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VUE, 크래머-라오 하한

STATS·2023년 8월 14일
0

수리통계학

목록 보기
38/40

MVUE

최소분산비편향추정량(MVUE)는 비편향추정량 중에서 분산이 가장 작은 추정량을 의미한다.

추정량의 모수와의 평균적인 거리를 나타내는 지표인 MSE는 다음과 같이 편향과 분산으로 분리 가능하다.

MSE=Var(θ^)+(bias)2MSE = Var(\hat{\theta})+(bias)^2

그런데 비편향추정량인 경우 bias는 0이 되므로 MSE는 추정량의 분산이 된다.
따라서 분산을 최소화하는 추정량을 찾으면, 추정량의 실현값들이 모수 근처에서 정밀하게 추출된다. 이 것이 MVUE를 찾으려는 이유이다.

MVUE
1. E(T(X))=θE(T^*(X)) = \theta
2. θ\theta에 대한 임의의 비편향추정량 T(X)T(X)에 대해 Var(T(X))Var(T(X))Var(T^*(X)) \le Var(T(X))

1.과 2.를 만족하는 θ\theta의 비편향추정량 T(X)T^*(X)가 존재하면 T(X)T^*(X)θ\theta의 MVUE다.

크래머-라오 하한

MVUE를 탐색하는 첫번째 방법은 크래머-라오 하한을 이용하는 것이다. 크래머-라오 하한은 비편향추정량의 분산이 가질 수 있는 하한값을 제시한다. 따라서 만약 비편향추정량의 분산이 하한값과 동일하다면 해당 추정량은 MVUE가 된다.

정칙조건

크래머-라오 하한을 도출할 때 가정하는 확률함수에 대한 몇가지 조건이 있다.

  1. θθf(x;θ)f(x;θ)\theta \neq \theta' \Rightarrow f(x;\theta) \neq f(x;\theta')
  2. ff는 모든 θΩ\theta \in \Omega에 대해 동일한 서포트 A={xf(x;θ)>0}A= \{x|f(x;\theta) > 0\}를 가진다.
  3. 모든 xA,θ<Ωx \in A, \theta < \Omega에 대해 logf(x;θ)logf(x;\theta)는 두번 미분 가능하고, 도함수가 연속이다.
  4. T(X)T(X)가 모든 θΩ\theta \in \Omega에 대해 E(T(X))<E(T(X)) < \infin이면, 다음을 만족한다.
θT(x1,...,xn)i=1nf(xi;θ)dx1dxn=T(x1,...,xn)[θi=1nf(xi;θ)]dx1dxn\frac{\partial}{\partial \theta}\int_{-\infin}^{\infin} \cdots \int_{-\infin}^{\infin} T(x_1, ..., x_n) \prod_{i=1}^n f(x_i;\theta)dx_1 \cdots dx_n \\ = \int_{-\infin}^{\infin} \cdots \int_{-\infin}^{\infin} T(x_1, ..., x_n) \left[\frac{\partial}{\partial \theta}\prod_{i=1}^n f(x_i;\theta)\right]dx_1 \cdots dx_n

다음은 크래머-라오 하한의 결과의 증명이다.

모든 θΩ\theta \in \Omega에 대해 Var(T(X))<,E(T(X))=g(θ),0<I(θ)<Var(T(X)) < \infin, E(T(X)) = g(\theta), 0 < I(\theta) < \infin이면, g(θ)g(\theta)는 미분가능하고

Var(T(X))g(θ)2nI(θ)Var(T(X)) \ge \frac{g'(\theta)^2}{nI(\theta)}

를 만족한다.

증명)






크래머-라오 하한을 이용한 MVUE 탐색의 한계점

  1. 추정량의 분산이 꼭 크래머-라오 하한이 아니어도 MVUE가 될 수 있다. 크래머-라오 하한은 추정량의 분산의 하한을 제공할 뿐, 최소값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2. 정칙조건이 위반되는 겨우 크래머-라오 하한보다 더 작은 분산을 가지는 비편향추정량도 존재할 수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