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계, 하계
공집합이 아닌 실수의 부분집합 A에 대해
∃s∈R s.t ∀a∈A,a≤s
를 만족하는 실수 s를 A의 상계(Upper bound)라고 한다. 이 때 A는 위로 유계라고 한다.
∃l∈R s.t ∀a∈A,l≤a
를 만족하는 실수 l를 A의 하계(Upper bound)라고 한다. 이 때 A는 아래로 유계라고 한다.
상한, 하한
공집합이 아닌 실수의 부분집합 A에 대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실수 M이 존재한다면, M을 A의 상한(Supremum)이라고 한다.
I) M은 A의 상계II) A의 임의의 상계 b에 대해 M≤b를 만족
반대로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실수 m이 존재한다면, m을 A의 하한(Infimum)이라고 한다.
I) m은 A의 하계II) A의 임의의 하계 c에 대해 c≤m을 만족
만약 상한 M이 존재하고, M∈A이면 M을 A의 최대값이라고 한다.
반대로 하한 m이 존재하고 m∈A이면 m을 A의 최소값이라고 한다,
실수의 완비성 공리
실수의 완비성 공리는 유리수와 실수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실수의 특징을 담고 있다.
공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공집합이 아닌 실수의 부분집합 A가 위로 유계이면 A는 상한을 가진다.
즉 A의 상계가 하나 이상 존재한다면, 상계 중 가장 작은 값도 반드시 존재한다는 공리다.
상한의 필요충분조건
s∈R이 A⊂R의 상계일 때,s=supA≡∀ϵ>0,∃a∈A s.t s−ϵ<aProof)(⇒)s=supA⇒s−ϵ<s⇒s−ϵ is not supremum⇒∃a∈A s.t s−ϵ<a(⇐)∀ϵ>0,∃a∈A s.t s−ϵ<a⇒b=s−ϵ can’t be supremum of A for every ϵ⇒for every supremum of b, s≤b⇒s = su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