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virtualbox를 이용하여 설치(mac)

SeongjooJin·2019년 12월 17일
0

0. 구성

본 포스팅에서는 마스터노드 한 개와 워커노드 두 개로 구성되도록 실습해보려고 합니다.

1. Virtualbox 설치

homebrew를 이용하여서 virtualbox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brew cask install virtualbox
$ brew cask install virtualbox-extension-pack

2. Ubuntu ISO 파일 다운로드

공식홈페이지도 있지만 보통 느린 관계로 부경대에서 제공하는 image를 다운 받도록 하겠습니다.

http://cdimage.ubuntu.com/ubuntu-server/bionic/daily/current/

위의 주소로 접속해서 받으면 됩니다.

3. VM 생성

kubernets_virtualbox1.png

먼저 virtualbox를 실행해줍니다.

위에서 새로 만들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vm을 만드는 화면이 나옵니다.

kubernets_virtualbox2.png

위와 같이 설정해줍니다. 저는 우분투를 사용하려고 위와 같이 설정하였습니다.

kubernets_virtualbox3.png

메모리는 2048MB로 설정해줍니다.

kubernets_virtualbox4.png

나머지는 계속을 눌러서 진행해주시고 물리적 하드드라이브에 저장하는 방식을 동적 할당이 아닌 고정크기로만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크기는 추천하는 10GB로 설정해줍니다.

kubernets_virtualbox5.png

생성되면 위와 같이 VM이 하나 생성되었음을 보실 수 있습니다.
생성된 VM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면 설정을 보실 수 있는데요.
설정으로 들어가서 필요한 몇가지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kubernets_virtualbox6.png

먼저 시스템 - 프로세서에서 cpu갯수를 2개로 늘려줍니다.

kubernets_virtualbox7.png

다음으로 저장소에서 광학 드라이브에서 위에서 다운 받았던 우분투 이미지를 선택해줍니다.

kubernets_virtualbox8.png

마지막으로 네트워크에서 어댑터 1번을 어댑터에 브리지로 선택해줍니다.

4. Ubuntu 설치

대부분 무난하게 설치 가능하실거 같으므로 설치과정을 상세하게 스크린샷으로 남기지는 않았습니다.

지금 설치한 것을 master로 설정할 것이기 때문에 이름만 blabla-master로 해주시면 됩니다.
이름 정하기 어려우시면 k8s-master도 무난해보입니다.

설치완료되고 재부팅 후에는 /etc/network/interfaces를 아래와 같이 수정해줍니다.

auto lo
iface lo inet loopback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92.168.0.10
netmask 255.255.255.0
network 192.168.0.0
broadcast 192.168.0.255
gateway 192.168.0.1

dns-nameservers 1.1.1.1 8.8.8.8

eth0의 경우 ifconfig를 통해서 이름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 후 다르다면 해당 이름으로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ifupdown 패키지를 설치 후 네트워크를 재시작 해주어 위의 설정을 적용해줍니다.

$ sudo apt-get install ifupdown
$ sudo /etc/init.d/networking restart

위와 같이 설정 후에도 ifconifg 명령 실행시 192.168.0.10로 나오지 않는다면 재부팅 해주시면 적용됩니다.

5. Kubernetes & Docker 설치 전 설정

스왑 메모리 비활성화

$ swapoff -a && sed -i '/ swap / s/^/#/' /etc/fstab

6. Docker 설치

# 패키지 관리 도구 업데이트
$ sudo apt update && sudo apt-get update

# docker 설치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
$ sudo apt-get install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software-properties-common -y

# gpg key 내려받기
$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 sudo apt-key add -

# 다운받은 key 확인
$ sudo apt-key fingerprint 0EBFCD88

# 도커 다운로드 링크 추가
$ sudo add-apt-repository "deb [arch=amd64]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 $(lsb_release -cs) stable"

# 패키지 관리 도구 업데이트
$ sudo apt-get update

# docker 설치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
  containerd.io=1.2.10-3 \
  docker-ce=5:19.03.4~3-0~ubuntu-$(lsb_release -cs) \
  docker-ce-cli=5:19.03.4~3-0~ubuntu-$(lsb_release -cs)

# docker 테스트
$ sudo docker run hello-world

Kubernetes가 권장하는 Docker 데몬 드라이버가 systemd이므로 Docker 데몬의 드라이버를 교체합니다.

$ sudo cat > /etc/docker/daemon.json <<EOF
{
  "exec-opts": ["native.cgroupdriver=systemd"],
  "log-driver": "json-file",
  "log-opts": {
    "max-size": "100m"
  },
  "storage-driver": "overlay2"
}
EOF

$ sudo mkdir -p /etc/systemd/system/docker.service.d

$ sudo systemctl daemon-reload
$ sudo systemctl restart docker

7. Kubernetes 설치

먼저 패키지 리스트를 업데이트 합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upgrade

kubeadm, kubelet, kubectl을 설치합니다.

$ curl -s https://packages.cloud.google.com/apt/doc/apt-key.gpg | sudo apt-key add -

$ cat <<EOF | sudo tee /etc/apt/sources.list.d/kubernetes.list
deb https://apt.kubernetes.io/ kubernetes-xenial main
EOF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y kubelet kubeadm kubectl

$ sudo apt-mark hold kubelet kubeadm kubectl

# 설치 완료 확인
$ kubeadm version

$ kubelet --version

$ kubectl version

마지막으로 계획하였던 master 노드와 worker 노도의 호스트 이름과 IP를 모두 등록해줍니다.

$ cat << EOF >> /etc/hosts
192.168.0.10 evanjin-master
192.168.0.11 evanjin-node1
192.168.0.12 evanjin-node2
EOF

8. 워커 노드 VM 생성

위에서 부터 실행한던 VM은 닫아서 전원을 꺼줍니다.

Master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고 복제를 클릭해줍니다.

kubernets_virtualbox9.png

클릭하시면 위와 같이 나오게 창이 나오게 됩니다.
MAC주소 정책을 모든 네트워크 어댑터의 새 MAC 주소 생성으로 선택해주시고 계속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kubernets_virtualbox10.png

복제 방식을 선택하라고 나오게 되는데요 완전한 복제를 해줍니다.

복제된 워커 노드의 ip와 hostname을 변경해줍니다.

먼저 hostname을 변경해줍니다.

hostnamectl set-hostname evanjin-node1

다음으로 ip를 변경하여줍니다.
/etc/network/interfaces에서 address 부분만 192.168.0.11로 변경해줍니다.

재부팅 후 ip와 hostname이 제대로 변경되었는지 아래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해줍니다.

$ hostname

$ ifconfig

워커 노드2도 위와 동일하게 진행하며 hostname은 evanjin-node2로 해주고 address는 192.168.0.12로 해주시면 됩니다.
hostname는 제가 임의로 정한 것이므로 위에서 마스터 노드에서 정한 host들의 이름대로 해주시면 됩니다.

9. master 노드 설정

$ sudo kubeadm init --pod-network-cidr=10.244.0.0/16 --apiserver-advertise-address=192.168.0.10

위의 명령어가 제대로 실행되게 되면 아래와 같이 나오게 됩니다.

Your Kubernetes control-plane has initialized successfully!

To start using your cluster, you need to run the following as a regular user:

  mkdir -p $HOME/.kube
  sudo cp -i /etc/kubernetes/admin.conf $HOME/.kube/config
  sudo chown $(id -u):$(id -g) $HOME/.kube/config

You should now deploy a pod network to the cluster.
Run "kubectl apply -f [podnetwork].yaml" with one of the options listed at: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cluster-administration/addons/

Then you can join any number of worker nodes by running the following on each as root:

kubeadm join 192.168.0.10:6443 --token ix2ak9.nkg5p2smfkdke7hu \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cc1138bbb9a51bfaaf268a217fc55adeb1e49b38f2d0ae449009cd2716047324

kubeadm join부터 나오는 내용은 별도로 따로 복사해서 저장해둡니다.

다음으로 root 계정을 이용해서 kubectl을 실행할 수 있도록 환경변수를 설정해줍니다.

$ mkdir -p $HOME/.kube
$ sudo cp -i /etc/kubernetes/admin.conf $HOME/.kube/config
$ sudo chown $(id -u):$(id -g) $HOME/.kube/config

10. 워커 노드 설정

워커 노드에서는 위에서 kubeadm join부터 나왔던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고 실행해줍니다.

$ sudo kubeadm join 192.168.0.10:6443 --token ix2ak9.nkg5p2smfkdke7hu \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cc1138bbb9a51bfaaf268a217fc55adeb1e49b38f2d0ae449009cd2716047324

워커 노드들에 위의 명령어를 제대로 실행되었다면 마스터 노드에서 아래의 명령을 실행하면 추가된 워커 노드가 보이게됩니다.

$ kubectl get nodes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evanjin-master   NotReady   master   14m   v1.17.0
evanjin-node1    NotReady   <none>   68s   v1.17.0
evanjin-node2    NotReady   <none>   47s   v1.17.0

11. Dashboard 설치

이 파트는 부가적인 부분으로 필요한 분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kubernetes에서는 자체적인 Dashboard를 제공합니다.
kubernetes의 전반적인 상태를 UI로 보기 쉽게 제공합니다.

마스터 노드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해줍니다.

$ sudo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tm/kubetm.github.io/master/sample/practice/appendix/gcp-kubernetes-dashboard.yaml

다음으로 백그라운드에서 Proxy로 Dashboard를 띄우도록 하겠습니다.

$ sudo nohup kubectl proxy --port=8443 --address=192.168.0.10 --accept-hosts='^*$' >/dev/null 2>&1 &
http://192.168.0.10:8443/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https:kubernetes-dashboard:/proxy/.

만약 로그인 페이지에서 skip으로 접속 안 될시에는 아래 명령어로 토큰 확인 후 접근하시면 됩니다.

$ sudo kubectl -n kubernetes-dashboard describe secret $(kubectl -n kubernetes-dashboard get secret | grep admin-user | awk '{print $1}')

kubernets_dashboard_virtualbox.png

대시보드에서 노드가 우리가 설정한대로 master노드 하나와 worker노드 두개가 생성되었음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의 내용은 개인 블로그에도 동일하게 올라갔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rofile
프론트엔드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