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 BI 기초

dumbbelldore·2024년 12월 7일
0

zero-base 33기

목록 보기
36/97

1. Power BI

  • Microsoft社에서 제공하는 BI Tool로, Tableau와 함께 가장 많이 활용되는 SW
  • Excel과의 호환성이 뛰어나며 전용 DAX식을 통해 정교한 분석작업이 가능함
  • Power BI Desktop은 현재 Windows 운영체제만 지원

2. Power BI 화면 구성

  • 데이터 가져오기: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음
  • 보기 전환: 보고서, 테이블, 모델, DAX 쿼리 간 보기화면을 전환할 수 있음
  • 시각화: 각종 시각화 기법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음
  • 데이터 상세: 현재 연결된 데이터의 세부 정보를 나타냄

3. 주요 기능

  • 열 추가

    • 예제의 열: 특정 컬럼을 지정하고 대표로 예시 값을 일부 입력하면, 나머지 값은 자동으로 채워줌으로써 열을 생성하는 기능
    • 조건 열: 특정 컬럼에 대해 IF, ELIF, ELSE와 같은 조건을 구성하여 열을 생성하는 기능
  • 열 병합 및 분할

    • 열 병합: 두 개 이상의 컬럼을 선택하여 특정 문자 또는 기호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기능

    • 열 분할: 특정 컬럼을 선택하여 특정 문자 또는 기호로 열을 분리하는 기능

  • 텍스트 다루기

    • 서식: 텍스트 데이터 컬럼에 대해 소문자 변환, 대문자 변환, 각 단어의 첫글자 대문자 변환, 공백 제거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
    • 추출: 텍스트 데이터 컬럼에 대해 길이, 첫 문자, 마지막 문자, 구분 기호 앞/뒤 텍스트 등을 추출할 수 있음
  • 숫자 다루기
    • 통계: 숫자 데이터 컬럼에 대해 합계, 평균, 최소값, 최대값, 중앙값 등의 통계 수치를 계산할 수 있음
    • 표준: 숫자 데이터 컬럼에 대한 사칙연산, 나머지 및 백분율 계산 등을 수행할 수 있음
    • 지수: 숫자 데이터 컬럼에 대해 절댓값, 거듭제곱, 제곱근, 지수, 로그 등의 계산을 수행할 수 있음

4. 시각화 기법

  • 데이터셋: HR-Employee-Attrition.csv
  • 배경 설명
    • 직원의 이직(Attrition)은 HR 담당자가 처리해야 하는 복잡한 과제 중 하나이다.
    • 직원별 정보가 담긴 데이터를 분석하여, HR 부서가 조직을 원활하고 수익성 있게 운영하기 위한 적절한 인사이트를 전달한다.

4-1. 막대 그래프

  • EmployeeNumber 변수를 정수형이 아닌 텍스트형으로 변환하기
  • 시각화 탭에서 '꺽은선형 및 묶은 세로 막대형 차트' 클릭하기
  • X축에 JobLevel, Y축에 EmployeeNumber 컬럼 끌어다 놓기
  • Y축을 더블 클릭하여 이름을 'Employee'로 바꾸기
  • '시각적 객체 설정' 탭에서 데이터 레이블 활성화하기
  • 제목을 'Employee Count by JobLevel'으로 변경한 다음 제목 구분선 추가하기

4-2. 막대-꺽은선 그래프

  • '4-2. 막대 그래프'의 선Y축에 EmployeeNumber 컬럼 끌어다 놓기
  • 선Y축을 더블 클릭하여 이름을 'Count'로 변경하기
  • Y축을 우클릭하여 '다음으로 값 표시'-'총합계의 백분율' 설정하기
  • Y축을 더블 클릭하여 이름을 '%'로 변경하기
  • Y축의 레이블의 배경색과 글자색을 바꿔 구분되게 하고, 소숫점 자리 수를 0으로 변경하기
  • 선의 너비를 2로 낮추고, 색을 주황색으로 변경하기

4-3. 누적 막대 그래프

  • 시각화 탭에서 '누적 세로 막대형 차트' 클릭하기
  • X축에 Department, Y축에 EmployeeNumber 컬럼 끌어다 놓기
  • 범례에 JobLevel 컬럼 끌어다 놓기
  • Y축을 우클릭하여 '다음으로 값 표시'-'총합계의 백분율' 설정하기
  • '시각적 개체 설정' 탭에서 데이터 레이블, 합계 레이블 추가하기
  • 데이터 레이블의 소수점 자리 수를 0으로 변경하기
  • 제목을 'Employee by Dept. & Job Level'으로 변경하기

4-4. 파이 차트

  • 시각화 탭에서 '원형 차트' 클릭하기
  • 값에 EmployeeNumber, 범례에 Attrition 컬럼 끌어다 놓기
  • 범례에 Gender 컬럼 추가로 끌어다 놓기
  • 제목을 'Attrition Status'로 변경하기
  • 차트 우측 상단 '계층 구조에서 한 수준 아래로 모두 확장' 버튼 클릭

4-5. 테이블

  • 시각화 탭에서 '테이블' 클릭하기
  • 열에 Department, JobRole, Age 컬럼 끌어다 놓기
  • Age 컬럼 집계 방식을 평균으로 변경하기

4-6. 행렬

  • 시각화 탭에서 '행렬' 클릭하기
  • 행에 Department, 열에 JobLevel, 값에 Age 컬럼 끌어다 놓기
  • Age 컬럼 집계 방식을 평균으로 변경하기

5. 대시보드 구성

  • Power BI의 경우 Tableau와 달리 페이지 자체에 다른 페이지에서 생성한 차트를 복사 붙여넣기 하여 간단히 대시보드를 구현할 수 있음

*이 글은 제로베이스 데이터 취업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profile
데이터 분석, 데이터 사이언스 학습 저장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