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시작하며 중요한 업무 중에 하나는 프로젝트 세팅이다.

세팅을 제대로 안 하고 들어간 프로젝트가 중간에 문제가 생기면 복구하는데 너무 많은 리소스가 필요하기 때문인데, 오늘 잡아간 최종 팀 프로젝트 세팅과 트러블슈팅에 대한 기록을 남긴다.

Unity editor ver.

유니티 에디터 버전은 프로젝트가 제작될 환경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우 최신 버전을 무조건 쓰기 보다는 적절한 시점의 LTS 버전을 쓴다고 한다.

이번 부트캠프 기간 동안에는 모든 수강생들에게 Unity (2022.3.17f1)을 쓰라는 지침이 있었기 때문에 이 부분은 크게 고민없이 선택했다.

다른 버전과의 어떤 차이점이 있는 지 아직은 잘 모른다.

IDE

통합 개발 환경 IDE의 경우 팀원 모두 Visual Studio 2022를 쓰고 있어서 역시 통일 시키는 데 문제 없었다.

다만 Visual Studio의 경우 C#인코딩을 한국어 - 코드 페이지 949로 하는 경우가 있어서 유니티 내부라던가 Visual Studio가 아닌 다른 툴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한글 주석이 깨지는 문제가 있다고 한다.

이 부분은 나중에 고치려고 하면 스크립트들을 다시 인코딩해서 일일이 저장해줘야 하기 때문에 초기에 간단하게 설정을 잡고갈 필요가 있다고 해서 그 부분의 작업이 약간 있었다.

인코딩 세팅

도구 - 옵션 - 텍스트 편집기 - C# - 코드스타일에 들어가면
<설정에서 .editorconfig 파일 생성> 이라는 버튼이 있다.

버튼을 눌러 파일을 프로젝트 내부에 생성해주고 편집기로 열어준 후

[*]
charset = utf-8

아래에 이 두 줄을 추가해주면 된다.

앞으로 생성하는 cs파일들은 utf-8로만 저장되게 세팅하는 것이다.

gitignore

깃 이그노어는 깃에 올라갈 파일에서 제외 항목을 정하는 중요한 세팅값이다. 대용량 애셋이나 유료 애셋들을 깃에 올리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팀원들끼리만 공유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잡아줘야 하는 세팅인데, 기본 값으로 Unity만 잡아줬다.

원칙적으로는 깃 공개 상태가 private이라 하더라도 유료 애셋들이 올라가서는 안된다고 한다.


위 이미지처럼 폴더 경로를 추가로 기입하던가 특정 확장자 명 등을 기입해서 gitignore를 설정해줄 수 있다.

트러블슈팅

어제 하루종일 회의를 한 끝에 기획 틀이 어느정도 잡혔기 때문에 오늘부터 간단히 프로젝트 세팅과 스크립팅을 해보려고 준비중이었다.

팀원 중 한 분이 어제 나온 기획안으로 약간 작업을 하신 게 있다고 하셔서 그 분의 작업물을 깃에 올려서 초기 세팅을 잡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했는데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클론을 받아서 스크립트 파일을 열었는데 프로젝트와 리포지토리 연결이 안되서 탐색기가 작동을 안 하는 것이었다.

이 탐색기가 존재하질 않았다.

재부팅도 해보고 프로젝트 클론도 지웠다가 다시 받아봤지만 해결이 안되자 혼자 해결 할 수 없을 것 같아 튜터님을 찾아갔다.

튜터님과 간단히 상담한 결과 나만의 문제인지 팀 전체의 문제인지 파악을 해달라 하셔서 팀원들과 상황을 공유하니 놀랍게도 모두가 같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심지어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깃에 올리신 분도 언제부턴 이렇게 된 건지 확인이 불가능했다.

어제 작업하실 때는 문제 없으셨다고 하니 오늘 깃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무언가 문제가 생겼다는 게 분명해 보였다.

다시 튜터님께 찾아가서 상담을 해보니, 원인을 찾기에는 본인께서도 처음 보는 문제라 시간이 좀 걸릴 듯 하니 새로 깃을 파는 선택지도 있다고 하셨다.

팀원분들의 의견도 아직 제대로 프로젝트에 들어가기 전이라 크게 부담이 없었는데, 어제 작업물 만드셨던 분 께서도 그게 좋겠다고 동의해주셔서 새로 프로젝트를 만들고 깃을 파기로 결론을 내렸다.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이런 문제가 프로젝트 초기에 발생해서 오히려 다행이라는 안도감도 함께 들었다. 만약 프로젝트 중간에 깃과 관련된 문제가 생긴다면 그에 투자해야 할 리소스가 너무 아까웠을 것이다.

항상 프로젝트에 들어가기에 앞서 오늘 했던 것 이상으로 배우는 것들을 새로이 적용해서 최대한 리스크를 피하는 방향을 잡고 프로젝트에 들어가야겠다.

profile
스터디 로그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