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LF란

김동한·2024년 7월 18일
0

CS

목록 보기
5/13
post-thumbnail

옛날 타자기로 글을 쓸 땐, 줄을 바꿔가며 타이핑을 했어야한다. 우리가 컴퓨터를 쓰며 당연시 여기는 줄바뀜에는 사실 2가지 동작이 포함되어있다.

Carriage Return(CR) (\r)

키보드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 Home키 한번 쯤 본 적 있을 것이다. 글을 쓰다가 Home키를 누르게 되면 누를 때의 라인 제일 앞으로 커서가 이동한다. 타자기로 글을 작성할때 움직이는 부분을 앞으로 당기는데 그것과 같은 원리이다.

Line Feed(LF) (\n)

키보드에서 ↓방향키를 누르는거랑 같은 효과이다. 줄만 바꾸는 것과 동일하다.

CRLF

CR+LF로 이 개행문자는, 우리가 흔히 아는 enter키이다. 엔터키를 누르게 되면 다음 줄의 맨 처음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운영체제별로 줄 바꿈 문자가 다르다. Windows 운영체제는 CRLF (\r\n)이고, UNIX와 Mac OS 계열은 LF(\n)을 채택하여 사용한다.

Reference

https://brunch.co.kr/@hongjyoun/97

profile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