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날짜 출력해보기
import datetime
today = datetime.datetime.today()
print(today) # 2024-11-04 10:49:56.428733
my_string = 'Hello Python!'
print(len(my_string)) # 13
print(my_string.find('P')) # 6
my_num = 'I am 7 years old'
print(my_num[5].isdigit()) # True
# 금액 변수 선언부
money_50000 = 50000
money_10000 = 10000
money_5000 = 5000
money_1000 = 1000
money_500 = 500
money_100 = 100
money_10 = 10
# 수량 변수 선언부
qty_50000 = 0
qty_10000 = 0
qty_5000 = 0
qty_1000 = 0
qty_500 = 0
qty_100 = 0
qty_10 = 0
# 입력값 선언부
price = int(input("상품 가격: "))
pay = int(input("지불 금액: "))
# 동작부
# 거스름돈 총액 계산
if pay > price:
change = pay - price
# 50,000원권 계산
if change >= money_50000:
qty_50000 = change // money_50000
change %= money_50000
# 10,000원권 계산
if change >= money_10000:
qty_10000 = change // money_10000
change %= money_10000
# 5,000원권 계산
if change >= money_5000:
qty_5000 = change // money_5000
change %= money_5000
# 1,000원권 계산
if change >= money_1000:
qty_1000 = change // money_1000
change %= money_1000
# 500원 동전 계산
if change >= money_500:
qty_500 = change // money_500
change %= money_500
# 100원 동전 계산
if change >= money_100:
qty_100 = change // money_100
change %= money_100
# 10원 동전 계산
if change >= money_10:
qty_10 = change // money_10
change %= money_10
# 출력부
print("-"*30)
print("50,000원: {}장".format(qty_50000))
print("10,000원: {}장".format(qty_10000))
print("5,000원: {}장".format(qty_5000))
print("1,000원: {}장".format(qty_1000))
print("500원: {}장".format(qty_500))
print("100원: {}장".format(qty_100))
print("10원: {}장".format(qty_10))
print("-"*30)
# 출력예시
# 상품 가격: 54530
# 지불 금액: 60000
# ------------------------------
# 50,000원: 0장
# 10,000원: 0장
# 5,000원: 1장
# 1,000원: 0장
# 500원: 0장
# 100원: 4장
# 10원: 7장
# ------------------------------
# 변수 선언부
_hour = 0
_min = 0
_sec = 0
output = 0
# 입력부
_hour = int(input("시간을 입력하세요: "))
_min = int(input("분을 입력하세요: "))
_sec = int(input("초를 입력하세요: "))
# 동작부
output = (_hour * 60 * 60) + (_min * 60) + _sec
# 출력부
print("초로 환산된 값은 '{:,d}'초 입니다.".format(output))
# 출력예시
# 시간을 입력하세요: 6
# 분을 입력하세요: 48
# 초를 입력하세요: 59
# 초로 환산된 값은 '24,539'초 입니다.
# 변수 선언부
base_temp = 29
# 입력부
altitude = int(input("고도(m)를 입력하세요: "))
# 동작부
output = base_temp - (altitude//60) * 0.8
# 출력부
print("{0:,d} 고도(m)의 온도는 {1:.2f}도 입니다.".format(altitude, output))
# 출력예시
# 고도(m)를 입력하세요: 1800
# 1,800 고도(m)의 온도는 5.00도 입니다.
# 변수 선언부
tot_bread = 197
tot_milk = 152
tot_stdnt = 17
# 동작부
quota_bread = tot_bread // tot_stdnt
remain_bread = tot_bread % tot_stdnt
quota_milk = tot_milk // tot_stdnt
remain_milk = tot_milk % tot_stdnt
# 출력부
print(f"인당 배분 빵: {quota_bread}개")
print(f"인당 배분 우유: {quota_milk}개")
print(f"남는 빵: {remain_bread}개")
print(f"남는 우유: {remain_milk}개")
# 출력예시
# 인당 배분 빵: 11개
# 인당 배분 우유: 8개
# 남는 빵: 10개
# 남는 우유: 16개
# 변수 선언부
idx = 0
day = ['금요일','월요일', '화요일',
'수요일','목요일']
# 동작부
age = int(input("나이를 입력하세요: "))
yr_se = int(input("출생연도 끝자리를 입력하세요(0~9): "))
assert yr_se >= 0 and yr_se <= 9, "올바른 입력이 아닙니다."
# 출력부
if (age <= 19) or (age >= 65):
idx = yr_se % 5
print("{} 접종 가능".format(day[idx]))
else:
print("하반기 일정 확인")
# 출력예시
# 나이를 입력하세요: 13
# 출생연도 끝자리를 입력하세요(0~9): 0
# 금요일 접종 가능
*이 글은 제로베이스 데이터 취업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