 Text의 두 번째 인덱스부터 검색한다? That's no no

"ABCDAB" 까지는 맞은 것이기 때문에 여기 AB로 시작하는 다섯 번째 인덱스부터 비교하면 된다.

심지어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인덱스는 같다는 것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일곱 번째 인덱스부터 비교하면 된다.

그러면 문자열 검색을 O(N+M)O(N+M) 에 할 수 있게 된다! (NN, MM은 각각 TextPattern의 길이)

이게 바로 KMP의 아이디어다.

그리고 ii 인덱스에서 틀렸을 때, pi(i)pi(i) 부터 다시 보면 돼요! 라고 알려주는 것이 바로 실패 함수의 역할인 것이다.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가자.

실패함수는 '문자 매칭에 실패하기 직전 상황에서, 접두사 / 접미사가 일치한 최대 길이' 이다.

"ABCDADE" 를 예로 들면

  • "A" : pi(0)=0pi(0) = 0 (없음)
  • "AB" : pi(1)=0pi(1) = 0 (없음)
  • "ABC" : pi(2)=0pi(2) = 0 (없음)
  • "ABCD" : pi(3)=0pi(3) = 0 (없음)
  • "ABCDA" : pi(4)=1pi(4) = 1 ("A")
  • "ABCDAB" : pi(5)=2pi(5) = 2 ("AB")
  • "ABCDABE" : pi(6)=0pi(6) = 0 (없음)

알고리즘 동작 과정

실패함수 pi 가 구현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한번 구현 과정을 살펴보자.

Text(T, 길이 nn)에서 Pattern(P, 길이 mm)를 찾아보자.

  1. 우선 iT를 훑게 하자. j는 일단 0으로만 두자.
    for(int i=0,j=0; i<n; i++){
  2. 그 다음, 루프 안에서 T[i]P[j] 가 다르다면 같아지거나 j0 이 될 때까지 계속 실패 함수를 이용해서 점프를 한다.
    while(j>0 && T[i] != P[j]) j = pi[j-1];
  3. T[i]P[j] 가 같다면 둘 중 하나다.
    1. 만약 jm-1 즉, 패턴의 끝까지 일치한다면 정답 벡터에 그 위치를 넣는다. 그리고 j는 다시 실패함수를 이용해 움직인다.
      result.push_back(i-M+2);
      j = pi[j];
    2. 아니라면 j를 1 증가시켜서 다음 문자도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vector& kmp(string T, string P) {
	int n = T.size();
    int m = P.size();
    vector<int> result;
    
    for(int i=0,j=0; i<n; i++) {
    	while(j>0 && T[i] != P[j])
        	j = pi[j-1];
        if(T[i] == P[j]) {
        	if(j == m-1) {
            	result.push_back(i-m+2);
                j = pi[j];
            }
        } else {
        	j++;
        }
    }
    
    return result;
}

실패함수 구현 방법

자 이제 남은 건 하나다. 실패함수 pi 는 도대체 어떻게 구현할까?

Naive하게 접근한다면, 접두사의 길이를 증가시키면서 접미사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비교해야 하므로 O(M2)O(M^2) 임을 알 수 있다.

말도 안된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위에 쓴 KMP의 구현을 가져다가 써볼 수 있다

	for(int i=1,j=0; i<n; i++) {
    	while(j>0 && T[i] != P[j])
        	j = pi[j-1];
        if(T[i] == P[j]) {
        	pi[i] = ++j;
        }
    }

굉장히 유사하다!

그럼 한번 pi 배열의 생성과정을 살펴보도록 하자.

pi[0]은 0으로 두고 pi[1]부터 계산하자.

P[1]P[0] 은 다르므로 pi[1] 은 0이 된다.

piindex0123456
value00
Pindex0123456
valueABCDABE
Pindex0123456
valueABCDABE

쭉쭉쭉 다 다르므로 pi[3]까지 0이 저장된다.

piindex0123456
value0000
Pindex0123456
valueABCDABE
Pindex0123456
valueABCDABE

이제 P[4]P[0]은 같으므로 드디어 pi[4] 에 1이 저장된다.

piindex0123456
value00001
Pindex0123456
valueABCDABE
Pindex0123456
valueABCDABE

그다음은 P[5]P[1]을 비교한다. 같으므로 pi[5]에는 2가 저장된다.

piindex0123456
value000012
Pindex0123456
valueABCDABE
Pindex0123456
valueABCDABE

다시 다르므로 j를 옮긴다. 하지만 pi[1]이 0이므로 j가 0으로 된다.

P[6]P[0]이 다르므로 다시 pi[6]도 0으로 저장된다.

piindex0123456
value0000120
Pindex0123456
valueABCDABE
Pindex0123456
valueABCDABE

이렇게 실패함수가 구현된다.

전체 코드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C++ 구현 코드

vector<int>& KMP(string T, string P) {
	int n = T.size();
    int m = P.size();
    vector<int> result;
    
    for(int i=1,j=0; i<n; i++) {
    	while(j>0 && T[i] != P[j])
        	j = pi[j-1];
        if(T[i] == P[j]) {
        	pi[i] = ++j;
        }
    }
    
    for(int i=0,j=0; i<n; i++) {
    	while(j>0 && T[i] != P[j])
        	j = pi[j-1];
        if(T[i] == P[j]) {
        	if(j == m-1) {
            	result.push_back(i-m+2);
                j = pi[j];
            }
        } else {
        	j++;
        }
    }
    
    return result;
}

Boyer-Moore-Horspool Algorithm

사실 이 알고리즘은 알고리즘 문제를 풀기에 적합하지 않다.

최악의 경우 시간복잡도가 O(NM)O(NM) 까지 뛰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부분 알고리즘 문제는 이런 케이스를 포함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경우는 실생활에서 드물고 대부분의 경우 KMP보다 좋은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가장 널리 쓰이는 알고리즘이다.

"TRUSTHARDTOOTHBRUSH" 에서 "TOOTH" 를 검색한다고 해보자.

Bad Match Table

우선 Bad Match Table을 만들어야 한다.

일단 이게 뭔지는 알고리즘 설명에서 보도록 하고 어떻게 만드는지부터 살펴보자.

기본적으로 Bad Match Table은 다음과 같은 식을 반복하여 만들어진다.

value = length - index - 1, (every other characters: length)

T O O T H
0 1 2 3 4

에 대해서 Bad Match Table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생성된다.

  • 'T' (5 - 0 - 1)
LetterTOH*
Value45
  • 'O' (5 - 1 - 1)
LetterTOH*
Value435
  • 'O' (5 - 2 - 1)
LetterTOH*
Value425
  • 'T' (5 - 3 - 1)
LetterTOH*
Value125
  • 'H' 마지막 글자는 그 전에 값이 지정되지 않았다면 문자열의 길이로 저장한다.
LetterTOH*
Value1255

코드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vector<int>& BadMatchTable(string P) {
	vector<int> result(26,P.size()); // 대문자 알파벳만 등장한다고 가정하자.
	for(int i=0; i<P.size()-1; i++) {
    	result[P[i]-'A'] = P.size()-i-1;
    }
    return result;
}

알고리즘 동작 과정

자 그러면 이제 어떻게 탐색을 할 것이냐.

T: T R U S T H A R D T O O T H B R U S H
P: T O O T H

여기에서 P의 가장 마지막 글자와 T의 다섯 번째 글자를 비교한다.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P를 이동시키는데, 이 때, T[4]의 Bad Match Table 값 만큼 점프를 한다.

여기에서는 1이므로 한 칸 이동한다.

T: T R U S T H A R D T O O T H B R U S H
P:   T O O T H

H 끼리 같고, T도 같다. S는 Bad Match Table에서 정의되지 않았으므로 패턴의 길이인 5가 된다.

따라서 이번에는 다섯 칸을 점프한다.

T: T R U S T H A R D T O O T H B R U S H
P:             T O O T H

O는 Bad Match Table에서 2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두 칸 점프한다.

T: T R U S T H A R D T O O T H B R U S H
P:                 T O O T H

다시 T는 Bad Match Table에서 1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한 칸 점프한다.

T: T R U S T H A R D T O O T H B R U S H
P:                   T O O T H

이런식으로 Boyer-Moore-Horspool 알고리즘은 점프를 한번에 어마어마하게 많이 뛴다.

문자열에서 건너뛸 수 있는 만큼은 모두 건너뛴다

구현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을 것이다.

C++ 구현 코드

vector<int>& BadMatchTable(string P) {
	vector<int> result(26,P.size()); // 대문자 알파벳만 등장한다고 가정하자.
	for(int i=0; i<P.size()-1; i++) {
    	result[P[i]-'A'] = P.size()-i-1;
    }
    return result;
}

vector<int>& BoyerMooreHorspool(string T, string P) {
	vector<int> bad_match = BadMatchTable(P);
    
    vector<int> result;
    
    int s = 0;
    int n = T.size(), m = P.size();
    
    while(s <= n-m) {
    	int j = m-1;
        while(j>=0 && P[j] == T[s+j]) j--;
        if(j < 0) {
        	result.push_back(s);
            s += (s+m < n) ? m - bad_match[T[s+m] - 'A'] : 1;
        } else {
        	s += max(1, j - bad_match[T[s+j] - 'A']);
        }
    }
    
}

사실 이 방법은 보이어-무어 알고리즘을 호스풀 교수가 간략하게 바꾼 것이다.

보이어-무어 알고리즘은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GNU grep을 비롯한 여러 곳에 사용되며 문자열 검색 알고리즘 성능 비교의 표준으로 쓰이지만, 비교적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것을 가장 중요한 부분만 남긴 것이 바로 이 알고리즘인 것이다.

profile
Recently broke up with FE engineerin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