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배운것을 바탕으로 프론트분들과 협업해서 Stackoverflow 클론 코딩을 목표로하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8/23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네트워크 학습을하며 코드스테이츠에서 준 IAM 계정으로 이것저것 따라서 만져보긴했지만.. 솔직히 처음엔 이게 뭐하는건지 이해도 안되고 어떤 동작을 하는지 몰라서 기억에 거의 안남았다. 그래서 정말 많은 블로그 글을 보면서 AWS에 서버를 어떻게 공짜로 구축할 수 있는지
이전 글에서 서버 배포까지 완료했다. 이제 클라이언트 배포를 위한 과정을 정리하려한다. 클라 배포는 S3 버킷을 이용해서 정적 웹사이트를 호스팅했다. 위 블로그 링크를 참고해서 버킷을 생성해줬다. 버킷 정책 설정할 때 계속 오류가 났는데, Amazon Resource
데이터베이스연결... 정말 여기에 2일 정도 쓴거같다.. RDS를 사용하지 않고 인스턴스에 mySQL 깔아서 사용하고싶었는데.. 일단 용량도 부족했고, 데이터가 저장은 되는데 Get이 안되는 이슈가 있었다. 해결하고싶었으나.. 프로젝트 마감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고
이제 배포환경 구축이 끝났으니! 내가 맡은 다음 작업을 진행해야한다. 내가 맡은 다음 작업은 댓글 CRUD기능 구현이었다. jpa를 배우면서 연관관계매핑하는게 가장 어려웠는데, 이번에 프로젝트를 하며 좀 많이 이해되어서 뿌듯했다. 정말 코딩은 직접 해봐야한다...!댓글
지난 글에서 API계층까지 구현 완료했으니 이제 클라 요청을 처리할 서비스 계층을 구현해야한다!그런데.. 이글을 정말 구현 순서대로 작성하는게 아니라, 구현을 완료하고 구현 및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비스와 데이터 액세스 계층을 구분하기가 모호하다는 생
지난 게시글처럼 구현을 했는데, 프론트와 작업을하며 두가지 문제가 생겼다. 서버 응답이 json으로 안와서 클라에서 syntaxerror: unexpected end of json input 에러가 생겼다. ResponseBody 에 null값이 전달된다. (membe
23.08.22일에 작업을 완료해서 배포 후 테스트까지 모두 완료했다! FE분들이 진짜 stackverflow랑 똑같이 페이지 만들어주셔서 데이터만 보내는데 진짜 그럴듯해보였다. 공부할 때랑 프로젝트 중간까지 포스트맨으로 JSON형식의 응답 데이터만 봐서 좀 이게 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