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32강 UI 표준 및 지침

DongHo Im·2022년 1월 24일
0

정보처리산업기사

목록 보기
32/86

1. UI 표준 및 지침

UI 표준과 지침을 토대로 기술의 중립성(웹 표준), 보편적 표현 보장성(웹 접근성), 기능의 호환성(웹 호환성)이 고려되었는지 확인한다.

  • UI 표준

    • 전체 시스템에 포함된 모든 UI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내용으로, 화면 구성이나 화면 이동 등이 포함된다.
  • UI 지침

    • UI 요구사항, 구현 시 제약사항 등 UI 개발 과정에서 꼭 지켜야 할 공통의 조건을 의미한다.

2.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WCAG)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은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웹 콘텐츠의 제작방법을 제시한다.

  • KWCAG의 목적은 웹 콘텐츠 저작자, 웹 사이트 설계자 등이 접근성이 보장된 웹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 KWCAG에는 웹 접근성의 준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요구조건과 이를 모두 준수할 경우 얻을 수 있는 기대 효과가 제시되어 있다.

네비게이션 : 사용자가 사이트에서 원하는 정보를 바르게 찾도록 도와주는 장치


3. 전자정부 웹 표준 준수 지침

전자정부 웹 표준 준수 지침은 정부기관의 홈페이지 구축 시 반영해야 할 최소한의 규약을 정리한 것으로, 모든 사람이 시스템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정부기관의 홈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이를 준수할 경우 기대 효과가 제시되어 있다.

  • 전자정부 웹 표준 지침 사항

    • 내용의 문법 준수

      • 모든 웹 문서는 적절한 문서 타입을 명시
      • 명시한 문서타입에 맞는 문법 준수
      • 모든 페이지는 사용할 인코딩 방식을 표기
        • 인코딩은 문자들의 집합을 컴퓨터에 저장하거나 통신에 사용할 목적으로 분호화하는 방법
    • 내용과 표현의 분리

      • 논리적인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여 웹 문서를 구조화해야 함
      • 사용된 스타일 언어는 표준적인 문법을 준수
    • 동작의 기술 중립성 보장

      • 스크립트의 비표준 문법을 확장하는 것은 배제
      • 스크립트 비사용자를 위해 대체 텍스트나 정보를 제공
    • 플러그인의 호환성

      • 플러그인은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 호환되는 것을 사용
    • 콘텐츠의 보편적 표현

      • 메뉴는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접근할 수 있어야 함
      • 웹 사이트를 다양한 인터페이스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함
    • 운영체제에 독립적인 콘텐츠 제공

      • 제공되는 미디어는 운영체제에 종속적이지 않은 범용적인 포맷을 사용해야 함
    • 부가 기능의 호환성 확보

      • 실명인증, 전자인증 등의 부가 기능은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함
    •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 정보를 열람하는 기능은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함
      • 별도의 다운로드가 필요한 프로그램은 윈도우, 리눅스, 맥킨토시 중 2개 이상의 운영체제를 지원해야 함
profile
[DATABASE] 비전공자 출신의 개발 도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