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css 배워보기

endmoseung·2023년 11월 24일
1
post-thumbnail

이번에 좋은 기회로 지식을 공유하게 돼서 html css에 대해서 글을 작성하려고합니다.
입문을 위한 글이며 추후 더 고도화된 버젼도 작성하려고 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tml 그게 뭔데?

웹은 1990년 hypertext라는 문서를 화면에 보여주기 위해서 등장했습니다. 이 문서를 만들기 위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언어가 만들어졌습니다.
미리 정의된 html 태그들로 문서에 마트업하면 해당 문서를 웹에서 볼 수 있었습니다.

<strong style="padding: 30px; color: red">안녕 내 이름을 소개하지</strong>

위처럼 html에 직접 스타일링을 입력하는 방식을 inline-style이라고 합니다.

inline-style 지양하기

위처럼 inline-style을 사용하는것은 지양되는 패턴인데 전지전능한 chatGPT의 답변으로 설명해보려합니다.

HTML에서 인라인 스타일을 지양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로 권장됩니다:
재사용성: 인라인 스타일은 웹 페이지의 특정 요소에만 적용되므로, 같은 스타일을 여러 요소에 적용하려면 매번 동일한 스타일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 반면 CSS 클래스나 ID를 사용하면, 한 번 정의한 스타일을 여러 요소에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유지보수: 인라인 스타일은 HTML 코드 안에 섞여 있기 때문에, 스타일을 변경하거나 디버깅할 때 찾기 어렵고 수정하기 번거롭습니다. 반면 CSS는 별도의 파일에 작성할 수 있어, 스타일 코드를 구조화하고 관리하기 편리합니다.
특정성: CSS는 특정성(Specificity)이라는 규칙에 따라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인라인 스타일은 특정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다른 CSS 선언을 재정의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하거나, !important 선언을 남발하는 나쁜 습관을 만들 수 있습니다.
성능: 인라인 스타일은 HTML 파일의 크기를 늘리기 때문에, 웹 페이지의 로딩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큰 웹 사이트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누적되어 심각한 성능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이유로 인라인 스타일보다는 외부 CSS 파일이나 style 태그를 사용하여 스타일을 작성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맞습니다. 우리는 개발자이고 내가 작성한 코드를 다른 누군가 보는일이 많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위처럼 inline-style로 작성하게 된다면 작성한 순간에는 기억할 수 있을지 몰라도 3달이 지나거나 혹은 누가 봤을때는 이해하기 힘든 코드가 될것입니다.😭

css가 만들어지다.

HTML에 스타일만 분리해서 반복적인 부분을 일괄적으로 적용해내는 css라는 방법이 만들어집니다.
앞으로 개발자를 하다보면 추상화라는 말을 1만번 이상을 들을 것 같은데 css로 인해 개발자는 적절한 추상화로 개발 경험이 올라갑니다.
웹 페이지의 구조(HTML)와 스타일링(CSS)을 분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웹 개발의 기본 원칙 중 하나인 '관심사의 분리(Separation of Concerns)'를 반영한 것이며,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됩니다.

//index.hmtl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meta />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trong>안녕 내 이름을 소개하지</strong>
    <strong>나는 모승이야</strong>
    <strong>넌 누구니</strong>
  </body>
</html>

//style.css
strong {
  color: red;
  font-size: 30px;
}

css 를 html에서 사용하기위해서는 link태그를 이용하여 내가 만들어둔 css파일을 연결(link)해줍니다.
그리고 해당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vscode extension liveserver를 활용해줍니다.

liveserver를 이용하여 내가 markup한 html파일을 로컬환경에서 띄워서 style.css가 입혀진것을 확인할 수 있다.

로컬 환경이란 ?
개발자의 로컬 환경이란, 개발자가 코드를 작성하고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인 컴퓨터나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 환경은 일반적으로 개발자가 사용하는 운영 체제, 설치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프로그래밍 언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등으로 구성됩니다.

css 중첩

위처럼 간단한 마크업이면 괜찮겠지만 1천줄 이상되는 html코드에 해당 스타일을 입히기 위한 css파일이 존재한다면 어떻게 관리해야할까요?

	<ul>
      <li>나는 리스트야</li>
      <li>나도 리스트야</li>
      <li>나는 조금 특별한 리스트야</li>
    </ul>

이 중에서 모든 li는 특별한 리스트의 폰트 색깔빼고는 모두 같은 스타일링을 적용해야합니다. 이를 위해 css 중첩을 사용합니다. 내가 모두 똑같은 리스트의 스타일링을 정해주고 특별한 리스트에 css를 입혀줍닏.

//index.html
<ul class="lists">
      <li class="imlist">나는 리스트야</li>
      <li class="imlist">나도 리스트야</li>
      <li class="imlist special">나는 조금 특별한 리스트야</li>
    </ul>
    
//style.css

.lists {
  .imlist {
    font-size: 30px;
    color: red;
  }
  .special {
    color: blue;
    font-weight: 800;
  }
}

그런데 눈치 빠른사람이면 알텐데 위의 special과 imlist의 순서를 변경하면 어떻게 될까요 ?
한번 혼자 생각해봐요 잠깐.

Specificity(명시도)

위를 해결하기위해 css 명시도의 개념이 나왔습니다.
명시도를 이용하여 우선순위가 다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는데요.

.imlist.special {
    color: blue;
    font-weight: 800;
  }
  .imlist {
    font-size: 30px;
    color: red;
  }

다음처럼 special한 태그에 우선순위를 높입니다.

이렇게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지만 그래도 왠만하면 코드는 위에서 아래로 작성해주는것이 가독성에 유리하기 때문에 명시도를 높이더라도 코드는 꼭 위에서 아래로 topdown방식으로 작성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제가 공부할때 이 방법으로 css를 입혔는데 이는 매우 좋지 않은 가독성을 보여줍니다. 아래와 같은 스타일링 코드가 한페이지에 500줄 존재합니다 ..

header .contentsbox .contents .gamemode{
    color: var(--gamemodefont-color);
}
header .downloadbox{
    background-color: var(--newanddown-color);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
header .downloadbox .download{
    min-width: 1080px;
    height: 40px;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
    color: black;
    font-size: 15px;
}
header .downloadbox .download a{

    height: 100%;
}
header .designbox{
    background-color: var(--design-color);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

시멘틱

웹이 점점 커지고 코드가 방대해짐에 따라서 시멘틱이라는것이 중요해졌습니다.
시맨틱이란 시각적으로 어떻게 보일지가 아니라 의미에 중점을 두는것입니다. 그리고 시멘틱태그를 잘 지킨 코드는 컨텐츠에 좋은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에 검색결과를 얻는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에서도 유리합니다.
또한 이는 더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우리는 특별한 색깔을 파란색이라고 정의한다고 예를들겠습니다. 하지만 누군가는 다음처럼 파란색이라는 사실 그 자체를 사용하려고합니다.

.special{
color:blue;
}

.blue{
color:blue;
}

똑같은 color 한줄이지만 special이라는 이름은 해당 css가 특별하다는 의미를 코드를 읽는 사람에게 전달해주고 blue라는 이름은 해당 css가 파랗다는 의미를 전달해줍니다.
이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고수준의 언어에서 코드의 흐름을 읽고 재사용성에 유리한것은 선언적(시멘틱한)코드이다.

명령형 vs 선언형 프로그래밍

왜 코드의 흐름을 읽는지 유리하냐면 해당 코드를 읽었을때 special하다는 구현부만 알아도 돼고 어떻게 특별한지는 필요할때 읽으면 된다.

BEM(Block__Element--Modifier 블럭 요소 수정자)

2013년 CSS 이름짓기 컨벤션으로 기존 CSS구조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등장했다.

	<div class="item">
      <div class="item__header"></div>
      <div class="item__body"></div>
      <div class="item__footer"></div>
    </div>

위처럼 간결하고 직관적이어서 배우기 쉬운 구조입니다. 그리고 컨벤션이 단순해서 쉽게 기억할 수 잇습니다.
아래에서 Block이 뭔지 Element가 뭔지 Modifier가 뭔지 좀 더 자세하기 BEM에 대해서 알 수 있습니다:)

BEM 방식

끝으로

CSS의 입문을 잘 설명하기 위해 쓴 글이지만 CSS 자체가 내용이 너무나 방대하기 때문에 후에 더 글을 다루려고 합니다.
그리고 CSS 역사로 알아보는 CSS가 어려워진 이유를 꼭 읽어보는것을 추천합니다.
내용이 조금 길긴하지만 어떻게 css가 등장했고 현대프론트엔드 개발에서 css를 사용하는 방법까지 알려주기에 정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Walk with m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