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률추정법

STATS·2023년 8월 11일
0

수리통계학

목록 보기
35/40

적률추정법

모수벡터가 θ=(θ1,...,θk)\theta = (\theta_1, ..., \theta_k)인 확률분포에서 랜덤 표본 X1,...,XnX_1, ..., X_n을 추출한다고 하자.

확률분포의 rr차 모적률은 E(Xr)E(X^r)이다. 만약 MGF가 존재할 경우 E(Xr)=drdtrMX(t)t=0E(X^r) = \frac{d^r}{dt^r}M_X(t)|_{t=0}이다.
표본 X1,...,XnX_1, ..., X_n에 대한 rr차 표본적률은 mr=i=1nXirnm_r = \frac{\sum_{i=1}^n X_i^r}{n}이다.

적률추정법의 중심 원리는 약한 대수의 법칙이다. 왜냐하면 mrm_rXirX_i^r의 표본평균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mrm_rE(Xr)E(X^r)으로 확률 수렴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θ=(θ1,θ2)\theta = (\theta_1, \theta_2)라고 하자. 분포의 모수가 두개이므로 1차 표본 적률과 2차 표본 적률을 모수에 관한 식으로 만들어 연립방정식을 θ1,θ2\theta_1, \theta_2에 대해 풀 수 있다.

m1=i=1nXin=f1(θ1,θ2),m2=i=1nXi2n=f2(θ1,θ2)m_1 = \frac{\sum_{i=1}^n X_i}{n} = f_1(\theta_1, \theta_2), \\ m_2 = \frac{\sum_{i=1}^n X_i^2}{n} = f_2(\theta_1, \theta_2)

위 연립방정식을 풀면 해 (θ1^,θ2^)(\hat{\theta_1}, \hat{\theta_2})를 구할 수 있고, 이를 (θ1,θ2)(\theta_1, \theta_2)에 대한 적률추정량이라고 한다.

정규분포의 적률추정량

XN(μ,σ2)X \sim N(\mu, \sigma^2)이라고 하자. 정규분포는 모수가 2개이므로 1차적률과 2차적률을 이용해 적률추정량을 구한다.

E(X)=μE(X) = \mu이고, E(X2)E(X)2=σ2E(X^2)-E(X)^2 = \sigma^2에서 E(X2)=μ2+σ2E(X^2) = \mu^2 + \sigma^2이다.
따라서 연립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세운다.

i=1nXin=μ, i=1nXi2n=μ2+σ2μ^=i=1nXin=Xnˉσ2^=i=1nXi2nμ2^=i=1nXi2nXnˉ2=1n[i=1nnXi2nXn2ˉ]=i=1n(XiXnˉ)2n\frac{\sum_{i=1}^n X_i}{n} = \mu, \ \frac{\sum_{i=1}^n X_i^2}{n} = \mu^2 + \sigma^2 \\{}\\ \Rightarrow \hat{\mu} = \frac{\sum_{i=1}^n X_i}{n} = \bar{X_n} \\ {} \\ \hat{\sigma^2} = \frac{\sum_{i=1}^n X_i^2}{n} - \hat{\mu^2} = \frac{\sum_{i=1}^n X_i^2}{n} - \bar{X_n}^2 = \frac{1}{n}\left[\sum_{i=1}^nn X_i^2 - n\bar{X_n^2}\right] = \frac{\sum_{i=1}^n (X_i - \bar{X_n})^2}{n}

따라서 모수 벡터 (μ,σ2)(\mu, \sigma^2)의 적률추정량은 (i=1nXin,i=1n(XiXnˉ)2n)(\frac{\sum_{i=1}^n X_i}{n}, \frac{\sum_{i=1}^n (X_i - \bar{X_n})^2}{n})이다.

감마분포의 적률추정량

XΓ(α,β)X \sim \Gamma(\alpha, \beta)이라고 하자. 감마분포는 모수가 2개이므로 1차적률과 2차적률을 이용해 적률추정량을 구한다.

E(X)=αβE(X) = \alpha\beta이고, E(X2)E(X)2=αβ2E(X^2)-E(X)^2 = \alpha\beta^2에서 E(X2)=α2β2+αβ2E(X^2) = \alpha^2\beta^2 + \alpha\beta^2이다.
따라서 연립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세운다.

i=1nXin=αβ, i=1nXi2n=α2β2+αβ2i=1nXi2nXnˉ2=αβ2β^=(i=1nXi2n)Xn2ˉXnˉ,α^=Xnˉβ^=Xnˉ2(i=1nXi2n)Xnˉ2=nXnˉ2i=1n(XiXnˉ)2\frac{\sum_{i=1}^n X_i}{n} = \alpha\beta, \ \frac{\sum_{i=1}^n X_i^2}{n} = \alpha^2\beta^2 + \alpha\beta^2 \\{}\\ \Rightarrow \frac{\sum_{i=1}^n X_i^2}{n} - \bar{X_n}^2 = \alpha\beta^2 \Rightarrow \hat{\beta} = \frac{\left(\frac{\sum_{i=1}^n X_i^2}{n}\right)-\bar{X_n^2}}{\bar{X_n}}, \\ {} \\ \hat{\alpha} = \frac{\bar{X_n}}{\hat{\beta}} = \frac{\bar{X_n}^2}{\left(\frac{\sum_{i=1}^n X_i^2}{n}\right)-\bar{X_n}^2} = \frac{n\bar{X_n}^2}{\sum_{i=1}^n (X_i - \bar{X_n})^2}

따라서 모수 벡터 (α,β)(\alpha, \beta)의 적률추정량은 (nXnˉ2i=1n(XiXnˉ)2,(i=1nXi2n)Xn2ˉXnˉ)(\frac{n\bar{X_n}^2}{\sum_{i=1}^n (X_i - \bar{X_n})^2}, \frac{\left(\frac{\sum_{i=1}^n X_i^2}{n}\right)-\bar{X_n^2}}{\bar{X_n}})이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