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제곱 분포, 베타 분포

STATS·2023년 6월 30일
0

수리통계학

목록 보기
16/40

카이제곱 분포

카이제곱 분포는 α=r2 (rN), β=2\alpha = \frac{r}{2} \ (r \in \N), \ \beta = 2인 경우의 감마 분포를 의미한다. 굳이 감마 분포의 특수한 경우에 이름까지 붙이는 이유는 모분산 추정, 독립성 검정 등 다양한 통계적 검정에서 활용되기 때문이다.

Xχ2(r)Gamma(r2,2)fX(x)=1Γ(r2)2r2xr21ex2I(x>0)MX(t)=(12t)r2E(X)=r,Var(X)=2rX \sim \chi^2(r) \equiv Gamma(\frac{r}{2}, 2) \\ {} \\ f_X(x) = \frac{1}{\Gamma(\frac{r}{2})2^{\frac{r}{2}}}x^{\frac{r}{2}-1}e^{-\frac{x}{2}} I(x > 0) \\ {} \\ M_X(t) = (1-2t)^{-\frac{r}{2}} \\ {} \\ E(X) = r, Var(X) = 2r

감마 분포 \rightarrow 카이제곱 분포

XGamma(r2,β) (rN, β>0)X \sim Gamma(\frac{r}{2}, \beta) \ (r \in \N, \ \beta > 0)일 때, Y=2XβY = \frac{2X}{\beta}는 감마 분포의 확률 변수를 양의 상수배한 새로운 확률 변수이므로 YGamma(r2,2)χ2(r)Y \sim Gamma(\frac{r}{2}, 2) \equiv \chi^2(r)이다.

독립인 카이제곱 확률 변수의 합의 분포

Xiχ2(ri)X_i \sim \chi^2(r_i)이고, 확률 변수들이 서로 독립이면, Y=i=1nXiY = \sum_{i=1}^{n} X_i도 카이 제곱 분포를 따른다.

MY(t)=E(eYt)=E(eXit)=i=1nE(eXit)=(12t)(ri)Yχ2(i=1nri)M_Y(t) = E(e^{Yt}) = E(e^{\sum X_i t}) = \prod_{i=1}^n E(e^{X_i t}) \\ = (1-2t)^{-(\sum r_i)} \\ {} \\ \Rightarrow Y \sim \chi^2(\sum_{i=1}^nr_i)

베타 분포

감마 분포는 확률 변수가 서포트가 양의 실수 전체였다. 감마 분포와 비슷한 분포로 베타 분포가 있다. 베타 분포의 서포트는 (0,1)(0, 1)인데, 이는 실수의 부분집합을 서포트로 가지는 확률 변수의 분포를 사용할 때 유용하다.

예를 들어 XX의 서포트가 (a,b) (<a<b<)(a, b) \ (-\infin < a < b < \infin)이면, Y=XabaY = \frac{X - a}{b - a}라는 min-max 정규화를 통해 서포트를 (0, 1)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베타 분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Xβ(α,β) (α,β>0)fX(x)=Γ(α+β)Γ(α)Γ(β)xα1(1x)β1I(0<x<1)E(X)=αα+β, Var(X)=αβ(α+β)2(α+β+1)X \sim \beta(\alpha, \beta) \ (\alpha, \beta > 0)\\ {} \\ f_X(x) = \frac{\Gamma(\alpha + \beta)}{\Gamma(\alpha)\Gamma(\beta)}x^{\alpha - 1}(1-x)^{\beta - 1}I(0 < x < 1) \\ {} \\ E(X) = \frac{\alpha}{\alpha + \beta}, \ Var(X) = \frac{\alpha \beta}{(\alpha + \beta)^2(\alpha + \beta + 1)}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