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비성 공리

STATS·2023년 7월 21일
0

해석개론

목록 보기
4/4

상계, 하계

공집합이 아닌 실수의 부분집합 AA에 대해

sR s.t aA,as\exist s \in \R \ s.t \ \forall a \in A, a \le s

를 만족하는 실수 ssAA상계(Upper bound)라고 한다. 이 때 A는 위로 유계라고 한다.

lR s.t aA,la\exist l \in \R \ s.t \ \forall a \in A, l \le a

를 만족하는 실수 llAA하계(Upper bound)라고 한다. 이 때 A는 아래로 유계라고 한다.

상한, 하한

공집합이 아닌 실수의 부분집합 AA에 대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실수 MM이 존재한다면, M을 AA상한(Supremum)이라고 한다.

I) M은 A의 상계II) A의 임의의 상계 b에 대해 Mb를 만족\text{I) M은 A의 상계} \\ \text{II) A의 임의의 상계 b에 대해 }M \le b\text{를 만족}

반대로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실수 mm이 존재한다면, m을 AA하한(Infimum)이라고 한다.

I) m은 A의 하계II) A의 임의의 하계 c에 대해 cm을 만족\text{I) m은 A의 하계} \\ \text{II) A의 임의의 하계 c에 대해 } c \le m\text{을 만족}

만약 상한 M이 존재하고, MAM \in A이면 MMAA의 최대값이라고 한다.
반대로 하한 m이 존재하고 mAm \in A이면 mmAA의 최소값이라고 한다,

실수의 완비성 공리

실수의 완비성 공리는 유리수와 실수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실수의 특징을 담고 있다.
공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공집합이 아닌 실수의 부분집합 A가 위로 유계이면 A는 상한을 가진다.\text{공집합이 아닌 실수의 부분집합 A가 위로 유계이면 A는 상한을 가진다.}

AA의 상계가 하나 이상 존재한다면, 상계 중 가장 작은 값도 반드시 존재한다는 공리다.

상한의 필요충분조건

sR이 AR의 상계일 때,s=supAϵ>0,aA s.t sϵ<aProof)()s=supAsϵ<ssϵ is not supremumaA s.t sϵ<a()ϵ>0,aA s.t sϵ<ab=sϵ can’t be supremum of A for every ϵfor every supremum of b, sbs = supAs \in \R이 \ A \subset \R의 \ 상계일 \ 때,\\ s = supA \equiv \forall \epsilon > 0,\exist a \in A \ s.t\ s-\epsilon < a \\ {} \\ Proof) (\Rightarrow)\\ s=supA \Rightarrow s-\epsilon < s \Rightarrow s-\epsilon \text{ is not supremum} \Rightarrow \exist a \in A \ s.t \ s-\epsilon < a \\ {} \\ (\Leftarrow) \\ \forall \epsilon > 0,\exist a \in A \ s.t\ s-\epsilon < a \Rightarrow b = s-\epsilon \text{ can't be supremum of A for every }\epsilon \\ \Rightarrow \text{for every supremum of b, } s \le b \Rightarrow \text{s = supA}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