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10 = 19
print("10진수:", digit10) # 19
print("2진수:", bin(digit10)) # 0b10011
print("8진수:", oct(digit10)) # 0o23
print("16진수:", hex(digit10)) # 0x13
digit16 = '0x13'
digit8 = '0o23'
digit2 = '0b10011'
print(f"16진수 -> 10진수: {int(digit16, 16)}") # 19
print(f"8진수 -> 10진수: {int(digit8, 8)}") # 19
print(f"2진수 -> 10진수: {int(digit2, 2)}") # 19
degree = int(input("몇 번째 항까지의 수열을 출력할까요?"))
print(f"{degree}번째 항까지의 수열을 출력합니다.")
val = 2 # 시작값
gap = 3 # 공차
count = 1
while count <= degree:
print(f"{count}번째 항의 값: {val}")
val += gap
count += 1
# 출력결과
# 몇 번째 항까지의 수열을 출력할까요? 7
# 7번째 항까지의 수열을 출력합니다.
# 1번째 항의 값: 2
# 2번째 항의 값: 5
# 3번째 항의 값: 8
# 4번째 항의 값: 11
# 5번째 항의 값: 14
# 6번째 항의 값: 17
# 7번째 항의 값: 20
degree = int(input("몇 번째 항을 출력할까요? "))
print(f"{degree}번째 항까지의 수열을 출력합니다.")
val = 2 # 시작값
gap = 2 # 공비
count = 1
while count <= degree:
print(f"{count}번째 항의 값: {val}")
val *= gap
count += 1
# 출력결과
# 몇 번째 항을 출력할까요? 7
# 7번째 항까지의 수열을 출력합니다.
# 1번째 항의 값: 2
# 2번째 항의 값: 4
# 3번째 항의 값: 8
# 4번째 항의 값: 16
# 5번째 항의 값: 32
# 6번째 항의 값: 64
# 7번째 항의 값: 128
# 등차수열 시그마 공식
# n_sum = n_degree * (start_val + n_val) / 2
# n_val = start_val + (n_degree - 1) * gap
n_degree = 10
start_val = 2
gap = 2
n_val = start_val + (n_degree - 1) * gap
n_sum = n_degree * (start_val + n_val) / 2
print(n_sum) # 110
# 등비수열 시그마 공식
# n_sum = start_val * (1 - (gap ** n_degree)) / (1 - gap)
n_degree = 10
start_val = 2
gap = 2
n_sum = start_val * (1 - (gap ** n_degree)) / (1 - gap)
print(n_sum) # 6560
# 원본 수열 = {3, 7, 13, 21, 31, 43, 57}
# 계차 수열 = {4, 6, 8, 10, 12, 14}
origin_start = 3
origin_degree = 8
diff_start = 4
diff_gap = 2
for i in range(origin_degree):
if i == 0:
print(f"{i+1}번째 수열의 값: {origin_start}")
else:
origin_start += diff_start
print(f"{i+1}번째 수열의 값: {origin_start}")
diff_start += diff_gap
# 출력결과
# 1번째 수열의 값: 3
# 2번째 수열의 값: 7
# 3번째 수열의 값: 13
# 4번째 수열의 값: 21
# 5번째 수열의 값: 31
# 6번째 수열의 값: 43
# 7번째 수열의 값: 57
# 8번째 수열의 값: 73
first_num = 1
second_num = 1
curr_num = 0
for i in range(10):
if i == 0:
curr_num = first_num
print(f"{i+1}번째 수열: {curr_num}")
elif i == 1:
curr_num = second_num
print(f"{i+1}번째 수열: {curr_num}")
else:
curr_num = first_num + second_num
print(f"{i+1}번째 수열: {curr_num}")
first_num = second_num
second_num = curr_num
# 출력결과
# 1번째 수열: 1
# 2번째 수열: 1
# 3번째 수열: 2
# 4번째 수열: 3
# 5번째 수열: 5
# 6번째 수열: 8
# 7번째 수열: 13
# 8번째 수열: 21
# 9번째 수열: 34
# 10번째 수열: 55
*이 글은 제로베이스 데이터 취업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