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이 제공하는 트렌젝션 매니저는 크게 2가지 역할을 합니다.
1. 트랜잭션 추상화
2. 리소스 동기화
스프링의 트렌젝션 추상화
기본적으로 모든 db접근기술의 트렌젝션에 대한 코드는 db에 접근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예를 들어 jdbc의 트렌젝션을 사용하여 서비스로직을 작성하고 있었는데 어떠한 이유로 jpa를 사용해서 트렌젝션을 작성해야하는 상황이 온다면 지금까지 작성해온 서비스로직을 다 수정해야함과 동시에 또 다른 정책이 생기는것에 벌벌떨 수 밖에없게 될 것입니다.
스프링에서는 이 또한 많은 고민을 하였고 oop를 통해서 이를 해결했습니다. 스프링에서는 jdbc, jpa, hibernate, 등등 많은 디비접근 방식에따른 트렌젝션을 추상화 했고 구현체까지 제공해 주고있습니다. 그렇다면 개발자는 이 구현체들을 di로 주입받아서 사용하기만하면 되고 정책이 바뀌더라도 쉽게 갈아끼울 수 있도록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해주는 것입니다.
- PlatfromTransactionManager
-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해놓은 구현체가 현제 스프링에서 트랜잭션을 관리해주는 구현체가 되는것이다.
- 스프링을 사용하는 개발차는 구현체만 갈아끼우면 추가적인 코드 수정없이 사용할 수 있는것이다.(di)
스프링 리소스 동기화
리소스 동기화
- 트랜잭션을 유지하려면 트랜잭션의 시작부터 끝가지 같은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유지해야한다. 결국 같은 커넥션을 동기화 하기 위해서 이전에는 파라미터로 커넥션을 전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단점이 존재합니다.
스프링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를 제공합니다. 쓰레드 로컬을 사용해서 커넥션을 동기화 해줍니다. 트랜잭션매니저는 내부에서 이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를 사용합니다.
쓰레드 로컬이란 개념은 각각의 쓰레드마다 별도의 저장소가 부여됩니다. 즉 해당 쓰래드만 해당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되는 것입니다. 이렇게하면 동시성문제를 손 쉽게 해결할 수 있기때문에 내부적으로 사용한것 같습니다.
동기화 방식
- 트랜잭션을 시작하려면 커넥션이 필요한데 트렌젝션 메니저가 데이터소스를 통해 커넥션을 만들고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 트랜잭션 매니저는 트랜잭션이 시작된 커넥션을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보관합니다.(들고 있지않는다.)
- 리포지토리는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보관된 커넥션을 꺼내서 사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커넥션을 전달하지 않아도 됩니다.
- 트랜잭션이 종료되면 트랜잭션 매니저는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보관된 커넥션을 통해 트랜잭션을 종료하고 커넥션도 닫는다.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라는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가 있다.
스프링 트랜잭션 프로세스
- 추상화된 트랜잭션매니저가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 트랜잭션을 시작하려면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이 필요하고 트랜잭션매니저가 내부에서 데이터소스를 사용해서 커넥션을 생성한다.
- 커넥션을 수동 커밋 모드로 변경해서 실제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 커넥션을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보관한다.
-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쓰래드 로컬에 커녁션을 보고나한다. 따라서 멀티 쓰래드 환경에서 동시성문제가 일어나지않고 안전하게 커넥션을 보관할 수 있다.
- 서비스는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면서 리포지토리의 메서드들을 호출한다. 이대 커넥션 파라미터를 전달하지 않는다.
- 트랜잭션 동기화 메니저에 보관된 커넥션을 꺼내서 사용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같은 커넥션을 사용하고, 트랜잭션도 유지된다. 이때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커넥션이 있으면 커넥션을 유지하고 없으면 닫는다.
- 획득한 커넥션을 사용해서 sql을 db에 전달한다.
- 비즈니스 로직이 끝나고 트랜잭션을 종료한다.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를 통해 동기화된 커넥션을 획득한다.
- 트랜잭션을 종료하기위해 동기화된 커넥션이 필요하다.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를 통해 동기화된 커넥션을 획득한다.
- 획득한 커넥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트랜잭션을 커밋하거나 롤백한다.
- 전체 리소스를 정리한다.