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locity = int(input("속도를 입력하세요: "))
if velocity <= 50:
print("안전속도 준수")
else:
print("안전속도 위반")
# 출력예시
# 속도를 입력하세요: 48
# 안전속도 준수
kor_avg = 85
eng_avg = 82
mat_avg = 89
sci_avg = 75
his_avg = 94
base_sum = kor_avg + eng_avg + mat_avg +\
sci_avg + his_avg
base_avg = base_sum / 5
kor_score = int(input("국어 점수를 입력하세요: "))
eng_score = int(input("영어 점수를 입력하세요: "))
mat_score = int(input("수학 점수를 입력하세요: "))
sci_score = int(input("과학 점수를 입력하세요: "))
his_score = int(input("국사 점수를 입력하세요: "))
tot_sum = kor_score + eng_score + mat_score +\
sci_score + his_score
tot_avg = tot_sum / 5
print('-'*60)
print(f"총점: {tot_sum}({tot_sum - base_sum}), 평균: {tot_avg}({tot_avg - base_avg})")
print(f"국어: {kor_score}({kor_score - kor_avg}), 영어: {eng_score}({eng_score - eng_avg}), 수학: {mat_score}({mat_score - mat_avg}), 과학: {sci_score}({sci_score - sci_avg}), 국사: {his_score}({his_score - his_avg})")
print('-'*60)
print("국어 편차:", ('+' if kor_score > kor_avg else '-') * abs(kor_score - kor_avg), f'({kor_score - kor_avg})')
print("영어 편차:", ('+' if eng_score > eng_avg else '-') * abs(eng_score - eng_avg), f'({eng_score - eng_avg})')
print("수학 편차:", ('+' if mat_score > mat_avg else '-') * abs(mat_score - mat_avg), f'({mat_score - mat_avg})')
print("과학 편차:", ('+' if sci_score > sci_avg else '-') * abs(sci_score - sci_avg), f'({sci_score - sci_avg})')
print("국사 편차:", ('+' if his_score > his_avg else '-') * abs(his_score - his_avg), f'({his_score - his_avg})')
print('-'*60)
# 출력예시
# 국어 점수를 입력하세요: 90
# 영어 점수를 입력하세요: 65
# 수학 점수를 입력하세요: 85
# 과학 점수를 입력하세요: 78
# 국사 점수를 입력하세요: 65
# ------------------------------------------------------------
# 총점: 383(-42), 평균: 76.6(-8.400000000000006)
# 국어: 90(5), 영어: 65(-17), 수학: 85(-4), 과학: 78(3), 국사: 65(-29)
# ------------------------------------------------------------
# 국어 편차: +++++ (5)
# 영어 편차: ----------------- (-17)
# 수학 편차: ---- (-4)
# 과학 편차: +++ (3)
# 국사 편차: ----------------------------- (-29)
# ------------------------------------------------------------
import random
candidates = ['가위', '바위', '보']
user_choice = int(input("가위, 바위, 보 선택: 1. 가위, 2. 바위, 3. 보"))
rand_choice = random.randint(1, 3)
print(f"> 사용자: {candidates[user_choice-1]}, 컴퓨터: {candidates[rand_choice-1]}")
if (user_choice == 1 and rand_choice == 3) or \
(user_choice == 2 and rand_choice == 1) or \
(user_choice == 3 and rand_choice == 2):
print("> 결과: 승리")
elif (user_choice == rand_choice):
print("> 결과: 무승부")
else:
print("> 결과: 패배")
# 출력예시
# 가위, 바위, 보 선택: 1. 가위, 2. 바위, 3. 보1
# > 사용자: 가위, 컴퓨터: 가위
# > 결과: 무승부
아래 요금표를 참고하여 업종 선택 후 사용량 입력 시 상수도 요금을 계산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드시오.
| 업종별 | 사용량 | 단가(원) |
|---|---|---|
| 가정용 | - | 540 |
| 대중탕용 | 50이하 | 820 |
| 대중탕용 | 50초과 300이하 | 1,920 |
| 대중탕용 | 300초과 | 2,400 |
| 공업용 | 500이하 | 240 |
| 공업용 | 500초과 | 470 |
business_type = int(input("업종 선택 (1. 가정용, 2. 대중탕용, 3. 공업용): "))
use_amt = int(input("사용량 입력: "))
if business_type == 1:
bill_amt = use_amt * 540
elif business_type == 2:
if use_amt <= 50:
bill_amt = use_amt * 820
elif (use_amt > 50) and (use_amt <= 300):
bill_amt = use_amt * 1920
else:
bill_amt = use_amt * 2400
else:
if use_amt <= 500:
bill_amt = use_amt * 240
else:
bill_amt = use_amt * 470
print("=" * 40)
print("상수도 요금표")
print("-" * 40)
print("> 사용량: {:,d}".format(use_amt))
print("> 청구요금: {:,d}원".format(bill_amt))
print("=" * 40)
# 출력예시
# 업종 선택 (1. 가정용, 2. 대중탕용, 3. 공업용): 3
# 사용량 입력: 520
# ========================================
# 상수도 요금표
# ----------------------------------------
# > 사용량: 520
# > 청구요금: 244,400원
# ========================================
import datetime
dust_measure = int(input("미세먼지 수치 입력: "))
car_type = int(input("차량 종류 입력 (1. 승용차, 2. 영업용차): "))
car_no = int(input("차량 번호 끝 4자리 입력: "))
today_day = datetime.datetime.today().day
print(f"> 오늘은 {today_day}일입니다.")
# 차량 2부제
if (dust_measure > 150) and (car_type == 1):
print("> 차량 2부제를 적용합니다.")
if today_day % 2 == car_no % 2:
print(f"> {car_no} 차량은 운행할 수 없습니다.")
else:
print(f"> {car_no} 차량은 운행할 수 있습니다.")
elif (dust_measure > 150) and (car_type == 2):
print("> 차량 5부제를 적용합니다.")
if today_day % 5 == car_no % 5:
print(f"> {car_no} 차량은 운행할 수 없습니다.")
else:
print(f"> {car_no} 차량은 운행할 수 있습니다.")
else:
print("> 차량 5부제를 적용합니다.")
if today_day % 5 == car_no % 5:
print(f"> {car_no} 차량은 운행할 수 없습니다.")
else:
print(f"> {car_no} 차량은 운행할 수 있습니다.")
# 출력예시
# 미세먼지 수치 입력: 287
# 차량 종류 입력 (1. 승용차, 2. 영업용차): 1
# 차량 번호 끝 4자리 입력: 4531
# > 오늘은 5일입니다.
# > 차량 2부제를 적용합니다.
# > 4531 차량은 운행할 수 없습니다.
import random
try_cnt = 0
answer = random.randint(1, 10)
while True:
try_cnt += 1
guess = int(input("난수를 맞춰보세요: "))
if answer == guess:
print(f"정답입니다! (시도횟수: {try_cnt}회)")
break
else:
if answer > guess:
print("오답입니다. UP!")
else:
print("오답입니다. DOWN!")
# 출력예시
# 난수를 맞춰보세요: 10
# 오답입니다. DOWN!
# 난수를 맞춰보세요: 6
# 오답입니다. DOWN!
# 난수를 맞춰보세요: 2
# 오답입니다. UP!
# 난수를 맞춰보세요: 3
# 오답입니다. UP!
# 난수를 맞춰보세요: 4
# 정답입니다! (시도횟수: 5회)
*이 글은 제로베이스 데이터 취업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