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연결... 정말 여기에 2일 정도 쓴거같다..
RDS를 사용하지 않고 인스턴스에 mySQL 깔아서 사용하고싶었는데.. 일단 용량도 부족했고, 데이터가 저장은 되는데 Get이 안되는 이슈가 있었다. 해결하고싶었으나.. 프로젝트 마감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고, pre 프로젝트 기간에 저장하는 데이테 용량이 얼마나 많겠나 싶어 바로 RDS연결을 시도했는데.. 한번에 성공해버렸다...
안쓰겠다고 끙끙댔는데 막상 한방에 성공해서 기술의 발전과 돈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은 참 달콤하다는 생각을 했다,,,
2. 프로퍼티 설정
- 데이터베이스 설정 전까지 h2를 사용하고 있었고, 이렇게 로컬과 서버 설정이 달라서 빌드 시에 쉽게 구분해 적용하기 위해 프로퍼티 설정을 해줬다.
- server.yml에서 db 인스턴스와 연결할 때 필요하고, 보안이 필요한 내용들 (깃헙에 올라가면 안되는)을 환경변수 처리해서 저장해줬다.
EC2 환경변수 설정
- config.domain 에 AWS S3 Endpoint 주소도 잊지말고 추가해주자!!!
3. Full Stack Application 배포 완료 확인
- 여태까지의 설정들을 다 제대로 해줘서 EC2, S3, RDS 연결까지 모두 완료되었다면 이제 확인을 해줘야한다.
서버를 키고 (데이터베이스 연결해줘야함), S3 버킷의 앤드포인트 주소에 접속하면 배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아직 구현 중이지만 중간 배포해서 확인한 부분이다!
- 팀원분 이름이 노출되어 가렸다!
이렇게 정리를하고보니 꽤 쉬운 작업처럼 보인다.
하지만 요 며칠을 에러로그를 보며 왜 안되는거지....를 시전했기때문에 쉬워보이는거라고 생각하고 싶다.
서버 배포하고 프로젝트 빌드 관리하는게 생각보다 너무 재미있었다. 재미는..어려움과 늘 함께인걸까..
이해한것은 한개 돈쓰면 엥간한것은 해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