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NSD 리뷰] Speaker Diarization with Region Proposal Network

Yechan Yu·2022년 2월 11일
0

소개

  • 이 글은 논문을 읽고 정리하기 위한 글입니다.
  • 내용에 오류가 있는 부분이 있다면 조언 및 지적 언제든 환영입니다!

ICASSP 2020 에 올라온 논문입니다. (Paper, github)


참조


Citation

@misc{huang2020speaker,
      title={Speaker Diarization with Region Proposal Network}, 
      author={Zili Huang and Shinji Watanabe and Yusuke Fujita and Paola Garcia and Yiwen Shao and Daniel Povey and Sanjeev Khudanpur},
      year={2020},
      eprint={2002.06220},
      archivePrefix={arXiv},
      primaryClass={eess.AS}
}

Introduction

Background

  • 기존 Speaker Diarization 은 음원을 일정 길이로 자른 segment 을 화자 인식으로 학습된 네트워크를 통과 시켜 Speaker embedding 을 추출하고 이를 Clustering 하는 Clustering-based Diarization 이 좋은 성능을 보였다.

Limitation

  • Overlap speech
    • 기존 Clustering-based Diarization은 각 segment를 하나의 centroid로 대응시키는 set problem 으로 multi-classification task 가 아니다.
    • 또한, 기존 Speaker embedding extractor 네트워크는 segment에 하나의 화자만이 있는 상황만 가정되어 있다.
    • 이러한 점에서, 이 방법은 하나의 segment가 여러 화자에 대응되는 overlap speech를 다루지 못한다.
  • End-to-End Training
    • 기존 Clustering-based Diarization 은 SAD(Speech Activity Detection), Speaker embedding extractor, clustering module 과 같이 여러 stage를 가지고 있다.
    • 이러한 점에서 End-to-End 방식으로 jointly Optimization이 불가능하다.

Main Proposal

  • Region Proposal Network based Speaker Diarization (RPNSD)
    • Speaker Diarization Task를 Computer Vision의 Object Detection 문제와 비슷하다고 보았다.
    • Object Detection에서 유명한 구조인 Faster R-CNN 를 Speaker Diarization task로 End-to-End로 학습 시켰다.
  • 결론

Proposed Method

RPNSD


Introduction

  • 10초의 음원에 STFT를 적용한다. 이를 이미지로 생각하고 네트워크 입력으로 넣어준다.
  • ResNet101 Backbone에서 나온 feature를 Region Proposal Network(RPN)에 입력으로 넣어주어 Speech segment region 후보를 추려낸다.
  • 각 Speech segment와 Backbone feature와 대응 되는 위치를 RoIAlign를 진행한다.
  • 각 region으로 부터 나온 박스들에 대해서 Speaker Classifier 한 뒤 NMS를 이용하여 각 speech segment의 region과 class 정보를 알아낸다.
  • Inference 시에 K-means Clustering 알고리즘으로 비슷한 speaker embedding를 merge 한다.

Architecture

  • 0) Input: -> 1 x 257 x 1000

    • Length: 10 sec
    • Sample rate: 8kHz
    • 0.1) STFT
      • Window size: 64ms, Hop size: 10ms
      • frequency bin: 257 (n_fft=512)
  • 1) Backbone: 1 x 257 x 1000 -> 1024 x 16 x 63

    • 아래 그림 layer-101 (ResNet101)를 그대로 사용함
    • 여기서 Conv5_x를 통과하기 전인 layer3(Conv4_x)의 출력까지 사용하고, layer 4(Conv5_x)는 사용하지 않는다

  • 2) Region Proposal Network(RPN): 1024 x 16 x 63 -> 1 x 100 x 3

    • 2.1) make bounding box embeddings and class embeddings

    • 2.2) RPN Proposal layer

      • 2.2.1) RPN bbox prediction 를 anchor 에 대한 모든 boxes를 구함 (567개 = 63 time width * 9 base anchor)
      • 2.2.2) 실제 시간 범위를 넘어가는 box들을 clipping
      • 2.2.3) 박스들의 cls prob 값으로 sorting 하고 각 order 별로 접근
      • 2.2.4) pre_nms_topN (400개) 를 높은 확률 값 순서로 거른다. (더 적은 경우 유지)
      • 2.2.5) Non Maximum Suppression(NMS) 알고리즘으로 post_nms_topN(100개)만 남긴다.
      • 2.2.6) 남겨진 100개의 proposal bounding box를 output 으로 가진다. 1 x 100 x 3
        • 여기서, 3 dimension 값은 (batch_idx, start time, end time) 값이 이다. 시간 값은 0~1 사이로 normalize 되어 있다.
    • 2.3) RPN Anchor target layer (train, dev only. get loss)

      • 2.3.1) rpn의 bbox와 base anchor 로 가능한 모든 anchor 를 만든다.
      • 2.3.2) clipping 범위 안에 들어오는 predict anchor 들만 남긴다.
      • 2.3.3) gt box와 predict anchor 간에 overlap region 인 IoU 값을 계산한다.
      • 2.3.4) 각 gt_box중 가장 높은 IoU 박스만 추출한다.
      • 2.3.5) 각 gt_box에 대해 가장 높은 IOU를 가진 박스를 잠재적 positive 로 설정한다.
        • IOU 값이 0.7 보다 큰 경우 잠재적 positive 로 설정한다.
        • IOU 값이 0.3 보다 작은 경우 잠재적 negative 로 설정한다.
        • 만약 RPN_FG_FRACTION(0.5) * RPN_BATCHSIZE(128) = 64 보다 positive 개수가 많다면, random으로 positive를 64개 선택한다.
        • RPN_BATCHSIZE – FG_POSITIVE 개수를 나머지 BG_NEGATIVE 로 정한다. 이 또한 random으로 설정한다.
      • 2.3.6) sampling 된 박스들에 대해서만, rpn_loss_cls 와 rpn_loss_bbox 를 계산한다.
  • 3) RCNN Anchor target layer (train, dev only): 1 x 100 x 3 -> 1 x 64 x 3

    • Training 에서만 사용하며, RPN에서 Anchor target layer와 비슷하게 fg와 bg boxes 들을 sampling 하고, loss 함수에 사용할 target 형태로 box 값을 변경해준다.
    • 위 nms 과정에서 추출된 100개 박스 중 Training 에서 사용할 high quality box 64개 만을 남기고자 한다.
    • 2.3에서 설명한 RPN Anchor target layer와 동일
  • 4) Pooling(RoI Align): (1024 x 16 x 63) + (1 x 64 x 3) -> (64 x 1024 x 7 x 7)

    • 각 Box에 대응 되는 Backbone feature 정보를 7x7 region에 추려낸다.
  • 5) RCNN top (Resnet101 - layer4): 64 x 1024 x 7 x 7 -> 64 x 2048

    • layer4 에 1x1 conv를 통해서 2048 channel로 projection 한다. 64 x 1024 x 7 x 7 -> 64 x 2048 x 7 x 7
    • 뒤쪽 7 x 7 channel 정보는 mean average 하여 1 x 1 으로 만들어준다. 64 x 2048 x 7 x 7 -> 64 x 2048
  • 6) RCNN bbox prediction: 64 x 2048 -> 64 x 2

    • 1-layer FC
    • output meaning: (# of box) x (bbox center point, bbox width)
  • 7) RCNN background class score: 64 x 2048 -> 64 x 2

    • 1-layer FC
    • output meaning: (# of box) x (background probability, foreground probability)
  • 8) RCNN class speaker score: 64 x 2048 -> 64 x 5963

    • 2-layer FC + softmax
    • 8.1) First FC layer (speaker embedding): 64 x 2048 -> 64 x 128
      • dimension reduction and representation
    • 8.2) Second FC layer + softmax (speaker classification): 64 x 128 -> 64 x 5963
      • Speaker classification
      • Total number of training speaker: 5963

loss function

  • Total Loss

    L=Lrpn_cls+Lrpn_reg+Lrcnn_cls+Lrcnn_reg+αLspk_clsL=L_{rpn\_cls}+L_{rpn\_reg}+L_{rcnn\_cls}+L_{rcnn\_reg}+\alpha\cdot L_{spk\_cls}
  • 1) Classification loss (cls)

    • Binary cross-entropy (BCE) loss
      Lcls(pi,pi)=(pilog(pi)+(1pi)log(1pi))L_{cls}(p_i,p_i^*)=-(p_i^*\log(p_i)+(1-p_i^*)\log(1-p_i))
  • Bounding box loss (reg)

    • Smooth L1 loss
      Lreg(ti,ti=R(titi)ti=[(xxa)/ωa,log(ω/ωa)]ti=[(xxa)/ωa,log(ω/ωa)]L_{reg}(t_i, t_i^*=R(t_i-t_i^*)\\ t_i=[(x-x_a)/\omega_a,\log(\omega/\omega_a)]\\ t_i^*=[(x^*-x_a)/\omega_a,\log(\omega^*/\omega_a)]
  • Speaker classification loss

    • cross-entropy loss
      - alpha 값은 Training시 1.0, Adaptation시 0.1 로 사용했다.
      Lspk_cls(si,si)=silog(si)L_{spk\_cls}(s_i,s_i^*)=-s_i^*\cdot \log(s_i)

Experiments Result

Dataset

  • Train dataset

    • Real dataset (Mixer 6 + SRE + SWBD)
    • Simulated dataset (100k, )
      • Real dataset를 이용하여 생성하며, 보다 높은 overlap ratio 를 가지는 학습 데이터를 얻기 위한 방법이다.
  • Test dataset

    • CALLHOME
    • SWBD DEV
    • SWBD TEST
    • Simulated DEV (beta = 2, 3, 5)


Training Strategy

  • Batch Size: 8
  • Training
    • Learning rate: 0.01, decays twice to 0.0001
    • Optimizer: SGD
  • Adaptation
    • Learning rate: 4 x 10^-5

Results: SWBD


Results: CALLHOME

  • 성능이 좋아보이지만, 결국 K-means로 oracle speaker 개수가 주어진 상태에 대한 measure만 했다...?

  • 각 DER의 Miss, False Alarm, Confusion 과 SAD의 Miss, False Alarm 성능 비교
    • SAD
      • Miss Alarm 측면에서는 RPNSD가 떨어지지만, False Alarm이 줄어들었다.
    • DER
      • 확실히 overlap를 찾아내어 Miss가 줄어들었다.
      • Confusion 부분에서도 좋은 성능을 보였다.
      • 하지만 overlap false alarm의 영향인지 False alarm 이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다.


Results: Simulated Mixtures

  • SA-EEND보다 떨어지는 성능을 보였다. 하지만, BLSTM-EEND와 x-vector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다.


Conclusion

  • End-to-End Speaker Diarization 학습을 이뤄냈다.
  • Image Object Detection의 Faster R-CNN 구조를 Speaker Diarization에 적용시켰다.
  • Variable Number Speaker 상황(2~7명)에서도 잘 작동하였고 x-vector 성능을 뛰어넘었다. 하지만 Oracle speaker 수를 아는 상황에서 이다.

여담

  • RPNSD 은 Speaker Diarization task를 Object Detection task로 풀어내었다.
  • 하지만 여전히 inference시 Speaker Diarization를 위한 별도의 Clustering method (K-means)가 필요하였다.
  • 또한, Resnet101의 모델은 상당히 큰 편이며, 한번에 10초의 입력만을 넣을 수 있는 것이 아쉽다.
  • 추가로, RPNSD에 Feature Pyramid Network(FPN) 를 적용하였지만 성능 향상이 없었다.
    • 개인적으로 이미지와 다르게 Time-Frequency 에 대한 원근감? 같은 것이 없다는 점과 utterance segment 길이가 매우 긴 경우가 적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 resolution 보강을 통한 성능 향상을 기대 했는데 아쉽다.
  • SA-EEND에서 Transformer의 Global Attention mechanism 은 relation information 해석에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또한 Object Detection에 등장한 DETR과 같은 구조에 대한 연구 또한 Speaker Diarization에 필요하다고 생각은 되지만 어렵다ㅠㅠ... (이후 MaskFormer를 기반으로 한 EEND 구현 보임... 이걸?)
profile
Audio & Speech AI Researcher 입니다! Speaker Diarization & Speaker Verification 연구 경험을 가지고 있고, 전반적인 Speech Representation 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